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심리학] 융의 생애와 인간관 분석심리학이론의 개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심리학] 융의 생애와 인간관 분석심리학이론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융의 생애

II. 인간관

III. 이론적 배경
1. 단어연상검사와 콤플렉스
1) 단어연상검사
2) 콤플렉스
2. 정신세계
1) 자아
2) 페르소나
3) 그림자
4) 개인적 무의식 및 집단적 무의식
5) 자기
6) 원형론
7) 아니마와 아니무스
3. 심리학적 유형론
4. 꿈

* 참고문헌

본문내용

e)을 제시하였다.
본능은 무의식과 의식을 교차하면서 개인의 행동, 태도 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인간은 누구나 본능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 단지 본능을 표현하는데 다소 차이를 보일 뿐이다.
원형은 정신세계의 이미지를 뜻한다. 원형은 그 누구도 보고 접한 적이 없는 가설적 모델로 이론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즉 원형은 원시시대부터 현재까지 계속 이어 내려오는 동일한 이미지다. 원형은 세대 및 문화를 통해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개인이 형성한 것이 아닌 생득적인 이미지이다(Herman, 1975).
원형은 양극과 음극 모두의 대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경험에 의해 긍정적, 부정적 원형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애정적이고 수용적인 양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다정하고 따뜻한 어머니원형을 갖게 될 것이고, 반대로 항상 거부적이고 무관심한 어머니 밑에서 성장한 사람이라면 냉정하고 이기적인 어머니원형을 갖게 될 것이다.
집단적 무의식은 무수히 많은 원형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어머니원형, 아버지원형, 영웅원형, 아니마원형, 아니무스원형, 어린이원형, 자아원형, 자기원형 등이다. 이는 신화와 민담, 설화 등을 통해 시대, 지역을 초월하여 나타난다.
융은 심리적 고통을 겪는 것은 부정적 원형에 의해서이지만, 지나치게 긍정적 원형도 문제를 불러일으키며 이것이 콤플렉스가 된다고 하였다. 즉 원형은 균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는 개성화(individuation)가 되는 것이라 하였다.
7) 아니마와 아니무스
아니마, 아니무스는 무의식 영역에 존재하는 원형이다. 아니마(Anima)는 남자의 심리적 여성성이며, 아니무스(Animus)는 여자의 심리적 남성성을 뜻한다(Schwartz, 1995).
권위적이고 강해보이는 남자가 섬세하고 여린 면을 가지고 있다든지, 한없이 연약해보이고 유순해 보이는 여자가 위기상황에서 극도의 결단력과 용기를 보이는 것을 쉽게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그 내면에 있는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표출되기 때문이다.
만약 남녀 간에 사랑이 순식간에 타오른다면 그것은 상대에게 자신의 아니마, 아니무스를 투사하기 때문이다. 많은 예술가들은 그들의 작품 속에 자신의 아니마, 아니무스를 표현한다.
(3) 심리학적 유형론
심리학적 유형론은 대극이론에 기초하여 개인의 성격을 분류한 것이다. 융은 인간의 정신세계는 마꼰polarity)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내향성의 대극은 외향성이며, 사고의 대극은 감정이고, 감각의 대극은 직관이다. 정신세계의 대극은 서로 균형 잡고 통일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심리학적 유형은 태도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태도적 유형은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내향성, 외향성으로 나누고, 기능 유형은 우월기능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우선 내향성(introversion)은 에너지의 초점이 자신 내면으로 향하는 것을 말한다. 내향성은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후에 경험하려 드는 특징이 있다. 반면에 외향성(extraversion)은 에너지가 외부환경으로 향하는 특성이 있다. 외향성은 적극적이며 활동적이고 경험을 통해 이해한다.
기능은 우월기능과 열등기능으로 나누고, 다시 우월기능에 따라 사고형, 감정형, 감각형, 직관형의 4가지로 나누었다.
(1) 사고형 (Thinking)
주어진 내용을 판단을 거쳐 연관시키는 정신기능으로 진실과 사실에 관심이 많으며, 논리적이고 분석적, 객관적이다.
(2) 감정형(Feeling)
사고와 대극이 되는 것으로 사람과 관계에 관심을 가지며 상황적이고, 나에게 주는 의미를 중시한다.
(3) 감각형(Sensing)
실제 경험으로 나타나는 감각을 중시하며, 지금-현재에 초점을 맞추려 한다.
(4) 직관형 (Intuition)
감각과 대극적인 것으로, 영감적이며 미래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
기능유형을 다시 내향성, 외향성으로 구분하면 여별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심리학적 유형론의 이해는 개인의 우월한 기능을 더욱 발달시키고, 열등한 기능을 개발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MBTI는 음이 제시한 기본적인 유형 이외에 판단형(Judging: J) 및 인식형(Perception: P)을 포함시켜 16가지 성격유형을 제시한 대표적인 인성검사이다.
(4) 꿈
융은 꿈을 통해 무의식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꿈은 자기와 자아가 만나는 접촉점이다. 꿈의 상징들을 통하여 자기는 자아에게 메시지를 전하려고 한다. 꿈의 메시지를 잘 이해하는 것은 자기를 올바로 이해하는 길이 된다. 융은 꿈은 인간에게 심연의 자기를 들여다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하였기 때문에 꿈의 기록을 강조하였다.
분석심리학에서 꿈은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꿈을 통한 예시적 사건을 탐색한다. 둘째, 꿈의 대상 및 주제 내용을 탐색하여 무의식 내의 원형적 이미지 및 상징 찾는다. 셋째, 의식 속으로 꿈을 동화(assimilating)시켜 살펴본다(Seligman, 2001).
꿈을 중시하는 융의 태도를 표현하는 사례가 있다. 어떤 등산가가 융을 찾아와 산 정상에서 허공으로 떨어지는 꿈을 꾸었다고 얘기했다. 융은 그 꿈은 예지몽으로 등산가의 앞에 닥쳐올 위험을 알려주는 경고라고 강조하며 등산을 자제하도록 조언하였다. 하지만 등산가는 꿈에서 자기가 자아의 미래를 알고 알려주려 했다는 것을 믿지 않은 등산가는 산에 올랐고, 결국 실촉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융은 이처럼 의식적 자아는 자신의 미래를 알아보지 못하지만, 인간의 무의식은 정확히 미래를 볼 수 있으며, 이를 꿈을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2.15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