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에 대한 고찰 - 중풍(中風)의 개념, 원인, 증상, 변증시치(辨證施治), 변증요점(辨證要点), 류증감별(類證鑑別), 후유증(後遺症)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풍에 대한 고찰 - 중풍(中風)의 개념, 원인, 증상, 변증시치(辨證施治), 변증요점(辨證要点), 류증감별(類證鑑別), 후유증(後遺症)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中風의 개념
2. 中風의 원인
3. 中風의 증상
4. 中風의 변증시치(辨證施治)
5. 中風의 변증요점(辨證要点)
6. 류증감별(類證鑑別)
7. 후유증(後遺症)

본문내용

통이 극열하여 참기 어려우며(頭痛極烈難忍) 반복 해서 구토하고, 마음이 괴롭고 초조하며 불안한(煩躁不安) 증상을 위주로 한다.
중풍(中風) 역시 두통이 극열하고, 한쪽이 마비된 이후에는 구토를 많이 하게 된다. 또 반신불수, 구안괘 사(口眼斜), 언어불리(言語不利), 신혼(神昏)을 위주로 하는 증상이 으로서 대부분 중노인(中老人)에게 발병한다.
7. 후유증(後遺症)
1) 반신불수(半身不遂)
(1) 證狀 : 반신불수(半身不遂), 팔다리가 연약하고 무력하며(肢軟无力), 병이 난
팔다리에 부종이 생기고(患肢浮腫), 얼굴색이 희끄무레하거나(面色晄白) 혹은 누렇게 시들어 빠지고(萎黃), 숨이 차며 심장이 두근거리고(氣短心悸), 혹은 언어가 잘되지 않으며(言語蹇澁), 혹은 입과 눈이 삐뚤어지고(口眼斜), 입술이 어둡고 혀가 담담하며(脣舌淡), 태는 희고 번들번들 윤활해보이고(苔白而滑), 맥은 세하며 무력하다(脈細无力).
(2) 治法 : 익기활혈(益氣活血), 화어통락(化瘀通絡)
(3) 方葯 : 보양환오탕(補陽環伍湯) 가감(加) ≒ 생황기(生黃), 적작(赤芍), 천궁(川芎), 당귀미(當歸 尾), 지용(地龍), 도인(桃 仁), 홍화(紅花)., 희렴초(草), 백출(白朮), 당삼(黨參), 복령(茯).
(4) 加 - 만약 수족이 심하게 부었으면(手足腫甚)
加 택사(澤瀉), 의이인(薏苡仁), 방기(防己).- 삼이수습(利水濕)
- 팔다리가 연약하고 무력한(肢軟无力) 환자
加 상기생(桑寄生), 독활(獨活), 두중(杜仲). -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 앗 찔 하고 어지러우며(眩暈) 귀에서 소리가 나는(耳鳴) 환자
加 자석(石), 우슬(牛膝), 생용모(生龍牡), 천마(天麻). - 평간잠양(平肝潛陽)
- 탁한 담이 락맥을 가로막고(痰濁阻絡) 겸하여 울고 웃기를 반복하며(哭笑无常) 나무토막처 럼 뻣뻣하게 마비되고 연약하며(麻木軟) 태는 기름을 바른 듯하고(苔) 맥은 삽한(脈澁) 경우에는
加 창포(菖蒲), 원지(遠志), 울금(鬱金), 천축황(天竺黃).
- 화담통락(化痰通絡) 성신개규(醒神開竅).
2) 언어불리(言語不利)
(1) 證狀 : 혀가 뻣뻣하여 언어를 형성할 수 없거나(舌强語蹇) 혹은 말을 잘못하고(失語), 입과 혀가 삐뚤어지거나(口舌斜), 혹은 언어가 맑고 분명하지 못하고(言語欠淸) 어지럽게 뒤죽박죽이 되거나(錯亂) 혹은 동문서답(答非所問)을 하거나 혹은 반응이 지둔하고(反應遲鈍), 반신불수(半身不遂), 몸과 팔 다리가 나무토막모양 뻣뻣해지고(肢麻木), 머리가 아프고 앗 찔 하며 어지럽거나(頭痛眩暈) 혹은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설질이 붉고 담담하며(舌質淡紅), 태는 희고 기름을 바른 듯 번들번들 윤활하며(苔白滑而), 맥은 현하며 활하다(脈弦滑).
(2) 治法 : 거풍제담(祛風除痰), 개규통락(開竅通絡)
(3) 方葯 : 해어단(解語丹) 가감(加) ≒ 백부자(白附子),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천마(天麻), 전갈(全蝎), 강활(羌活), 남성(南星), 목향(木香), 감초(甘草)., 울금(鬱金), 락석등(絡石藤), 생백작(生白芍), 생개자(生芥子), 구등(鉤藤).
(4) 加 - 신정이 줄어들어 비게 되고(腎精虧虛), 말을 잃거나(失語) 혹은 언어가 잘 이루어 지지 않고(言語蹇澁), 한쪽이 마비되어 팔다리가 시들고(偏肢), 허리가 시큰 거리고 무릎이 연약하며(腰膝酸軟), 입은 마른데 물을 마시려 하지 않으며(口乾不欲飮), 맥은 침하고 지하며 세하고 약(脈遲細弱)한 환자의 경우는 지황음자(地黃飮子) ≒ 건지황(乾地黃), 파극천(巴戟天), 산수유(山茱萸), 석곡(石斛), 육종용(肉蓉), 포부자(附子), 오미자(五味子), 육계(肉桂), 백복령(白茯), 맥동(麥冬),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생강(生姜), 대조(大棗), 박하(薄荷).
加 울금(鬱金), 목호접(木蝴蝶). - 자음보신(滋陰補腎), 이규계어(利竅啓語)
3) 구안괘사(口眼斜)
(1) 證狀 : 입과 눈이 삐뚤어지고(口眼斜), 혀가 옆으로 삐뚤어지거나(舌斜), 혹은 자갈을 물은 듯(卷縮), 혹은 혀를 영활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입 밖으로 길게 내어 놓고(伸吐不靈活), 얼굴이 나무판 같이 뻣뻣하거나(面部麻木) 혹은 얼굴 근육과 피부가 잡아당기거나(面部肌肉抽動) 혹은 입으로 맑은 침을 흘리고(流口水), 설질은 담홍색이고(舌質淡紅), 태는 희고 얇거나(苔薄白) 혹은 기름을 바른 듯 끈끈ㅎ고(), 맥은 부하고 긴하거나(脈浮緊) 혹은 부하고 활하다(浮滑).
(2) 治法 : 거풍통락(祛風通絡), 제담개규(除痰開竅)
(3) 方葯 : 견정산(牽正散) 가미(加味) ≒ 백부자(白附子), 강잠(), 전갈(全蝎). 오공(蜈蚣), 락석등(絡石藤), 천마(天麻), 구등(鉤藤), 원지(遠志).
(4) 加 - 만약 담과 혈이 순조롭게 소통되지 못하고 정체되어서 뭉쳐진 병리적 산물이 되고(痰瘀血結) 겸하여 혀와 입술색이 어둡고, 맥이 침하고 세하면서 삽한(脈細澁) 환자의 경우는
加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 당귀(當歸). - 활혈화어(活血化瘀
4) 음수반창(飮水反)
(1) 證狀 : 혀와 목구멍이 상호 조화롭지 못하고 불리함으로 물을 마시면 사례가 걸려 기침을 하게 되고(飮水咳, 舌咽不利), 혀가 뻣뻣해서 말을 하려 해도 성사되지 못하고(舌强失用, 言語蹇澁), 울고 웃기를 반복하며(哭笑无常), 혹은 수반하여 입과 눈이 옆으로 삐뚤어지고(口眼斜), 반신불수(半身不遂)가 되고, 설질은 어둡고 담담하고(舌質淡), 설체는 넓적한 고깃덩어리 한 점 모양으로 크고(舌大), 설태는 희고 두껍고 찐득찐득하다(苔白厚而).
(2) 治法 : 화담활혈(化痰活血), 청뇌리신(淸腦理神)
(3) 方葯 :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 가감(加) ≒ 사간(射干), 길경(桔梗),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 단삼(丹參), 지각(枳殼), 현삼(玄參), 목호접(木蝴蝶),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시호(柴胡), 울금(鬱金), 천축황(天竺黃).
(4) 加 : 去 감초(甘草)., 加 사간(射干), 천궁(川芎), 단삼(丹參), 목호접(木蝴蝶),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울금(鬱金), 천축황(天竺黃).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12.14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4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