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바덴뷔르템베르크 전개과정과 현황
2. 바덴뷔르템베르크의 지역혁신체계
2.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혁신체계의 전체 구조
3. 지식의 적용․활용 서브시스템
1) 혁신을 위한 기업간 협력체계
2) 신생기업 지원체계
4. 지식의 창출․확산 서브시스템
1) 지식창출체계
2) 지식확산체계
5. 지역혁신 네트워크
6. 금융지원체계
온타리오 자동차 부품 산업 클러스터
영국 쉐필드 문화산업 클러스터
1. 쉐필드의 전개과정과 현황
2. 시대적 배경 및 경과
3. 문화산업 현황
성공요인
1. RIS의 핵심 인자 : 지역대학 (쉐필드 할람대학)
2. 지역문화기관 : 밀레니엄 갤러리 사례
3. 쉐필드 시청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4. CIQ 클러스터 : Workstation / Show Room 등
Ⅱ 본론
1. 바덴뷔르템베르크 전개과정과 현황
2. 바덴뷔르템베르크의 지역혁신체계
2.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혁신체계의 전체 구조
3. 지식의 적용․활용 서브시스템
1) 혁신을 위한 기업간 협력체계
2) 신생기업 지원체계
4. 지식의 창출․확산 서브시스템
1) 지식창출체계
2) 지식확산체계
5. 지역혁신 네트워크
6. 금융지원체계
온타리오 자동차 부품 산업 클러스터
영국 쉐필드 문화산업 클러스터
1. 쉐필드의 전개과정과 현황
2. 시대적 배경 및 경과
3. 문화산업 현황
성공요인
1. RIS의 핵심 인자 : 지역대학 (쉐필드 할람대학)
2. 지역문화기관 : 밀레니엄 갤러리 사례
3. 쉐필드 시청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4. CIQ 클러스터 : Workstation / Show Room 등
본문내용
보고서에 따르면 영화, 비디오, 음악사업체가 이 지역 내 전체 문화사업체의 30%를 차지한다. 쉐필드시의 전체 고용인력 중 약 6.8%를 CIQ지구 입주 문화산업관련 업체가 점유하고 있으며, 고용인력이 많은 분야는 영화 및 비디오 산업으로 나타난다. EU에서는 한때 철강산업의 중심지였다가 고용율이 저하되어 낙후지역으로 분류되었던 이곳을 집중 지원하고 있고 낙후지역 지원을 위하여 Object 1, 2 계획 등을 통하여 6, 7년동안 계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성공요인
1. RIS의 핵심 인자 : 지역대학 (쉐필드 할람대학)
문화산업 클러스터 내지 지역혁신체계의 구성에 있어서 핵심인력을 공급하는 지역대학의 존재는 성공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쉐필드할람대학(Sheffield Hallam University)은 쉐필드의 CIQ에서 클러스터의 핵심요소소인 연구기능과 인력공급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CIQ 지구내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70여개 업체가 입주한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는등 산학연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혁신체계의 중추역할을 담당한다. CIQ간 긴밀한 유대관계를 지속하고 있으며 잦은 수요조사를 통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인력이 배출되도록 노력을 기울인다.
2. 지역문화기관 : 밀레니엄 갤러리 사례
지역문화기관은 다른 산업과 달리 문화산업이 수요를 반영하고 공공의 접근성(public access)을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쉐필드의 경우 미술박물관인 밀레니엄갤러리가 사례이다. 밀레니엄 갤러리의 경우 문화예술 자원이 산업과 연계된 사례로 지역혁신체계의 시스템 구축과 운영방식의 모델이 되고 있다. 밀레니엄 갤러리는 소도시인 쉐필드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근 도시인 리즈(Leeds), 멘체스터(Manchester), 리버풀(Liverpool) 등 5개 시와 밀레니엄 갤러리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운영을 추진한다. 또한 유럽연합, 중앙정부, 시 정부로부터의 지원금을 확보하여 운영재원 마련. 이때 재정이 빈약한 시 정부보다는 영국 국가 차원에의 지원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이때, 지역은행, 호텔, 재단 등 다양한 지원기관으로부터의 후원금을 토대로 지역사회 문화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밖에 쉐필드에는 시 전체에서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쉴새없이 개최되어 문화생활을 즐기려는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3. 쉐필드 시청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쉐필드 시청의 경우도 문화산업육성의 주요 진행상황을 전략적으로 체크하고, 지역 중장기 발전전략과 관련하여 종합적인 상황을 진두지휘하는 HQ의 역할 수행한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도심의 밀레니엄 갤러리 프로젝트의 운용 등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지금까지의 성과는 국제적 경쟁력 확보나 고용효과는 다소 미흡했으나 프로젝트에 대한 목표달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대내외적으로 평가되지만, 영국 내의 여러 도시에서도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있어 중복투자 문제가 발생되자 이에 대해 중앙정부에서 지역별 특화된 클러스터를 지정하여 전략적으로 조정 및 지원한다.
4. CIQ 클러스터 : Workstation / Show Room 등
CIQ 클러스터는 다양한 구성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생산과 소비 클러스터가 한곳에 함께 구축되어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1988년에 창의적인 문화사업가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사업센터(AVEC ; Audio Visual Enterprise Centre)가 설립되었고 음악녹음사진디자인방송영화 및 비디오 제작사훈련센터녹음 스튜디오 등 15개의 문화산업 작업공간이 제공되고 있으며, 음악과 사진 그리고 영화산업에 대한 사업을 지원한다. 그리고 국립대중문화센터(National Centre for Popular Music)가 내셔널 로터리(National Lotteries)의 지원으로 개관되면서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고,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1993년에는 시의회는 페이터노스터(Pater-noster) 민간개발회사와 공동으로 1930년대의 건물을 개조하여 창작사업체에 작업공간, 전시공간, 교육 훈련공간 등을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션을 개원하였다.
문화산업 진흥시설에서 육성하는 주요업종은 디자인, 미디어, 전자 분야 등이며 디지털 클러스터를 핵심사업으로 추진중에 있으며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70여 업체가 입주되어 있고 CIQ의 센터 역할을 하면서 그 내에 입주업체 뿐 아니라 뉴미디어 스쿨과 함께 다양한 작업자들의 스튜디오들이 내재되어 있는 복합 공간이다.
입주업체 지원을 위한 워크스테이션의 구체적인 사업지원은 장소제공 등 인프라 구축과 창의적인 콘텐츠개발, 입주업체간 네트워킹 구축 등에 있다. 워크스테이션에서 기획하는 프로젝트는 장기적인 지역경제 성공전략 기획을 위하여 영국의 수도인 런던에서 기획하고 쉐필드에서 생산과 세부계획을 실행하는 형태가 주로 이루어진다.
쉐필드의 특성별 성공요인
특성
특성별 성공요인
계획
종사자 생활과 작업의 질 향상을 동시에 고려
CIQ지구내 쾌적함(amenity)의 중심
쉐필드시의 주도형 역동적 계획
투자
문화, 예술, 교육, 도심 재개발 등 공적 이익을 명분으로 재원 확보
지자체 뿐 아니라 EU 등 국내적, 국제적 재원의 효과적 지원
추진체계
전략, 부동산, 국제 분야 등 지역에서 전문성이 취약한
분야에서는 과감하게 프로젝트의 콘소시엄 내지 파트너쉽의 구축
성과
쉐필드지역의 고용, 주민의 소득증대, 범죄율 하락, 교통
환경 개선, 문화, 체육시설 증가 등 거시경제적 여건 개선
에서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남
또한, 친근감 있는 이웃관계의 형성 등 계량화할 수 없는
부분에서도 지역발전을 위한 산출물들이 나옴
Ⅲ 결론
비교 작성표
공통점
차이점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학교를 통한
지역혁신체계 구축
대학교를 통한 지역혁신체계
영국 쉐필드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학교를 통한 지역혁신체계
공통점
차이점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 경기침체를 극복한
대표적 성공 사례
·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주 정부의 지원
독특한 금융지원체계
영국 쉐필드
쉐필드 시에서의 지원
국내적, 국제적(EU) 재원의 효과적 지원
성공요인
1. RIS의 핵심 인자 : 지역대학 (쉐필드 할람대학)
문화산업 클러스터 내지 지역혁신체계의 구성에 있어서 핵심인력을 공급하는 지역대학의 존재는 성공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쉐필드할람대학(Sheffield Hallam University)은 쉐필드의 CIQ에서 클러스터의 핵심요소소인 연구기능과 인력공급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CIQ 지구내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70여개 업체가 입주한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는등 산학연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혁신체계의 중추역할을 담당한다. CIQ간 긴밀한 유대관계를 지속하고 있으며 잦은 수요조사를 통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인력이 배출되도록 노력을 기울인다.
2. 지역문화기관 : 밀레니엄 갤러리 사례
지역문화기관은 다른 산업과 달리 문화산업이 수요를 반영하고 공공의 접근성(public access)을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쉐필드의 경우 미술박물관인 밀레니엄갤러리가 사례이다. 밀레니엄 갤러리의 경우 문화예술 자원이 산업과 연계된 사례로 지역혁신체계의 시스템 구축과 운영방식의 모델이 되고 있다. 밀레니엄 갤러리는 소도시인 쉐필드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근 도시인 리즈(Leeds), 멘체스터(Manchester), 리버풀(Liverpool) 등 5개 시와 밀레니엄 갤러리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운영을 추진한다. 또한 유럽연합, 중앙정부, 시 정부로부터의 지원금을 확보하여 운영재원 마련. 이때 재정이 빈약한 시 정부보다는 영국 국가 차원에의 지원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이때, 지역은행, 호텔, 재단 등 다양한 지원기관으로부터의 후원금을 토대로 지역사회 문화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밖에 쉐필드에는 시 전체에서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쉴새없이 개최되어 문화생활을 즐기려는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3. 쉐필드 시청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쉐필드 시청의 경우도 문화산업육성의 주요 진행상황을 전략적으로 체크하고, 지역 중장기 발전전략과 관련하여 종합적인 상황을 진두지휘하는 HQ의 역할 수행한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도심의 밀레니엄 갤러리 프로젝트의 운용 등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지금까지의 성과는 국제적 경쟁력 확보나 고용효과는 다소 미흡했으나 프로젝트에 대한 목표달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대내외적으로 평가되지만, 영국 내의 여러 도시에서도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있어 중복투자 문제가 발생되자 이에 대해 중앙정부에서 지역별 특화된 클러스터를 지정하여 전략적으로 조정 및 지원한다.
4. CIQ 클러스터 : Workstation / Show Room 등
CIQ 클러스터는 다양한 구성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생산과 소비 클러스터가 한곳에 함께 구축되어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1988년에 창의적인 문화사업가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사업센터(AVEC ; Audio Visual Enterprise Centre)가 설립되었고 음악녹음사진디자인방송영화 및 비디오 제작사훈련센터녹음 스튜디오 등 15개의 문화산업 작업공간이 제공되고 있으며, 음악과 사진 그리고 영화산업에 대한 사업을 지원한다. 그리고 국립대중문화센터(National Centre for Popular Music)가 내셔널 로터리(National Lotteries)의 지원으로 개관되면서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고,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1993년에는 시의회는 페이터노스터(Pater-noster) 민간개발회사와 공동으로 1930년대의 건물을 개조하여 창작사업체에 작업공간, 전시공간, 교육 훈련공간 등을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션을 개원하였다.
문화산업 진흥시설에서 육성하는 주요업종은 디자인, 미디어, 전자 분야 등이며 디지털 클러스터를 핵심사업으로 추진중에 있으며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70여 업체가 입주되어 있고 CIQ의 센터 역할을 하면서 그 내에 입주업체 뿐 아니라 뉴미디어 스쿨과 함께 다양한 작업자들의 스튜디오들이 내재되어 있는 복합 공간이다.
입주업체 지원을 위한 워크스테이션의 구체적인 사업지원은 장소제공 등 인프라 구축과 창의적인 콘텐츠개발, 입주업체간 네트워킹 구축 등에 있다. 워크스테이션에서 기획하는 프로젝트는 장기적인 지역경제 성공전략 기획을 위하여 영국의 수도인 런던에서 기획하고 쉐필드에서 생산과 세부계획을 실행하는 형태가 주로 이루어진다.
쉐필드의 특성별 성공요인
특성
특성별 성공요인
계획
종사자 생활과 작업의 질 향상을 동시에 고려
CIQ지구내 쾌적함(amenity)의 중심
쉐필드시의 주도형 역동적 계획
투자
문화, 예술, 교육, 도심 재개발 등 공적 이익을 명분으로 재원 확보
지자체 뿐 아니라 EU 등 국내적, 국제적 재원의 효과적 지원
추진체계
전략, 부동산, 국제 분야 등 지역에서 전문성이 취약한
분야에서는 과감하게 프로젝트의 콘소시엄 내지 파트너쉽의 구축
성과
쉐필드지역의 고용, 주민의 소득증대, 범죄율 하락, 교통
환경 개선, 문화, 체육시설 증가 등 거시경제적 여건 개선
에서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남
또한, 친근감 있는 이웃관계의 형성 등 계량화할 수 없는
부분에서도 지역발전을 위한 산출물들이 나옴
Ⅲ 결론
비교 작성표
공통점
차이점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학교를 통한
지역혁신체계 구축
대학교를 통한 지역혁신체계
영국 쉐필드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학교를 통한 지역혁신체계
공통점
차이점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 경기침체를 극복한
대표적 성공 사례
·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주 정부의 지원
독특한 금융지원체계
영국 쉐필드
쉐필드 시에서의 지원
국내적, 국제적(EU) 재원의 효과적 지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