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설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계설비계획

□국원생활관
○급수
○급탕
○배수
○트랩
○통기
○오물정화
○위생기구
○배관
○가스
○소화

본문내용

때문에 안전 확보의 관점에서 노동 안전 위생법상의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으며, 법규 적용을 받는 구조를 갖춘 것을 일반적으로 보일러라 한다. 한편 법률 해석상으로 보일러가 아닌 구조로 하여, 법규제를 받지 않은 것을 온수기라 한다.
구 분
내 용
관 류
보 일 러
[그림-41] 관류 보일러 연도
보일러의 필요 없는 스팀이 빠져나가게 하는 연도이다.
관류 보일러에서 만든 스팀에너지는 열교환기로 이동을 해서 차가운 물을 뜨거운 물로 전환을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연도는 일반적으로 강판이나 스테인리스가 많으며, 단열재로는 록 울 등이 사용된다. 연도는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신축하기 때문에 중요한 지점에 신축 계수를 이용한다. 또한 연도에는 배기가스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측정구 외에도 청소점검용 점검구가 필요하다.
굴 뚝
[그림-42] 관류 보일러 가스 배출구
보일러의 필요 없는 스팀이 빠져나가게 하는 연돌이다.
연돌에는 콘크리트와 강파제가 사용되며, 단열에는 규사 칼슘 등이 사용된다.
구 분
내 용
난 방
[그림-43] 난방 열교환기
관류보일러에서 받은 스팀을 차가운 물과 합쳐서 뜨거운 물로 교환한다.
열교환기는 온도가 다른 공기나 물 등과 같은 두 종류의 유체 사이에 열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목적에 따라서 기체와 기체,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열교환기는 많은 종류가 실용화되어 있으며, 열교환하는 양 유체가 고체벽으로 격리되는 방식과 양 유체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크게 나뉜다. 공조급배수에서 취급하는 열교환기는 후자에 속하는 냉각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전자의 방식이며, 열교환 매체로는 물, 공기, 증기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응 축 수
탱 크
[그림-44] 응축수 탱크
열교환기로 남은 뜨거운 물은 응축수 탱크에 보관했다가 다시 난방을 할 때 쓴다.
구 분
내 용
난 방 기 기
[그림-40] 식당 난방기기
[그림-41] 세면장 난방기기
난 방 배 관
[그림-42] 각방으로 연결되는 난방시스템
난방기구수 : 206EA
각 방으로 뜨거운 물이 지나가면서 난방이 되는 시스템이다.(우리학교 본관은 스팀이 지나가면서 난방이 되는 시스템이다.)
○ 소화
구 분
내 용
소 화 설 비
/
방 화
건물 화재시 물이나 소화제를 이용하여 화재를 막고,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주비된 설비를 소화 설비라 한다. 소화 설비는 소방법 시행령 제 7조에 의거하여 건물 설비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소화기옥내 소화전에서 본격 소화활동을 지원하는 연결 살수 설비, 연결 송수관까지를 말한다. 소화 설비는 소방법에 의거하여 설치 기준, 기술 기준이 규정되어 있다. 방화하는 관점에서 볼 때에는 화재 원인이 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배제하는 화재 예방, 건물 구조부의 불연화건물 내장의 불연화나 난연화, 나아가 화재 발생시에도 화재를 국부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방화 구획의 설치, 인접 건물의 화재로부터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벽의 설치 등에 의한 화재 확대 방지를 건축 기준법으로 의무화하고, 동시에 도시 계획법에서는 방화 지역준방화 지역을 지정하여 화재 예방화재 확대 방지를 위하여 각종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
소 화 전 함
[그림-43] 소화전 외부
[그림-44] 소화전 내부
소화전 설치 구역 : 각 층에 2곳 옥상을 포함해서 10곳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에 펌프 기동버튼, 벨 및 위치 표시등이 있다. 위치 표시 등은 적색의 등으로 항상 점등되어 있으나 기동 버튼을 눌러서 소화전 펌프가 기동하면 위치 표시 등이 점멸하여 펌프 기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호 소화전은 1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호스의 인출 동작, 소화전 밸브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펌프가 기동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구 분
내 용
가 압 수 송
장 치
[그림-45] 가압수송장치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는 옥내소화전의 경우 지하층을 제외한 건축물의 높이가 60m를 초과하는 때에는 중간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위치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점검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장소로서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하여야한다.
[그림-46] 화재시 사용할 물 모아두는 곳
항시 물을 채워 넣고 시간이 흘러도 저절로 물이 채워놓게 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화재시에 가압수송장치에 의해서 옥내로 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하고 있다.
구 분
내 용
연 기
감 지 기
[그림-47] 광전기식
감지기기 내에 연기가 일정농도 이상이면 광속이 감소되어 감지 작동한다.
10m 당 한 개씩 건물 내에 설치가 되어있다.
옥 내
소 화 전
설 비
계 통 로
그 림
[그림-48] 옥내 소화전 설비 계통로
추가사진
내 용
[그림-49] 장애인용 대변기
[그림-50] 대변기
[그림-51] 사이펀식 대변기 옆
[그림-52] 청소싱크 배수 트랩
[그림-53] 옥외로 연결되는 연도
[그림-54] 연돌 내부 모습
[그림-55] 물 수위 자동 조절기
기계실이 지하에 있어서 물이 찼을 때 어느 정도의 물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기능을 해주고 있다. 만일 기계의 오작동이 있을 수가 있어서 조절기는 두 개가 같이 있는데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한쪽에서 물 수위를 조절 할 수가있다.
※ 참고문헌
그림해설 공조급배수 대백과 - 공지조화위생공학회/ 박종일김세환
급배수 위생설비 - 김재수윤해동
건축설비 - 남재성신동인김태곤도진석최상현
※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sjyu123?Redirect=Log&logNo=50009452127
http://tech114.kr/2457063
http://dorm.cjnu.ac.kr/main/?menucode=main
※ 사진 / 그림 출처
그림-1, 그림-6, 그림-48 → 공조급배수 대백과
그림-2 → http://cjnu.ac.kr/ 학교홈페이지
그림-11, 그림-18, 그림-19, 그림-20, 그림-21, 그림-22
→ http://blog.naver.com/sjyu123?Redirect=Log&logNo=50009452127네이버블로그
  • 가격1,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24.02.12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1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