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머리말
2. 조선 향토색론의 대두
3. 향토문예
4. 조선 향토색 논의
1) 조선향토색의 전개
2) 조선 향토색 논란
5. 아카데미즘으로서의 조선 향토색- 조선미전을 중심으로
1) 조선미술전람회의 성향
2) 조선미전에 나타난 조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인 후소회를 조직하여 전시를 개최하기도 한다. 또한 1930년경부터 문하생을 받은 이상범의 청전화숙의 문하생들은 이상범을 통해 충실히 배운 수묵사경화풍으로 조선미전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청전류’화가로 분류되기도 했으며 후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전과 전후의 미술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과도기적 인물들일 뿐 아니라 예술적 기량에서도 뛰어난 한국 여성미술사의 대모들이다.
천경자의 「노부」는 1944년 22회 조선미전 총독상을 받은 작품이다. 그리고 박래현의 「화장」도 조선미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회를 열었으며, 약 2년간의 세계일주 여행을 떠나 파리에서 약 8개월을 머무르며 야수파와 표현주의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이인성, <가을 어느날>, 1934, 제13회 조선미전 특선
1934년에 그린 <가을 어느 날>은 동경에서 개최된 제1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미전을 그대로 계승하여 계속해서 실시되었으며 더욱더 미술계를 권위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이끌고 그로 인한 많은 숫자의 화가들이 피해를 입게 되었다. 또한 이후 유행한 한국의 모던이즘이라는 것은 오직 서양의 겉껍질만을 흉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