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 정의
● 병태생리
● 대표적 증상
● 건강사정 (간호력 / 신체검진 / 진단검사)
● 치료 및 간호
2. 건강사정
●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 신체사정
● 진단검사 결과기록지
● 약물
●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3. 간호과정
● 간호진단 (우선순위)
● 간호과정
4. 참고문헌
● 정의
● 병태생리
● 대표적 증상
● 건강사정 (간호력 / 신체검진 / 진단검사)
● 치료 및 간호
2. 건강사정
●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 신체사정
● 진단검사 결과기록지
● 약물
●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3. 간호과정
● 간호진단 (우선순위)
●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 정의
: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에 의해 공기흐름이 폐쇄되는 것이 특징인 폐질환
▪ 병태생리
<폐기종>
● 병태생리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음
● 세기관지는 가래, 소기관지의 경련, 감염, 기관지벽의 허탈로 폐쇄되고, 반복 감염으로 인해 호중구와 대식세포에서 유리되는 단백질 용해효소가 폐포벽을 파괴
● 그 결과 염증, 부종, 삼출액 형성
● 흡연 → α₁-antitrypsin의 활동 차단, α₁-antitrypsin 결핍으로 단백질 용해효소의 활동을 억제시키지 못함
● 폐 조직을 지지하는 elastin과 collagen이 파괴되어 폐포 내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지만 호기 시에는 페신장성이 저하되어 공기가 밖으로 배출이 안 되며 폐포 말단에 공기가 갇히게 됨
→ 술통형 흉곽이 형성되고 페포 중격이 파괴되어 공기주머니를 형성
<만성 기관지염>
● 기관과 기관지의 점액분비선 증식, 술잔세포 증식, 섬모 소실, 만성 염증성 변화와 세기관지의 좁아짐, 폐포 대식세포의 기능변화로 기관지 감염이 증가됨
● 감염 → 기관지 내의 미생물 증식, 과도한 점액 분비로 세기관지 폐쇄, 염증반응의 결과로 기관지 벽에 흉터 형성
● 염증반응 → 혈관확장, 울혈, 점막부종이 나타나고 점액선 증식, 기도 내경이 좁아지고 공기 흐름 감소
< 중략 >
2. 건강사정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성명 : 손○○
성별 : M
연령 : 82
입원과명 : MICU
입원일자 : 2018.05.31
입원경로: ☐ 외래 ☑ 응급실
정보제공자: 보호자 (관계 : 손자)
진단명: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현병력
① 발병당시부터 현재 입원하고 있는 병원에 오기 전까지의 상황
: 2018-05-30 AM7:00쯤 앉아 있다가 가슴이 답답하고 식은땀 흘리는 증상이 있으며 Syncope(실신) 있어 ER(Emergency Room :응급실)통해 adm(admission : 입원)
② 병원 도착 시 상태
: SpO₂ 50%, Dyspnea (호흡곤란)
③ 병원도착 후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 부르면 눈뜨고 질문에 고개 끄덕임 가능, SpO₂ 수치는 높아지고 있으나 호흡하기 힘들어 하고 객담이 많음
④ 현시점에서 주호소
: Dyspnea (호흡곤란)
< 중략 >
▪ 간호과정
1)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손자 : “숨소리도 안 좋고 호흡곤란을 보이시다가 기절하셨어요.”
객관적 자료
- 호흡하는데 불편함을 보임
- 병원 도착 시 SpO₂ 50%
간호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의 동맥혈가스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들어간다.
장기목표 : 퇴원 시까지 스스로 안정된 호흡을 한다.
▪ 정의
: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에 의해 공기흐름이 폐쇄되는 것이 특징인 폐질환
▪ 병태생리
<폐기종>
● 병태생리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음
● 세기관지는 가래, 소기관지의 경련, 감염, 기관지벽의 허탈로 폐쇄되고, 반복 감염으로 인해 호중구와 대식세포에서 유리되는 단백질 용해효소가 폐포벽을 파괴
● 그 결과 염증, 부종, 삼출액 형성
● 흡연 → α₁-antitrypsin의 활동 차단, α₁-antitrypsin 결핍으로 단백질 용해효소의 활동을 억제시키지 못함
● 폐 조직을 지지하는 elastin과 collagen이 파괴되어 폐포 내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지만 호기 시에는 페신장성이 저하되어 공기가 밖으로 배출이 안 되며 폐포 말단에 공기가 갇히게 됨
→ 술통형 흉곽이 형성되고 페포 중격이 파괴되어 공기주머니를 형성
<만성 기관지염>
● 기관과 기관지의 점액분비선 증식, 술잔세포 증식, 섬모 소실, 만성 염증성 변화와 세기관지의 좁아짐, 폐포 대식세포의 기능변화로 기관지 감염이 증가됨
● 감염 → 기관지 내의 미생물 증식, 과도한 점액 분비로 세기관지 폐쇄, 염증반응의 결과로 기관지 벽에 흉터 형성
● 염증반응 → 혈관확장, 울혈, 점막부종이 나타나고 점액선 증식, 기도 내경이 좁아지고 공기 흐름 감소
< 중략 >
2. 건강사정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성명 : 손○○
성별 : M
연령 : 82
입원과명 : MICU
입원일자 : 2018.05.31
입원경로: ☐ 외래 ☑ 응급실
정보제공자: 보호자 (관계 : 손자)
진단명: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현병력
① 발병당시부터 현재 입원하고 있는 병원에 오기 전까지의 상황
: 2018-05-30 AM7:00쯤 앉아 있다가 가슴이 답답하고 식은땀 흘리는 증상이 있으며 Syncope(실신) 있어 ER(Emergency Room :응급실)통해 adm(admission : 입원)
② 병원 도착 시 상태
: SpO₂ 50%, Dyspnea (호흡곤란)
③ 병원도착 후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 부르면 눈뜨고 질문에 고개 끄덕임 가능, SpO₂ 수치는 높아지고 있으나 호흡하기 힘들어 하고 객담이 많음
④ 현시점에서 주호소
: Dyspnea (호흡곤란)
< 중략 >
▪ 간호과정
1)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손자 : “숨소리도 안 좋고 호흡곤란을 보이시다가 기절하셨어요.”
객관적 자료
- 호흡하는데 불편함을 보임
- 병원 도착 시 SpO₂ 50%
간호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의 동맥혈가스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들어간다.
장기목표 : 퇴원 시까지 스스로 안정된 호흡을 한다.
참고문헌
⦁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16)
⦁ 은영 외 16명 공역.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수문사(2014)
⦁ 성미혜 외 3명 공저.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
⦁ 윤재순 외 공저. 『임상약리학』. 현문사(2014)
⦁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2017)
⦁ 은영 외 16명 공역.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수문사(2014)
⦁ 성미혜 외 3명 공저.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
⦁ 윤재순 외 공저. 『임상약리학』. 현문사(2014)
⦁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2017)
추천자료
실습케이스case-만성폐쇄성폐질환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ase study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t...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간호진단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