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실천론 - 노인의 죽음과 자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실천론 - 노인의 죽음과 자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년기의 죽음

1. 죽음의 의미와 태도
2. 임종과 죽음의 단계
3. 사별과 애도과정

Ⅲ. 본론 2: 노년기의 자살

1. 노년기 자살의 개념
2. 노년기 자살의 현황
3. 노년기 자살의 주요 요인
4. 노년기 자살 예방을 위한 개입

Ⅳ. 결론: 노년기의 자살 예방 프로그램 사례

1. 프로그램 개요
2. 프로그램 수행 현황
3. 프로그램 성과 및 향후 과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복으로
우울증 감소와 자살예방
우울증 척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체 대상자의 우울증 수치가 감소함.
<표 9. 프로그램 전체 평가>
(2) 대상자에게 미친 영향 또는 변화
재가대상자들의 우울증 정도가 심하며 자살에 대한 위험한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많아 자살예방에 대한 프로그램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상담 및 자원봉사자들의 연계와 지역사회 연계망을 형성하였고 지속적인 안부확인과 정서적인 지지를 통하여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대학생 및 노인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정서지원으로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본 사업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알리는 데에 기여하였다.
(3) 대상자 만족도 수준
본 사업에 참여하였던 1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및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 정도, 정서적 만족도, 정서적인 변화, 무기력함 정도, 감정 조절 변화, 세부 프로그램 만족도, 자원봉사자에 대한 만족도 등 10문항을 구성하여 기관 자체적인 조사를 한 결과 93%의 대상자가 향후 참여의사를 밝혔다.
2) 프로그램 제한점
1-3세대의 학생 봉사자의 일정과 어르신의 일정을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 학생들은 3개월이라는 방학기간이 있어 방학 동안은 프로그램 참여자 어르신들께 양해를 구하고 프로그램 일정을 미루고 개학한 뒤 일정을 잡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3) 프로그램 향후 전망 및 제언
1년 동안 본 사업을 진행해 온 결과, 노인들의 자살예방 필요성이 지역사회 내에 알려지게 되었고, 본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싶어 하는 대상자 및 자원봉사자의 신청문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2014년 “잘살아보세!”는 공동모금회 연속사업에 신청하여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앞으로도 우울증이 심하고 삶의 의욕이 저하된 재가어르신들의 삶을 보호할 예정이다.
Ⅴ. 참고문헌
권중돈(2016). 「노인복지론」. 학지사.
권중돈·김유진·엄태영·이인원(2010). 노인복지관의 자살예방 사업 모형개발 연구.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김열규(2001).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서울: 궁리.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김형수(2006).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10, 25-45.
김효창(2010). 스트레스, 우울,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 165-178.
노원노인종합복지관(2006). 아름다운 생애마감을 위한 senior 죽음준비학교 사업보고서.
박재황·노용환·위대한(2001). 농어촌과 지방도시에서 노인자살 기도자에 대한 임상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2(2), 81-92.
배지연(2004).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 신문기사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3, 65-82.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2008). 노인자살예방센터 운영 및 게이트키퍼양성사업 운영보고서.
서화정(2005).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사업 개입전략.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영전(2006). 국내 자살증가의 원인분석 및 정책개발을 위한 사회, 경제학적 연구. 한영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증진사업지원단.
유경(2008). 「유경의 죽음준비학교」. 서울: 궁리
엄태완(2007).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2), 355-379.
이소정·이수형(2009). 우리나라 노인자살예방사업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32-42.
이신숙·이경주(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1-19.
이지영·이가옥(2004).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24(2), 193-215.
전영기(2000).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2013). 2013년도 고령자 통계.
한국자살예방협회(2008).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한삼성·강성욱·유왕근·피영규(2009).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9(1), 192-212.
허준수·유수현(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7-36.
홍숙자(2001). 「노년학개론」. 서울: 도서출판 하우.
Beck, A. T., Kovacs, M.,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Butler, R. N., & Lewis, M. I. (1973). Aging and mental health: Positive psychosocial approaches. Saint Louis, MO: The C. V. Mosby Co.
Corr, C. A., Nabe, C. M., & Corr, D. M. (1997). Death & dying, life & living (2n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OECD. (2009). Society at a glance 2009: OECD social indicators.
Pattison. E. M. (1977) The Experiencing of Dy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Pincus, L. (1974). Death and the family. New York: Random House.
Rando, T. A. (1993). Treatment of complicated mourning. Champaign, IL: Reserarch Press.
Weisman, A. (1972). On dying and denying. New York: Behavioral Publications.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