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학3_식물의학 B형-식물병을 진단할 때 이용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에 대해 설명하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학3_식물의학 B형-식물병을 진단할 때 이용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에 대해 설명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식물병을 진단할 때 이용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
2) 식물병의 진단방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데 열매와 햇가지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그림 11과 같이 발병 초기에는 잎의 표면에 등황색 병무늬가 나타난다. 후기에는 그 위에 많은 과립체(녹병자기)가 형성된다. 병무늬 뒷면에는 회색이나 자갈색의 모상체(녹포자기)가 나타난다. 식물의학08_강의록.pdf, 41~42페이지
수목의 균류병에는 삼나무 붉은마름병이 있다. 병징은 삼나무의 1~4년생 묘목에서 주로 발생한다. 그림 12에서처럼 줄기나 잎이 6월경부터 적갈색으로 변하는데 이것이 점차 위로 가면서 발생하고 결국 묘목 전체가 빨갛게 변하며 말라 죽는다. 식물의학08_강의록.pdf, 47페이지
다음으로 세균병의 사례를 살펴보자. 밭 작물의 세균병에는 감자더뎅이병이 있다. 이 병의 병징은 초기에는 괴경비대기에 피목부분에 약간 볼록하고 작은 갈색의 병반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괴경이 비대해지면서 중앙부가 움푹해지고 주변부는 약간 볼록하며 갈색이나 암갈색의 딱지가 생기고 표면은 거칠어진다. 식물의학08_강의록.pdf, 67페이지
그림 13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채소류 세균병에는 무름병이 있는데 배추의 경우 그림 14처럼 잎이나 잎자루에 발생한다. 초기에는 수침상 병반이지만 이후에는 연화 부패하고 회갈색으로 변해 악취가 발생하는 병징이 나타난다. 식물의학08_강의록.pdf, 77페이지
바이러스병으로는 오이바이러스병을 예로 들 수 있다. 오이바이러스병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호박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ZYMV),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MV)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에는 기형과가 형성된다. 또한 잎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 모양으로, 잎에는 짙은 녹색의 수포 모양을 한 불규칙적인 병반이 관찰된다. 식물의학08_강의록.pdf, 108페이지
아래 그림 15에서 발병 사례를 볼 수 있다.
2) 식물 병의 진단방법
위의 사례를 통해 식물의 병에 따른 다양한 병징과 표징을 살펴봤는데, 그렇다면 식물 병을 진단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식물 병을 진단하는 방법은 포장진단과 식물진단(개체진단)으로 나뉜다. 포장진단이란, 식물 병이 발생된 포장에 가서 발생 실태와 병의 종류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전체적인 진단에 가깝기 때문에 고도의 숙련과 경험량이 요구된다. 그런데 정확한 진단을 하려면 식물진단이 병행되는 것이 좋다. 식물의학05_강의록.pdf, 18페이지
식물진단(개체진단)은 식물 하나의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진단이다. 해당 식물이 전염성 병에 걸린 것이지 먼저 확인한다. 전염성 병이라면 균류병, 세균병, 바이러스병 중의 어느 것인지 구분한 뒤 병원체의 종명과 병명을 진단한다. 식물의학05_강의록.pdf, 19페이지
한편 식물진단(개체진단)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육안진단은 본론 서두에 언급한 것과 같은 각종 병징들을 통해 진단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해부진단이 있는데 병에 걸린 식물의 내부 병징이나 조직 내에 있을 병원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육안으로 혹은 현미경(그림 16 참고)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식물의학05_강의록.pdf, 22~23페이지
셋째로 혈청진단은 항혈청(항체)을 시료와 반응하게 해 침강반응이나 응집반응 등이 일어나는지 관찰하여 진단하는 것을 말한다. 유전자진단(분자생물학적 진단)은 병원체에 특이적인 핵산 단편을 검출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모든 병원체는 각기 고유의 핵산(염기서열)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는 것은 병원균을 직접 검출하는 것이므로 진단방법들 중에서 가장 감도가 높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식물의학05_강의록.pdf, 26~27페이지
끝으로 생물진단이 있는데 이것은 어떤 병원체에 대해 특별하게 감수성이 강하거나 특이하게 반응하는 생물 또는 그것과 비슷한 작용체를 이용해 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본론을 통해 식물 병을 진단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보고, 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의 사례를 알 수 있었다. 식물은 우리 인류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을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존재이다. 식물은 지구에 살아가는 생명체들에게 식량이 되어주고, 인간이 사용하는 각종 물건들을 만드는 원료가 된다. 또한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인간과 동물의 휴식처가 되어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자원이다. 때문에 식물이 걸릴 수 있는 병을 정확하게 알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는 식물이 병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하고 병의 정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해야 한다. 식물 병을 관리하는 것에는예방과 치료(방제) 두 가지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치료보다는 예방을 중점을 두어야 하고, 개체보다는 집단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식물의학07_강의록.pdf, 4페이지
병이 발생한 이후에 치료에만 신경쓰는 것보다 예방책을 취하는 것이 물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식물 병에는 전염성 병이 많기 때문에 개체 하나의 병에 집중하기보다는 집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식물 병의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발병을 예방하여 식물 병을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텍스트 출처 :
식물의학02_강의록.pdf
식물의학05_강의록.pdf
식물의학07_강의록.pdf
식물의학08_강의록.pdf
그림 출처 :
그림 1 : 식물의학02_강의록.pdf, 23페이지
그림 2 : 식물의학05_강의록.pdf, 5페이지
그림 3 : 식물의학05_강의록.pdf, 8페이지
그림 4 : 식물의학05_강의록.pdf, 9페이지
그림 5 : 식물의학05_강의록.pdf, 11페이지
그림 6 : 식물의학05_강의록.pdf, 12페이지
그림 7 : 식물의학05_강의록.pdf, 13페이지
그림 8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8페이지
그림 9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17페이지
그림 10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26페이지
그림 11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41페이지
그림 12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47페이지
그림 13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68페이지
그림 14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78페이지
그림 15 : 식물의학08_강의록.pdf, 109페이지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3.03.20
  • 저작시기202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