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모의 시세계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한모의 시세계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한모의 생애
Ⅲ. 연구사 검토
Ⅳ. 정한모의 시세계
1. ‘밤’과 ‘어둠’ - 불안 의식
2. ‘아가’ - 휴머니즘
3. ‘유두(乳頭)’ - 에로티시즘
4. ‘어머니’ - 전통의식
5. ‘새벽’ - 미래지향의식
Ⅴ. 나가며
Ⅵ. 토론 및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법이었겠으나, 몇 가지 논문을 읽어나가면서 정한모에게는 대표되는 의식들이 돋보여 이를 택하여 고찰하였다. 참고 논문들 중에서 김동문 김동문, 앞의 논문
은 정한모의 불안의식에 집중하여 연구하였고, 김영옥 김영옥, 앞의 논문
은 초기ㆍ중기ㆍ후기시를 나누어 살피되 시기적 의미보다 그 시기에 두드러진 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으며, 송기한 송기한, 「정한모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은 그의 논문에서 그의 시 속 ‘고향’을 통해 그의 의식에 집중하였다. 그들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정한모의 시세계는 시기에 따른 변모보다는 그 전체에 드러나는 의식에 휴머니즘 등을 통한 사회와의 대결이라는 일관성이 더욱 두드러진다고 여겨 본고의 고찰 방식을 택하였다.
정한모의 시를 바라보면서 참으로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그의 감성을 때로는 절제하며 참으로 섬세하게 표현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어두운 현실을 수없이 겪으면서 그 현실에 분노할 만도 하건만 격한 어조보다는 ‘밤’이나 ‘어둠’으로 다소 추상적인 공간으로 표현하면서 그 분노를 절제하고 ‘아가’의 이미지나 ‘새벽’, ‘빛’, ‘나비’등의 이미지를 통해 그 놓지 않는 희망의 끈을 감각적으로 표현해내고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한 눈에 그 뜻을 파악하기 난해한 시어들도 제법 있었지만 깊은 생각을 통해 그 뜻을 파악하면 ‘아!’하는 감탄사만이 입에서 터져나오는, ‘그야말로 버릴 시어가 없는 시구나.’ 싶었다. 동시에 그런 그의 시에 대한 연구가 ‘다른 시인들에 비해서 다소 미흡하지 않았나.’라는 생각도 지울 수 없었다. 본고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자기애 양상에 대한 고찰 양소영, 「정한모 시에 나타난 자기애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이나 고향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 고찰 역시 충분히 심화되어 연구될 가치가 있는 부분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이번 발표를 빌어 시인 정한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정한모 시인을 조사하기 위해 많은 자료를 찾아봐야 했지만 한국어 능력상의 한계로 많이 알아보지 못했다. 정한모 시인에 대한 논문을 읽었을 때 재미있는 부분이 있었다. 정한모 시인은 머리가 보통 이상으로 컸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어렸을 때부터 ‘대갈장군’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었다. 정한모 시인은 다른 시인들과 달리 전쟁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어는 매우 차분하였다. 빛, 아가, 새벽, 어머니 등과 같은 이미지로 시대의 어둠을 극복했다고 생각한다. 그의 시를 읽으면서 다른 시인들의 시처럼 그렇게 어렵거나 난해한 표현들이 아니라 쉽고 순수하고 친근한 표현으로 시를 썼다는 느낌이 들었다. 예를 들어 그의 시 「가을에」에서는 ‘달에는/ 은도끼로 찍어 낼/ 계수나무가 박혀 있다는/ 할머니의 말씀이/ 영원히 아름다운 진리임을…’ 이 시구를 보면 마치 어린 아이한테 이야기 하듯이 아주 천진난만한 시어를 썼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정한모 시인은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교수를 했던 겸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나에게 정한모 시인에 대해 아주 친근함을 느꼈던 결정적인 원인이다.
정한모의 생애를 준비하면서 재밌었던 부분이 있었는데, 정한모가 태어날 때 머리가 너무 커서 어머님이 고생을 많이 하셨다. 그래서 별명도 좀 있었다. 정한모의 생애를 많이 찾아봤지만 아주 적은 것이었다. 다른 시인보다 생애가 없었고 다른 시인보다 생애도 적었다. 그리고 정한모는 다른 시인보다 술을 더 좋아하신 것 같았다. 부친을 일찍 잃어버려서 인지 정한모의 시인 비교적 차분한 편인 것 같다. 그리고 정한모의 시에는 어머님이 많이 들어있다고 생각을 한다. 정한모는 다른 시인과 달리 아주 많은 대학교에서 강의도 하였다. 너무 존경스러운 분이신 것 같다
참고문헌 (‘’는 직접 읽은 문헌입니다.)
이병철, 「정한모의 시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김동문, 「정한모의 시에 나타난 불안의식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김영옥, 「정한모의 시세계 연구」, 2001
이숭원, 「정한모의 인간과 삶」
전미정, 「정한모 시의 에코에로티시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26집, 2005
송기한, 「정한모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양소영, 「정한모 시에 나타난 자기애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양소영, 「정한모 시의 모성성 발현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김재흥, 「따뜻한 정감의 세계, 사랑과 구원의 시정신」, 『문학사상』, 1991
김재흥, 「휴머니즘 또는 미래지향의 역사의식」, 『현대문학』, 1983
신 협, 「생명의 외경과 휴머니즘」, 『현대시』, 1991
오세영, 「자아와 세계의 화해」,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김준오, 「정한모의 멸입」,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김시태, 「정한모와 휴머니즘」,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유태수, 「정한모의 후기 시세계」,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유건청, 「희망적 비젼과 균형의 세계」,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김영철, 「정한모 시의 지수 비평적 고찰」, 『현대시학 연구』(1집), 한국 시학회, 1998
하현식, 「정한모론」,백산출판사, 1990
양승준, 「정한모 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1999
조병춘, 「한국 抒情詩 연구 :김현승, 정한모, 박재삼, 조병화 시를 중심으로」, 『새국어 교육』(통권62호), 2001
김형필, 「정한모론」, 『논문집 : 어문학·사회과학·자연과학 31』, 한국외국어대학교, 1999
김재홍, 「따뜻한 정감의 세계,사랑과 구원의 시정신;故 정한모의 시세계」, 『문학사상222』, 문학사상사, 1991
이상호, 「원점,그 인간본향에 대한 갈망;『原點에 서서』,정한모 저 <서평>」, 『민족과문학 1』, 민족과문학사, 1989
원형갑, 「스스로에 의한 정한모의 시적계기」, 『論文集(논문집) 9』, 한성대학교, 1985
조창환, 『한국 현대시의 분석과 전망』, 한국문화사, 2010
오세영 외,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시학사, 1992
정한모, 김종철「나의 문학, 나의 시작법」, 『현대문학』, 시와시학사,
  • 가격2,8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6.04.16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0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