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심청축제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곡성 심청축제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할 수 있는 효과로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지역축제가 해당지역에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유발효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직접효과는 외지로부터 관광객의 유입으로 인한 관광 수입, 축제 개최를 위한 건설비, 운영비, 공공 사업비지출관련민간설비투자 등 생산유발효과를 갖는다.
간접효과는 이벤트를 통해 해당 지역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및 사회하부구조를 건설하는 등 지역사회를 정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유발효과로 지역의 축제관련산업을 진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뿐 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역의 이미지 개선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고양시킬 수 있다.
지역축제는 경제적 기능이외에도 다양한 사회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첫째, 지역축제는 새로운 것을 발굴하고 보급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점이다. 해당지역이 갖고 있는 특성을 발굴하여 문화로 육성하기 위해 문화인프라를 건설한다든가, 주민 참가형 축제를 시행하는 것은 지역의 매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축제 개최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고유한 이미지를 창조하여 지역의 지명도와 품격을 고양시킨다. 또한 지역사회의 이미지 제고는 주민들로 하여금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에 활력을 넣어 주는 촉매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제고됨에 따라 문화적 생활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축제를 통해 지역간, 국가간 문화교류를 활성화시킨다. 문화교류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축제가 아니더라도 축제를 통해 문화가 교류된다. 문화교류는 서로 다른 지역 간의 이해와 상호협력에 도움을 준다.
결론적으로 지역축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지역 축제는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지역 문화의 창의적 생산력을 키워낼 수 있는 지역 활성화의 자원이라는 점에서 대안 모색을 게을리 할 수 없다.
그중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축제 평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평가 시스템은 축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조치이다. 일단, 대상은 지역의 공공 자금이 투여되는 축제에 대해 평가시스템을 가동하고 이것이 환류(feed-back)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평가시스템은 평가 쉬트의 구성, 시민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의 조직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평가 쉬트를 만드는 작업은 지금까지 몇몇 사례도 나와 있고 평가 지표 개발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도 이미 제출되어 있기도 하므로 당장 추진해도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평가단을 구성하는 문제 역시 문화연대의 사례가 훌륭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역 차원에서도 중립적인 단체에서 전문가 평가단과 시민 평가단을 운영하는 시범적인 조치들이 필요하다. 다만 그런 결과가 반드시 지역 축제에 대한 선택과 집중, 그리고 지원의 차별화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특히 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원하는 축제에 대해서는 축제의 차별화와 특성화를 위해 그런 조치들이 필요하다.
결국 두 번째 대안은 지역 축제 발전을 위한 집중과 선택의 전략이다. 관이 주도가 되어 축제를 과도하게 키워 놓고 유사한 행사를 중복해서 편성하는 것이 현재 나타나고 있는 지역 축제의 고질적인 문제점이다. 이런 관행들을 없애면서 집중과 선택의 슬기를 모으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도 앞에서 언급한 지역 축제의 평가 문제는 중요하다. 그러나 이때 중요하게 감안해야 하는 것이 민간 축제이다. 이런저런 방식으로 소규모의 예산은 지원받지만 순수 민간이 주체가 되어 시행하는 축제에 대해서는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공공의 자금에 크게 기대지 않고 자생적으로 만들어가는 축제야말로 어떻게 보면 한국 지역 축제의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런 축제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간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므로 축제 고유의 성격에도 맞는다. 이런 축제는 관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면서 적절한 선에서 행정적 지원을 해나간다면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축제 네트워크의 구성이다. 현재 많은 축제가 시행되면서도 축제간 상호 네트워크는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축제 기획자와 집행자, 관련 전문가와 축제 정책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가 구성되면 상호 발전적인 힘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다. 경험을 공유하고 프로그램에 대해 상호 조율할 뿐만 아니라 축제 지원의 정책적 수요를 이곳에서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공유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네 번째, 이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일로서 축제 프로그램 뱅크의 운영이다. 일부 지역 축제는 프로그램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축제 예산에 비해 지나치게 축제 프로그램이 많다. 그러다 보니 축제 프로그램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거나 축제에 대한 응집력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만들어 낸다. 그런 점에서 전국의 축제 가운데에 성공한 프로그램이나 특성화된 프로그램, 그리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제안을 받아 이를 축적하여 축제 기획자로 하여금 축제를 개발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프로그램 뱅크의 운영은 실제 축제를 내실있게 키워나가기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프로그램 뱅크의 운영이 비슷한 축제를 양산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도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보자면 부정적인 영향보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이점이 가장 중요한데,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축제에 대한 자기 나름의 일관된 원칙과 철학을 갖고 있어야 한다. 원칙과 철학이 있어야 제대로 된 정책도 수립될 수 있다. 지역 축제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은 따져보면 제대로 된 정책이 수립되어 있지 못하다 보니 발생하는 문제이다. 지금이라도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어떻게 하면 지역 축제의 경쟁력을 높이고 축제가 민간의 문화적 창의력을 높여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혜를 모아나가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4.12.1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