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신뢰도와 타당도가 필요성
Ⅱ. 본론: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내용과 적용사례를 통한 설명
1. 신뢰도
1) 신뢰도의 개념
2) 재검사법
3) 반분법
4) 평행양식법
5) 신뢰도 예
2. 타당도
1) 타당도의 개념
2) 타당도의 유형과 적용사례를 통한 설명
Ⅲ. 결론: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Ⅳ. 참고문헌
Ⅱ. 본론: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내용과 적용사례를 통한 설명
1. 신뢰도
1) 신뢰도의 개념
2) 재검사법
3) 반분법
4) 평행양식법
5) 신뢰도 예
2. 타당도
1) 타당도의 개념
2) 타당도의 유형과 적용사례를 통한 설명
Ⅲ. 결론: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념이고, 신뢰도는 측정값들 사이의 일치도를 말하는 개념이다.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신뢰도와 타당도는 서로 비대칭적인 관계를 가진다.
2. 신뢰도와 타당도는 항상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타당도와 신뢰도는 일정정도 상충관계를 가질 수 있다.
3. 타당도가 높으면, 반드시 신뢰도도 높다.
4. 타당도가 낮은 경우에는 신뢰도가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5.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는 타당도가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즉, 타당도 없이 신뢰도는 확보할 수 있다.
6. 신뢰도가 낮으면, 반드시 타당도가 낮다.
7. 신뢰도는 무작위 오류와 관련이 있고, 타당도는 체계적 오류와 관계가 있다.
8. 신뢰도는 척도에 의해서 측정된 값들의 일관성에 주목하고, 타당도는 척도와 측정대상의 관계에 주목한다.
9. 신뢰도와 타당도는 측정도구가 척도의 과학적 적절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이봉재 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6
황성동 저,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15
박영준 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5
황창순, 김형수, 노병일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14
1. 신뢰도와 타당도는 서로 비대칭적인 관계를 가진다.
2. 신뢰도와 타당도는 항상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타당도와 신뢰도는 일정정도 상충관계를 가질 수 있다.
3. 타당도가 높으면, 반드시 신뢰도도 높다.
4. 타당도가 낮은 경우에는 신뢰도가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5.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는 타당도가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즉, 타당도 없이 신뢰도는 확보할 수 있다.
6. 신뢰도가 낮으면, 반드시 타당도가 낮다.
7. 신뢰도는 무작위 오류와 관련이 있고, 타당도는 체계적 오류와 관계가 있다.
8. 신뢰도는 척도에 의해서 측정된 값들의 일관성에 주목하고, 타당도는 척도와 측정대상의 관계에 주목한다.
9. 신뢰도와 타당도는 측정도구가 척도의 과학적 적절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이봉재 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6
황성동 저,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15
박영준 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5
황창순, 김형수, 노병일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