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녀의 가족을 해체시킨 사회에 대한 분노로 느껴진다.
3. 결론
배윤민정은 “나는 내 마음에 맞는 사람과 함께 일상을 가꾸어가길 원한다. 나는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내가 원하는 것을 한 가지라도 포기하고 싶지 않다.”라는 말과 함께 법과 제도적인 보호를 논한다. 관계에 대한 사회적인 인정과 제도적인 보호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그 대상이 여성인권의 향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변화를 두려워한다. 시대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은 항상 두려움의 대상이었으며, 결국에는 선망의 대상이 된다. 그런 의미에 배윤민정은 시대를 바꿔나는 사람으로, 지금 당장은 두려울 수 있지만 나는 그녀를 응원하고 싶다.
그녀는 남편의 부모와 오랜 기간 지내왔고, 특별한 애정이 있었다고 한다. 물론 그렇기에 그녀는 가족의 해체를 원한 것이 아니었다. 다른 사람들은 호칭 문제에 대해 이혼과 같은 방법만이 정답이라고 했지만, 그녀는 해체가 아니라 오히려 더 좋은 관계를 위해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이혼했다. 가족 간의 호칭 문제는 한국 사회를 뒤흔들 정도로 상당히 큰 문제였고, 그녀 혼자만의 영향력으로는 문제 해결이 힘들었으며, 그렇기에 이 책을 출간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아무리 요즘 세대에 가부장적인 문화가 사라져가고 있다고 해도, 오랜 시간 동안 우리 사회를 유지시킨 가부장적인 문화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가끔씩 나타나는 그 잔여물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다. 이런 문제들이 여성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사람이 한순간에 바뀌는 일은 어려운 법이다. 물론 그녀의 주장은 옳지만,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그녀의 요구는 너무 갑작스럽고,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 진정한 평등이란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 적은 사람에겐 많이, 많은 사람에겐 적게 나눠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모두 다르다. 그녀가 말하는 평등은 분명 옳지만, 이 부분을 고려하지 못한 게 아닐까 한다. 가족이 진정으로 평등했으면 좋겠다는 염원을 담은 그녀의 노력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또 그녀의 말에 분노를 느낀 가족 구성원들도 잘못된 것이다. 이는 우리 사회 뿌리 깊은 문화의 영향이며 그렇기에 나는 안타까울 뿐이다. 가족의 영위를 위해 문제를 제기했던 그녀는 가족을 잃었다. 나는 그녀의 가족이 해체했음을 애도한다.
마지막으로 호칭이라는 일상적인 관념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의문을 제기하지 않은 나 자신이 부끄럽다. 언어의 영향력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이는 개인을 응원하며, 억압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점을 시사하는 작품으로, 앞으로 수많은 고민을 이어나갈 작품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배윤민정,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푸른숲, 2019
심지영, 한국어 배우자 가족 호칭의 문제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 2013
조용준, 한국어 호칭 표현의 범위과 그 특성, 한말연구학회, 2018
채완, 가족 간의 언어 예절, 동덕여자대학교, 2018
3. 결론
배윤민정은 “나는 내 마음에 맞는 사람과 함께 일상을 가꾸어가길 원한다. 나는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내가 원하는 것을 한 가지라도 포기하고 싶지 않다.”라는 말과 함께 법과 제도적인 보호를 논한다. 관계에 대한 사회적인 인정과 제도적인 보호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그 대상이 여성인권의 향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변화를 두려워한다. 시대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은 항상 두려움의 대상이었으며, 결국에는 선망의 대상이 된다. 그런 의미에 배윤민정은 시대를 바꿔나는 사람으로, 지금 당장은 두려울 수 있지만 나는 그녀를 응원하고 싶다.
그녀는 남편의 부모와 오랜 기간 지내왔고, 특별한 애정이 있었다고 한다. 물론 그렇기에 그녀는 가족의 해체를 원한 것이 아니었다. 다른 사람들은 호칭 문제에 대해 이혼과 같은 방법만이 정답이라고 했지만, 그녀는 해체가 아니라 오히려 더 좋은 관계를 위해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이혼했다. 가족 간의 호칭 문제는 한국 사회를 뒤흔들 정도로 상당히 큰 문제였고, 그녀 혼자만의 영향력으로는 문제 해결이 힘들었으며, 그렇기에 이 책을 출간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아무리 요즘 세대에 가부장적인 문화가 사라져가고 있다고 해도, 오랜 시간 동안 우리 사회를 유지시킨 가부장적인 문화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가끔씩 나타나는 그 잔여물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다. 이런 문제들이 여성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사람이 한순간에 바뀌는 일은 어려운 법이다. 물론 그녀의 주장은 옳지만,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그녀의 요구는 너무 갑작스럽고,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 진정한 평등이란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 적은 사람에겐 많이, 많은 사람에겐 적게 나눠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모두 다르다. 그녀가 말하는 평등은 분명 옳지만, 이 부분을 고려하지 못한 게 아닐까 한다. 가족이 진정으로 평등했으면 좋겠다는 염원을 담은 그녀의 노력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또 그녀의 말에 분노를 느낀 가족 구성원들도 잘못된 것이다. 이는 우리 사회 뿌리 깊은 문화의 영향이며 그렇기에 나는 안타까울 뿐이다. 가족의 영위를 위해 문제를 제기했던 그녀는 가족을 잃었다. 나는 그녀의 가족이 해체했음을 애도한다.
마지막으로 호칭이라는 일상적인 관념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의문을 제기하지 않은 나 자신이 부끄럽다. 언어의 영향력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이는 개인을 응원하며, 억압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점을 시사하는 작품으로, 앞으로 수많은 고민을 이어나갈 작품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배윤민정,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푸른숲, 2019
심지영, 한국어 배우자 가족 호칭의 문제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 2013
조용준, 한국어 호칭 표현의 범위과 그 특성, 한말연구학회, 2018
채완, 가족 간의 언어 예절, 동덕여자대학교, 2018
추천자료
(성,사랑,사회, 공통)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의 독후감
성사랑사회 = )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성사랑사회 = )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성사랑사회 = ) 독후감 -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2)
성사랑사회 ) 독후감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성사랑사회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독후감 작성
성사랑사회 독후감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2
성사랑사회 독후감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성사랑사회 독후감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