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려사』권 39, 「세가」39, 공민왕 5년 6월 을해
쌍성총관부 함락
동북면병마사 유인우가 쌍성을 함락하였다. 총관 조소생과 천호 탁도경은 도주하고 각 주와 여러 진을 수복하였다. 고종 무오년에 원나라에 빼앗겼던 함주 이북의 지방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에서 지속적으로 행성관을 증치시켰는데, 이 시기를 행성관증치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충렬왕과 충선왕의 대립이 심화되던 시기로서 원의 행성관 파견은 이를 기회로 고려의 내정을 지속적으로 간섭,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 인권과 생존권
8. 생존권 보장의 변화과정
9. 중국에서의 생존권
10. 맑스주의와 생존권
11. 서방의 인권공세
12. 내정간섭에 대한 중국의 주장
13. 미국의 인권외교
14. 인권문제와 무역문제
15. 중국의 주권론과 인권
16.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래, 임진왜란사 연구의 추이와 과제,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 최영희, 임진왜란을 전후한 동아시아의 사회문화 동태, 아시아문화8, 한림대학교, 1992
◈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명의 내정간섭과 직할통치론, 동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의 내정간섭
②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③ 공민왕의 개혁정치
2. 형성 평가
① 원의 내정 간섭
기구에 관한 문제
② 원 간섭 하의
영토축소에 관한 문제
③ 공민왕의 반원
자주정책에 관한 문제
④ 공민왕의 왕권
강화정책에 관한 문제
⑤ 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