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계굴절파의 해석
2. 단일 수평경계면
3. 여러 수평경계면
4. 특별한 속도 층을 갖는 경우
5. 환산주시
2. 단일 수평경계면
3. 여러 수평경계면
4. 특별한 속도 층을 갖는 경우
5. 환산주시
본문내용
로 이 경우 또한, 제1층과 제3층의 두께가 보다 두껍게 측정된다. 보통, 해양지각 위에 놓인 퇴적층이 너무 얇아서 임계굴절파가 초동으로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5. 환산주시
문헌상에는 지진파 굴절자료가 실제 주시로 그려져 있지 않고, 환산주시로 그려진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주시로 굴절파 주시의 기울기들이 서로 비슷하게 보여서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굴절파들은 환산주시로 다시 그려보면 구분하기 쉬우질 수 있다. 환산주시는 실제주시에서 환산속도에 따른 거리를 빼준 값이다. 보통 제2층의 두께가 제일 얇거나 혹은 속도가 느린 경우, 이 층의 지진파 속도를 환산속도로 잡는다. 즉, 의 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제1층과 제3층의 구분을 뚜렷히 할 수 있다.
5. 환산주시
문헌상에는 지진파 굴절자료가 실제 주시로 그려져 있지 않고, 환산주시로 그려진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주시로 굴절파 주시의 기울기들이 서로 비슷하게 보여서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굴절파들은 환산주시로 다시 그려보면 구분하기 쉬우질 수 있다. 환산주시는 실제주시에서 환산속도에 따른 거리를 빼준 값이다. 보통 제2층의 두께가 제일 얇거나 혹은 속도가 느린 경우, 이 층의 지진파 속도를 환산속도로 잡는다. 즉, 의 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제1층과 제3층의 구분을 뚜렷히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