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Ⅱ. 霞谷 鄭齊斗의 生涯 및 思想 體系
Ⅲ. 物理-生理-眞理 의 理解
Ⅳ. 生理說에 대한 具體的 理解
Ⅴ. 맺음말
Ⅵ. 참고자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7.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곡) 鄭齊斗(정제두)의 사상과 연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에서 보았듯이 하곡은 출신 성분으로는 사촌형이 왕의 부마였고, 스승은 小論(소론)의 영수이자, 노론의 尤庵(우암)의 제자들에게서 학문함으로써 양명학을 함에도 절대적인 배경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제두가 서양식의 근대화에 접근하지 못했다거나 '철저한 신분주의자'였다고만 규정해 버린다면, 그는 결국 조선시대 체제 교학이었던 주자학의 개량을 외친 한 사람으로 머물고 말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하곡학'이 주자학과의 대립 속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4.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곡학의 연원과 양명학 수용
2. 한국 양명학의 태두 하곡 정제두
Ⅱ. 양명학의 성립과 치양지론의 문제점
III. 양지론의 전개양상
Ⅳ. 양명학의 한국적 변용--양지체용도 분석을 중심으로--
Ⅴ. 하곡양명학 사상의 동아시아적 위치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곡 정제두의 정전제에 관한 견해를 대표적으로 소개한다.
다산 정약용은 젊은 시절 여전론을 주장하였으나, 공동농장제인 여전론이 도저히 시행할 수 없는 이상적 토지개혁론이라는 사실을 인식한 후에는 정전론을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