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예술과 미의식/부산대박물관을 견학하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예술과 미의식/부산대박물관을 견학하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장 인상 깊었다. 이형토기란 죽은 사람을 이승에서 저승으로 보내는 장송의례에 사용되거나 신앙행위와 관련된 토기로, 주로 신라와 가야지역에서 만들어진 특이한 형태의 토기이다. 형태에 따라 인물 및 동물을 조각한 토우, 토우장식이 붙은 토기, 동물이나 물체를 표현한 형상토기와 일반용기를 약간 변형시킨 특수용도의 용기형토기 등으로 분류된다. 토우는 특히 경주지역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제천행사의 모습을 나타내는 인물토우와, 수렵과 목축을 상징하는 동물토우가 대부분으로 대체로 5세기 후반내 이후부터 출토된다. 가야지역에는 오리를 모티브로 한 토기가 제작되었고 5세기 뒤 여러 동물모양의 토우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 같았다. 이러한 동물모양의 토우를 통해 수렵과 정착을 하게 되면서 목축의 성공을 기원하는 그 시대 사람들의 의식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야는 철 생산국가 답게 철로 된 장신구나 생활품이 많았다. 특히 장신구중 가야와 신라의 귀걸이를 비교해놓았는데 가야의 귀걸이는 단순한 반면 신라의 귀걸이가 좀 더 섬세하고 화려하였다. 귀걸이 뿐만 아니라 왕관(금동관)을 보아도 왕관의 기본적 골격만 갖추고 있을 뿐 화려한 장식이 되어있지 않았다.
끝으로 문화 유물과 유적을 시대순으로 돌아보면서 아주 조금씩 점차 발전함을 느낄 수 있었다. 지금의 발전 역시도 하루, 한 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아주 점차적으로 미미한 것에서부터 이루어진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유물을 비교하고 관찰해보면서 그 시대의 미의식은 어떠하였는지, 사상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 짧은 시간이나마 집중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4.02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9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