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입문] 삼한 통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사입문] 삼한 통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한통일이 아닌 삼한통일
2. 삼한통일 ‘신라의 힘’ 원천
3. 대외관계 (나·당)
4. 삼한통일의 과정
5. 삼한통일의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고자 한 것이었다. 즉 고구려에의 청병이 실패되자 비로소 당과 더욱 적극적으로 교섭하였다. 당은 그의 패권주의적 동방정책의 일환으로 신라를 끌어들인 셈이지만, 신라의 단계적인 외교의 적중이 그렇지 못했던 고구려ㆍ백제와 비교되어 결국 신라는 뛰어난 국제 감각으로 현실을 대처하였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신라는 백제ㆍ고구려를 패망시키기까지 표면상 당과 주종관계에서 있었으나, 그것은 신라의 자주성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국가의 이익을 위한 외교였을 뿐이었다. 바로 국가의 흥망을 건 대당전쟁은 표면상 유보되었던 주체성 회복운동인 동시에 전쟁 전의 영토분할약정을 지키지 않았던 당을 응징하고 국익을 되찾기에 이르렀고 이것이 신라의 참모습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라가 삼한을 통일한 것은 우리 민족의 영토를 크게 축소시켰다는 사실 때문에 그 의미가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신라의 통일이 한민족의 활동 영역을 한반도로 축소시킨 원인이라고 말하는 이도 많다.
물론 그것이 사실이라고 할지라도, 그 때문에 신라의 삼한 통일을 무의미한 것으로 평가해서는 곤란하다. 신라가 외세를 끌어들여 통일을 했다는 것이나 통일로 인해 우리 민족의 활동 반경이 좁아졌다고 말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민족적 개념이 형성된 고려 이후의 사관에 해당한다.
신라에겐 고구려나 백제, 왜, 당이 모두 외세였다. 국력이 약했던 신라로서는 그들 중 어느 나라와도 연합을 꾀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신라의 입장에서 보면 삼한 통일은 힘겹고 벅찬 작업이었으며, 그들 나름으로는 살아남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이다. 한반도 동쪽의 작은 나라 신라가 북방 대국 고구려와 숙적 백제, 그리고 대륙 대국 당, 남방의 강적 왜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아 한반도의 일부나마 통일한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기 때문이다.
비록 신라의 통일은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으나 한국사에 있어서 전근대 민족형성의 기틀이 되어 민족국가 출범의 첫 계기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신라의 삼한통일과 자주성 회복과정은 곤혹스러운 삼국 상호항쟁과 국가이익에 앞선 대당관계를 신라 특유의 대응과 인내와 기다림으로 당차게 극복한 쾌거의 역사이기도 하다.
※ 참고문헌
이도학,『한국고대사, 그 의문과 진실』, 김영사. 2001.
신형식,『신라통사』, 도서출판주류성. 2004.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 9』, 1998.
박영규, 『신라왕조실록』, 웅진, 2001
김수대, 『신라중세정치사연구』, 일조대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3.17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