목차
1.LG G3 관련 기사
2.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5장)
①추정 포괄 손익 계산서 작성
②추정 재무 상태표 작성
③프로젝트 예상 현금 흐름
④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
i.순현재가치법(NPV)
ii.내부 수익률법(IRR)
iii.수익성 지수법(PI)
iv.회계적 평균 이익률법(ARR)
v.회수 기간법
3.자본 예상 결정 방법
①시나리오 분석
②민감도 분석
③손익 분기점 분석과 영업 레버리지
2.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5장)
①추정 포괄 손익 계산서 작성
②추정 재무 상태표 작성
③프로젝트 예상 현금 흐름
④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
i.순현재가치법(NPV)
ii.내부 수익률법(IRR)
iii.수익성 지수법(PI)
iv.회계적 평균 이익률법(ARR)
v.회수 기간법
3.자본 예상 결정 방법
①시나리오 분석
②민감도 분석
③손익 분기점 분석과 영업 레버리지
본문내용
2.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5장)
① 추정 포괄 손익 계산서의 작성
매출액 54,000 (=90만원 x 600만대)
매출원가 21,000 (=35만원 x 600만대)
매출 총 이익 33,000
판매비와 관리비 2,400 (=임차료)
감가상각비 3,600 (=18,000억 / 5년)
영업이익(EBIT) 27,000
법인세(17%) 4,590
순이익 22,410
<표 2 : LG전자의 추정 포괄 손익 계산서>
② 추정재무상태표의 작성
0기(현재) 1년 2년 3년 4년 5년
순 운전자본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순 비유동자산 18,000 14,400 10,800 7,200 3,600 0
총 투자금액 22,000 18,400 14,800 11,200 7,600 3,600
< 표 3: LG전자의 추정재무상태표>
*순 비유동자산은 0기(현재)에는 초기 기계장비 구입비용 전체금액이 되며, 그 이후에는 매년 감가상각비 3,600억원을 뺀 금액이 된다. 그리고 총 투자금액은 시장가치가 아니라 장부가치임.
③ 프로젝트의 예상 현금 흐름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이란 바로 자산으로부터의 현금흐름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자산으로부터의 현금흐름은 영업현금흐름, 비유동자산투자(자본지출), 그리고 순 운전자본투자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프로젝트 현금흐름 = 영업현금흐름 – 비 유동자산투자 – 순 운전자본투자
i. 영업 현금 흐름
추정포괄손익계산서를 이용하여 1년 말부터 매년 발생하게 될 영업현금흐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영업 현금 흐름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법인세
= 27,000 + 3,600 – 4,590(억 원)
= 26,010(억원)
ii. 비 유동자산투자비용과 순 운전자본투자비용
비유동자산과 순 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비용은 초기(0기)에 각각 기계장비 구입비용 18,000억원과 순 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비용 4,000억원을 합하여 총 22,000억원이다. 즉 0기의 현금유출은 22,000억원이다. 그러나 1년 말 이후 5년 말까지 비 유동자산에 대한 투자는 없고 비 유동자산의 5년째 말 잔존가치도 0이므로 비유동자산에 대한 투자비용(현금유출)은 1년차부터 5년차까지 매년 0이다.
그리고 순운전자본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도 없으므로 1년차부터 5년차까지 순 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비용(현금유출)도 0이다. 그러나 순운전자본 투자비용안 4,000억원은 5년째 말에 회수되므로 5년째 말에 순운전자본으로부터 현금유입이 4,000만원이 된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로부터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0기(현재) 1년 2년 3년 4년 5년
영업현금흐름 26,010 26,010 26,010 26,010 26,010
비 유동자산투자 - 18,000 - - - - -
순 운전자본투자 - 4,000 - - - - 4,000
현금흐름의 합계 - 22,000 26,010 26,010 26,010 26,010 30,010
< 표 4: LG전자 G3 프로젝트의 예상 현금 흐름 >
④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
지금까지 이 프로젝트로부터 발생되는 미래 현금흐름을 구했다. 다음에는 이 현금흐름을 이용하여 이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평가해 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평가기준이 되는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 수익성지수, 회계적 평균이익률, 그리고 회수기간을 구한다.
i. 순 현재가치(NPV)의 계산
할인율인 자본비용이 20%로 주어져 있으므로 순 현재가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은 첫 4년째까지는 연금의 현재가치계수를 이용하고, 5년째에는 단순 현재가치계수를 이용하여 순 현재가치를 구하면 된다.
순 현재가치 = 26,010 x PVIFA(i=20%, n=4) + 30,010 x PVIF(i=20%, n=5) – 22,000
= 26,010 x 2.5887 + 30,010 x 0.4019 – 22,000
= 67,332 + 12,061 -22,000
=57,392(억원)
즉, 이 프로젝트는 57,392억원 정도의 순 현재가치를 창출하여 순 현재가치가 0보다 더 크므로 순 현재가치법을 기준으로 하면 이 프로젝트는 채택되어야 한다.
① 추정 포괄 손익 계산서의 작성
매출액 54,000 (=90만원 x 600만대)
매출원가 21,000 (=35만원 x 600만대)
매출 총 이익 33,000
판매비와 관리비 2,400 (=임차료)
감가상각비 3,600 (=18,000억 / 5년)
영업이익(EBIT) 27,000
법인세(17%) 4,590
순이익 22,410
<표 2 : LG전자의 추정 포괄 손익 계산서>
② 추정재무상태표의 작성
0기(현재) 1년 2년 3년 4년 5년
순 운전자본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순 비유동자산 18,000 14,400 10,800 7,200 3,600 0
총 투자금액 22,000 18,400 14,800 11,200 7,600 3,600
< 표 3: LG전자의 추정재무상태표>
*순 비유동자산은 0기(현재)에는 초기 기계장비 구입비용 전체금액이 되며, 그 이후에는 매년 감가상각비 3,600억원을 뺀 금액이 된다. 그리고 총 투자금액은 시장가치가 아니라 장부가치임.
③ 프로젝트의 예상 현금 흐름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이란 바로 자산으로부터의 현금흐름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자산으로부터의 현금흐름은 영업현금흐름, 비유동자산투자(자본지출), 그리고 순 운전자본투자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프로젝트 현금흐름 = 영업현금흐름 – 비 유동자산투자 – 순 운전자본투자
i. 영업 현금 흐름
추정포괄손익계산서를 이용하여 1년 말부터 매년 발생하게 될 영업현금흐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영업 현금 흐름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법인세
= 27,000 + 3,600 – 4,590(억 원)
= 26,010(억원)
ii. 비 유동자산투자비용과 순 운전자본투자비용
비유동자산과 순 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비용은 초기(0기)에 각각 기계장비 구입비용 18,000억원과 순 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비용 4,000억원을 합하여 총 22,000억원이다. 즉 0기의 현금유출은 22,000억원이다. 그러나 1년 말 이후 5년 말까지 비 유동자산에 대한 투자는 없고 비 유동자산의 5년째 말 잔존가치도 0이므로 비유동자산에 대한 투자비용(현금유출)은 1년차부터 5년차까지 매년 0이다.
그리고 순운전자본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도 없으므로 1년차부터 5년차까지 순 운전자본에 대한 투자비용(현금유출)도 0이다. 그러나 순운전자본 투자비용안 4,000억원은 5년째 말에 회수되므로 5년째 말에 순운전자본으로부터 현금유입이 4,000만원이 된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로부터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0기(현재) 1년 2년 3년 4년 5년
영업현금흐름 26,010 26,010 26,010 26,010 26,010
비 유동자산투자 - 18,000 - - - - -
순 운전자본투자 - 4,000 - - - - 4,000
현금흐름의 합계 - 22,000 26,010 26,010 26,010 26,010 30,010
< 표 4: LG전자 G3 프로젝트의 예상 현금 흐름 >
④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평가
지금까지 이 프로젝트로부터 발생되는 미래 현금흐름을 구했다. 다음에는 이 현금흐름을 이용하여 이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평가해 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평가기준이 되는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 수익성지수, 회계적 평균이익률, 그리고 회수기간을 구한다.
i. 순 현재가치(NPV)의 계산
할인율인 자본비용이 20%로 주어져 있으므로 순 현재가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은 첫 4년째까지는 연금의 현재가치계수를 이용하고, 5년째에는 단순 현재가치계수를 이용하여 순 현재가치를 구하면 된다.
순 현재가치 = 26,010 x PVIFA(i=20%, n=4) + 30,010 x PVIF(i=20%, n=5) – 22,000
= 26,010 x 2.5887 + 30,010 x 0.4019 – 22,000
= 67,332 + 12,061 -22,000
=57,392(억원)
즉, 이 프로젝트는 57,392억원 정도의 순 현재가치를 창출하여 순 현재가치가 0보다 더 크므로 순 현재가치법을 기준으로 하면 이 프로젝트는 채택되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LG전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LG전자 경영지원, 기획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경영혁신-(삼성전자,LG전자,포스코,데이콤)전문가 인터뷰
LG전자의 성공전략
LG전자 물류네트워크 성공 사례(발표자료)
LG전자의 표준화 전략
LG전자의 지속가능경영
LG전자의 UAE진출 사례
LG전자의 해외 진출 성공 사례 연구 (인도)
LG전자 연구개발의 글로벌화와 신제품 개발
LG전자의 경영전략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조직
LG전자,트롬,트롬세탁기,트롬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LG전자 모집 선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