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경 안에 오게 한 다음 고정 나사를 고정하고 미동나사를 사용하여 목표물을 정확하게 맞춘 다음 각을 읽었다.
처음 단측법에서는 A점을 0으로 세팅하고 B점의 조준하여 각도를 재고, 다시 B점을 0으로 세팅하여 왼쪽으로 각을 읽어서 측정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각을 측정한다는 것이 놀랍다라는 말 밖에 안나온다. 그리고 맨날 지나치던 본관이었지만 아무생각이 없었는데 이렇게 하나의 실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 일상생활에서의 주변의 것들이 하나의 생각해 볼 것, 실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65˚ 19' 30“
∠BOC=40˚ 45‘ 30“
B
225˚
34'
34'
50' 30"
224˚ 34'
∠COD=55˚ 7‘
A
170˚
28'
26'
3' 30"
169˚ 27'
<표3. 반복법 결과값>
3. 실습 고찰
버니어를 육안으로 읽고 측량하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잴 수 없었다.
또한 중심추가 정확히 중심을 향하는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측법
측점
시준점
측정값
비고
도(°)
분(′)
초(″)
O
A
0
0
0
B
3
44
41
O
B
0
0
0
C
4
11
32
O
C
0
0
0
D
0
2
31
O
D
0
0
0
E
21
9
17
O
E
0
0
0
F
0
0
40
O
F
0
0
0
G
4
17
29
O
G
0
0
0
H
3
51
6
(3) 반복법
측점
시준점
측정
횟수
측정값
평균
비고
도(°)
분(′)
①초(″)
②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측법이 아닌 반복법을 사용하여 좀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거리측정에서도 잔디밭과 도로사이에 턱이 있어 줄자의 수평을 맞추기 힘들었고 흙바닥이 평평한 것이 아니고 울퉁불퉁하며 고저차이가 있어서 오차가 많이 생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3.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