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학기 영양과건강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한국인의 식생활과 건강
제 7 장 비만과 비만 동반 질환
제 13 장 건전한 식품소비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장 한국인의 식생활과 건강

1. 식생활과 건강의 관계
1) 식생활의 의미
① 국민영양관리법
- 우리나라 영양 관련 기본법
- 식생활이란 식품의 섭취와 관련된 모든 양식화된 행위를 의미
- 여기에는 식문화, 식습관, 식품의 선택 및 소비 등이 포함
② 식품의 섭취
- 대부분 다른 여러 식품과 조합 및 조리하여 음식의 형태로 섭취
- 또는 단일 식품 그 자체로도 섭취(예: 풋고추)
③ 끼니의 섭취
- 한 끼니는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음식으로 구성
- 개인의 식생활: 날에 따라 섭취량이 달라짐
- 서로 다른 하루하루의 식품 섭취가 모여 개인의 식생활 구성
④ 식품의 구성 요소들
- 수천 가지의 화학물질을 포함
- 무기질, 비타민, 지방산, 아미노산 등의 필수영양소
-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알코올 등의 에너지 발생 영양소
- 그 외에도 여러 화학물질 존재
- 첨가제: 부패 방지, 발색, 향미 증진 목적
- 잔류농약 성분: 살충제, 제초제
- 중금속: 카드뮴, 납 등
- 미생물 독소: 아플라톡신 등
- 조리 및 가공 과정에서 형성되는 화학물질: 육류 가열 시 생성되는 발암물질 등
- 식생활은 매우 다양한 물질로 구성된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간주
⑤ 식생활을 바라보는 관점
- 특정 화학물질과 건강의 관계뿐만 아니라 장기간 섭취량과 건강의 관계도 중요
- 식품을 좋은 식품과 나쁜 식품의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지 않도록 노력
- 식품들이 조합된 식생활이 바람직한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임

2) 건강의 의미
① 세계보건기구(WHO) 헌장에서의 건강의 정의
-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완전하게 양호한 상태
-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음
② 건강 결정요인
- 특정한 인구집단이나 개인의 건강 수준을 높이거나 낮추는 요인들을 총칭
- 사회경제적 환경, 물리적 환경, 개인적 특성과 행동 등이 포함됨
- 사회경제적 환경: 수입, 사회적 신분, 교육 수준, 사회적 지지망 등
- 물리적 환경: 안전한 물, 깨끗한 공기, 건강에 이로운 작업환경, 안전한 거주환경· 지역사회· 도로 등
- 개인적 특성: 유전적 특질, 성별 등
- 개인적 행동 양식: 균형 잡힌 식생활, 지속적인 운동,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

3) 식생활과 건강의 관련성
① 생활 습관 질환
-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 습관 요인들은 현대인의 주요 만성질환과 관련이 높음
- 생활 습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되는 식생활 요인이 다수 규명되어 있음
- 다양한 식생활 ‘패턴’이 전 세계적으로 존재함(지중해식 식단, DASH 식단 등)
- 해당 식생활 패턴이 암, 심혈관계 질환, 제2형 당뇨 등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된 연구 다수 존재
- 전곡류(통곡물), 채소류, 과일류, 견과류 생선류 등: 대부분 식생활 패턴에서 권장
- 당류 및 가당 음료류: 모든 식생활 패턴에서 섭취 제한(나트륨 섭취 역시 일부 제한)

2. 한국인의 건강 상태
1) 한국인의 양적 건강 상태와 질적 건강 상태
① 기대수명
- 인구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
- 정확하게는 ‘0세의 기대여명’이라고 지칭
- 즉 특정 연도의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의미
-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1년 83.6세로 50년 동안 약 21년 증가
- 성별로는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의 기대수명보다 높음(6년가량)
-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이후 OECD 선진국 수준에 도달
② 건강수명
- 기대수명이 양적 측면에서 건강 수준을 대표한다면 질적인 측면에서는 건강수명이 존재
-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원활히 활동하지 못하는 기간을 뺀 수치
-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2000년 67.4세, 2005년 69.9세, 2015년 72.0세, 2019년 73.1세)
-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간의 차이(약 10년): 질병이나 사고로 원활한 활동을 하지 못하는 기간을 의미

2) 한국인의 사망 수준과 원인
① 우리나라의 사망자 수
- 2021년 기준 약 32만 명,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최대치를 보이고 있음
- 조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 역시 최근 증가 추세
② 우리나라 국민의 10대 사망원인
-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간 질환, 패혈증, 고혈압성 질환의 순
- 3대 사망원인(암, 심장 질환, 폐렴)이 전체 사망원인의 43.1% 차지


- 중략 -
  • 가격9,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학년/학기1학년/1학기
  • 해당자료학과가정학과(가정관리)
  • 자료출간일2024.05.10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250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