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경제 사정과 대외경제정책 동향
3. 남북경제교류협력 추진방향과 과제
Ⅲ. 통일과정에서의 민간단체의 역할
Ⅳ. 민간단체의 남북교류 현황
1. 민간단체의 대북지원 현황
2. 민간단체의 부문별 교류사례
⑴ 민간단체의 대북 농업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에 대응하여 남한정부가 어떻게 탄력적인 대북정책을 수행할 것인지 논의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영훈·최봉석(2002), 신의주특별행정구 설치와 시사점, KREI북한농업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채수(1999), 북한농업기반의 현황과 문제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해 주고 싶고 관계를 개선하고 싶으면 말이다.
참고문헌
◈ 김상식, 북한농업과 농지가족도급제, KREI북한농업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 김경량, 남북한 농업의 현황과 협력방안, 사회과학연구 제37집, 강원대 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협력사업을 중심으로 북한 농촌경제의 개방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농업복구 및 환경보호 프로그램(AREP)
AREP 프로그램은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해 수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긴급 구호 또는 인도주의적 원조를 공조체제하의 개발원조로 전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업 전망」, 농촌경제연구원, 1996. 12.
권태진, "북한의 경제관리개선조치와 농업 부문 변화 전망," 「KREI북한농업동향」 4(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9.
남성욱, "북한 7.1경제개선관리조치와 농업개혁,"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