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적 정세 전망과 노동운동의 발전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머리말

2.세계화담론과 정세전망

3.노동운동의 전개과정

4.노동운동의 발전방향

5.맺음말

본문내용

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그동안 모든 폭압적인 제조건을 극복하고 노동조합운동의 국제적인 하나의 전형을 이루어 온 전노협의 방향과 방침을 민주노총이 내면화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전문성에 기반하는 정책적인 노동운동을 동시적으로 추구할 수 있도록 진보적인 정책역량을 결집하여 역할을 부여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90년대 들어서 노동운동의 영역을 넓히면서 전개되고 있는 전문적 노동정책과의 연대와 결합이 필요하다.
넷째, 권력과 자본의 집요하고 교묘한 탄압과 통제가 지속되는 객관적 조건을 직시하고 민주노총과 자주적 산별노조건설을 위한 방향과 원칙의 관철을 위해 대립과 투쟁을 불사하는 건설경로가 거듭 확인되어야 한다.
5.맺음말
한국의 노동운동을 지켜온 것은 50년대 이후 상층부의 어용 타협주의와 별도로 진행되어 온 기층 노동자들의 자주적 동력이었다. 이 동력은 70년대와 80년대 한국 자본주의의 고도축적과정을 거치면서 계급이념적인 자기방향성을 정립해 나가게 된다. 그러한 정향성은 생산과정에서 출발하는 현장 노동자대중의 구체적인 요구에 바탕하여 자본과 권력의 집요하고 교묘한 노동통제공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더욱 강하게 자신을 보전할 수 있었다. 87년 노동자대투쟁은 한국노동의 이러한 자신의 정향성을 대중적으로 확산하고 체득해내는 역사적인 과정이었다. 80년대 말 소련-동구권이 해체되고 국내외에서 이론적 및 실천적으로 진보진영 위기론이 등장하는 가운데 한국 노동자들은 전국노동조합협의회를 결성하고 80년대 대중적 분출을 조직건설의 에너지로 한단계 높여 결실해냈다.
이러한 그간의 역사적 투쟁성과에 힘입어 이제 지역과 업종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노동자의 전국적 연대조직을 민주노총과 자주적 산별노조로 건설하는 작업이 전개되고 있다. 1990년 전노협이 결성되자 자본과 권력은 3당합당과 경단련 창설 등 대공세로 이에 맞대응하였다. 그럼에도 안팎의 침체론적 위기론적 우려를 뚫고 기층 노동자들의 지역연대와 업종간 연대를 확산하면서 노동자의 전국적 조직강화의 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민주노총과 자주적 산별노조의 건설에 이르기까지도 당연히 전에 못지 않은 회유와 물리적 이데올로기적 공세가 있을 것이다. 우리가 그간의 한국노동운동의 지난한 과정을 되돌아 정리하고 그 성과물들을 다시 확인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리하건대 한국 노동운동이 군부독재 이래의 폭압적 탄압에 맞서 지켜온 고유한 전통은 아래로부터의 연대와 자주성, 노동자민주주의의 원칙, 이념적 지향성 등에 있다. 이 전통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많은 노동자들의 투쟁경험 속에서 피와 땀으로 일구어진 것이다. 이제 한국의 노동운동은 여타 진보적 사회운동의 구심으로서 한국사회의 변혁적 개혁의 가장 중요한 동력이다. 이런 점에서 여타 사회운동에 대해 일방적으로 노동운동의 중심성을 주장하고 요구할 것이 아니라 활동력에서 사회운동의 구심이 되어 여타 사회운동이 제기하는 담론들을 노동운동의 포괄적 담론으로 끌어안아 자신의 운동 동력 속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을 때에만 비로소 노동운동의 중심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의 역사성을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전태일열사의 유언에서 다시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대들이 아는, 그대들의 전체의 일부인 나.
힘에 겨워 힘에 겨워 굴리다 못다 굴린, 그리고 또 굴려야 할 덩이를 나의 나인 그대들에게 맡긴 채,
잠시 다니러 간다네. 잠시 쉬러 간다네
어쩌면 반지의 무게와 총칼의 질타에 구애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않기를 바라는, 이 순간 이후의 세계에서,
내 생애 다 못 굴린 덩이를, 덩이를, 목적지까지 굴리려 하네.... "
) 전태일기념관건립위원회 엮음(1983), "어느 젊은 노동자의 삶과 죽음- 전태일평전", 돌베개, p.234.
참고문헌
김금수(1995), "한국노동운동의 현황과 과제", 덕산종합연구원.
김상곤(1988), '노동조합주의와 노동운동의 이념', 한국기독교산업개발원 엮음, "한국 노동운동의 이념", 정암사.
------(1995), 자본의 합리화공격과 공공부문', 공공부문노동조합 대표자회의-노동조합 기업경영분석 연구상담소 주최, 공공부문 노동조합운동의 방향모색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 1995.1.14.
노동조합기업경영분석연구상담소(1994), 신인사제도와 노동조합의 대응방향 .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김영삼정권1년 정책평가단(1994), 김영삼정권 1년 정책평가서 ,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1994.2.18.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개심포지움 자료(1990), "전노협건설의 당위성 평가", 1990.1.18 참고.
전태일기념사업회 편(1991), "한국노동운동 20년의 결산과 전망", 세계.
한국산업노동학회 제2회 정기세미나(1994), 일본적 생산방식의 국내적용에 대한 검토 , 1994.11.
현대그룹노사관계진단연구반(1994), "현대그룹 노사관계 진단연구보고서", 1994. 5.10.
홍승태(1994), '광주민중항쟁의 좌절과 진보적 노동운동의 모색', 한국민주노동자연합 엮음, "1970년대 이후 한국노동운동사", 동녘.
Perry Anderson(1976), 『서구 마르크스주의 연구』, 이론과 실천사, 1987.
Armstrong,P., and Glyn,A., and Harrison,J.(1991). 김수행 역, 『1945년 이후의 자본주의』, 한울
Giovanni Arrighi(1990), 「맑스주의의 20세기, 미국의 20세기」, 로빈 블랙번 편저, 김영희 외 역, 『몰락 이후』, 창작과 비평사, 1994.
Michael Burawoy(1985), The Politics of Production, Verso.
Bob Jessop(1990), 「조절이론의 회고와 전망」,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제3권, 한울, 1991.
David Mcnally(1990), 'Beyond Nationalism, Beyond Protectionism : Labor and the Canada-U.S. Free Trade Agreement', 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Vol.22, No.1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