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드라마의 등장과 발전 방향 연구 죠스떡볶이 매콤한 인생, 이휴증, 퐁당퐁 LOVE를 중심으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웹 드라마의 등장과 발전 방향 연구 죠스떡볶이 매콤한 인생, 이휴증, 퐁당퐁 LOVE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TV 드라마의 특성
1) 열린 텍스트
2) 능동적 수용자
2. 웹 드라마의 특성
1) 스낵컬처 콘텐츠
2) 다원화된 생산주체
3) 서사적 특징

III. 사례 분석
1. 죠스떡볶이 매콤한 인생
1) 방영 정보
2) 웹 드라마 도입기
3) 스토리텔링 구조와 영상 구성 : ‘모바일’ 고유의 영상 미학
2. 후유증
1) 방영 정보
2) 웹 툰과 웹 드라마
3) 스토리텔링 구조와 영상 구성 : 환상성의 표현
3. 퐁당퐁당 LOVE
1) 방영 정보
2) 감정적 공감
3) 스토리텔링 구조와 영상 구성 : 탄탄한 문학적 서사 구조

IV. 결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콘텐츠’를 꼽았다. 언제 어디서든 이용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가 보편화한 가운데, 이에 걸 맞는 스마트 핑거 콘텐츠가 쏟아질 것에 주목한 것이다. 배국남닷컴. 2015년 9월 3일자 “웹소설·웹툰·웹드라마·웹예능..…대중문화 강타! 왜? 얼마나?”
http://baekn.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51519
즉 스낵컬처가 대중문화 분야에서도 대세를 이룰 것이라 주목했고, 이는 적중했다. 2015년 한 해 동안 방영된 웹 드라마는 전 해보다 3배 증가했고 웹 예능의 등장이 이루어졌다. 이제 웹 콘텐츠는 대중문화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고 해외에 한류 콘텐츠의 위상을 높이는 콘텐츠가 되었다. 앞으로 어떻게 발전되어갈지 그 방향과 크기가 기대되는 분야이다. 이에 본 논문은 웹 드라마의 정착이 시작된 지점에서 종합적인 탐색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새롭게 시작될 또 다른 웹 드라마 연구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흥미로운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한계를 갖고 있고 ‘웹 드라마’의 특성을 일관된 기준으로 묶어 비교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더 많은 사례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웹 드라마’분야만의 구분되는 일반적인 패턴과 특성을 기준으로 나열해서 드라마별 비교분석을 통해 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Ⅴ. 참고문헌
<한국 문헌>
권중문(2004), “아날로그 TV와 HDTV 드라마 영상표현의 비교”, 『언론과학연구』, 제4-3호, pp5-39.
김용학(2007),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김재필, 성승창, 홍원균(2013),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 웹툰의 미래”, 『KT경제경영연구소』, pp1-19.
김정기, 박동숙(1999),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박지혜(2015), “문화콘텐츠산업의 새로운 트렌드, 스낵 컬처(Snack Culture)의 현황 및 전망”, 『KIET 산업경제』, 2015년 4월호, pp46-53.
박석환(2014), “포털 웹툰 플랫폼의 산업 규모와 운영 정책 모델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제10권 제2호, pp145-162.
박수철, 반옥숙, 박주연(2015), “웹 드라마의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6권 제2호. pp47-70.
송정은(2014), “웹툰 마케팅의 가능성과 활성화를 위한 제언”, 『문화콘텐츠 연구』, 제 4호, pp33-61.
송희복(2010), “영상문학으로서의 TV드라마, 그 내력과 의의”, 『영화』, 제3권 제2호, pp93-119.
윤석진(2009), “디지털 시대, TV드라마 연구 방법 시론”, 『한국극예술연구』, 제37집, pp199-230.
이은영(2007), “TV 드라마 장르의 진화와 그 과정으로서의 웰 메이드(well-made)드라마 논의”,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1-123.
이 진(2015), “한국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양상”, 『인문콘텐츠』, 38호, pp241-260.
장동련 외(2013), ‘미디어 확장과 진화에 따른 트랜스브랜딩’, 『디자인학연구』, 제 26권 1호, pp435-463.
전경란(2015),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및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pp463-489.
정영희(2007),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4호. pp32-57.
제이 데이비드 볼터, 리처드 그루신(2006), 『재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재현 역.
조수미(2011), “뉴미디어로서의 OTT 서비스”,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1. 6, pp881-882.
존 피스크(2005), “대중문화의 이해”, 경문사, 박만준 역,
크리스 앤더슨(2006), 『롱테일 경제학』, 랜덤하우스, 이노무브그룹 역.
한성희, 여정성(2007), “TV 드라마 속의 PPL 규제 개선방안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3권 2호, pp43-62.
한혜원·김유나(2015), “한국 웹콘텐츠의 동향 및 유형 연구”, 『이화어문논집』, 제 35집, pp31-52.
<외국 문헌>
Bolter, Jay D. & Grusin, Richard(1999),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신문 기사>
뉴스핌. 2016년 1월 8일자 “새해도 웹드라마는 본격 상향세…수익창출 모델 재구성”
배국남닷컴. 2015년 9월 3일자 “웹소설·웹툰·웹드라마·웹예능..…대중문화 강타! 왜? 얼마나?”
서울경제, 2016년 1월 16일자 “‘응답하라1988 마지막회‘어남류vs어남택…김주혁에 달려있다”
세계일보, 2016년 2월 8일자 “8일 설특집 ‘퐁당퐁당 러브’ 편성…다시 만난다!”
스포츠조선, 2015년 9월 13일자 “클릭-협찬-수출, 웹 드라마의 경제학”.
연합뉴스. 2016년 1월 8일자 “‘퐁당퐁당 러브’, TV중심 콘텐츠시장 빗장 풀었다”
오센, 2016년 1월 4일자 “ ‘치인트’, ‘치어머니’ 시집살이 피하려면”
인천일보, 2012년 9월 19일자 “\'차칸남자\'맞춤법 지키는\'착한남자\'로”
주간동아, 2014년 12월 1일자 “막강 ‘웹툰’, 대표선수로 뜬다”
MNB, 2014년 3월 17일자 “SNS시트콤 ‘매콤한 인생’ 주인공은...”
TVDaily, 2014년 11월 18일자 “제국의아이들 동준출연, 웹드라마 ‘후유증’ 중국서‘6000만뷰’ 대박”
<인터넷 사이트>
매콤한 인생 채널 http://tvcast.naver.com/jawsfood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www.kisa.or.kr
퐁당퐁당 LOVE 채널 http://tvcast.naver.com/pongdanglove
퐁당퐁당 LOVE DVD/BLUERAY 추진 카페 http://cafe.daum.net/pongponglove
후유증 채널 http://tvcast.naver.com/aftermath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23.01.28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3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