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춥다.(날씨가 아직 춥다)
ㄷ. 저거는 우리 논이다.(저것은 우리 논이다)
(9)는 (8)이 안높임법으로 실현될 때의 문장이다. (9)의 각 문장 서술어에 결합한 서술어는 ‘-다’인데, 이것은 문장종결소 ‘-다’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문법형태이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술어와 서술 관계, 주시경연구 10
○ 이광호(1990), 목적어,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 주복매(1985), 문장 성분으로서의 보어,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호철(1995), 국어의 보어에 대하여?, 한국어학 2, 한국어학연구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나) 사람들이 탑 둘레를 돌고 있다
이 글의 ‘놀다, 불다, 움직인다, 돌다’는 자동사와 타동사를 겸하고 있어서 가)에서는 한 자리 서술어가 되고, 나)에서는 두 자리 서술어가 된다.
이상 살펴본 것과 같이 한국어의 기본문형 구성에 있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술어인 타동사 앞에 오는 것이 정상적이다. 다만 목적어와 서술어 사이에는 성분부사(어)가 올 수 있다.
15. 그가 글씨를 잘 쓴다.
16. 그가 글씨를 못 쓴다.
목적어의 생략
문장의 필수적 성분이므로 생략되지 않는다.
17. *우리들은 이틀 동안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기본문형 구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성분은 서술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문장에서는 서술어 기준으로 하여 문장 형식을 나누게 되고, 서술어의 자릿수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