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브레히트의 거리화효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브레히트에 대한 일반적 평가 및 이에 대한 문제 제기

2. 브레히트 수용의 문제점

3. 거리화 효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 민중성과의 관계

4. 거리화 효과의 사회적, 철학적 의미

5. 거리화 효과를 통해 살펴본 민중의 모습: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에 나타난 긍정적 주인공과의 비교

6. 거리화 효과를 통해 살펴본 사회주의자로서의 브레히트의 면모

7. 브레히트의 현실적 공헌과 작품의 수용 여건에 대해서

8. 현대 사회 속에서 브레히트 적용의 문제

본문내용

로 이곳에 우리의 현실이 존재한다. 따라서 코지크는 일상성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일상성은 현실을 은폐하면서도, 동시에 특정한 방식으로 그것을 드러내는 현상적 세계이다.(주19)
그러므로 우리가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느낌으로써 이미 알고 있다고 믿고 있는 이 일상적 세계는, '실제로' 우리에게 올바르게 인식된 세계가 아니다. 이러한 면에서 우리의 일상적 삶은 '소외된 삶'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일상적 삶으로부터 진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현상과 자기 자신에 대해 자연스럽고 친숙한 감정을 없애버림으로써, 그로부터 거리를 취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거리화 효과'의 의미를 일상적인 삶 속에서 검토해야 하는 까닭이다. 브레히트 또한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우리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과 주변의 인물들은 우리에게 익숙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 거리화 기법은 그것들을 우리 눈에 띠는 것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주20)
그런데 이 경우, 사람들이 느끼는 낯선 감정은 일상생활 속에서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느꼈던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서 문제점을 느꼈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으로, 이것은 곧 사람들이 실제적 사회관계와 소외되었던 자신들의 일상적 삶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브레히트의 '거리화 효과'를 '소외'(Entfrem- dung)와 관련지을 수 있으며, 이때 중요한 것은 경제적 차원에서 해석된 소외의 문제를 일상적인 전체 삶의 영역에서 고찰해야 한다는 점이다. 르페브르는 현대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소외의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즉 일상생활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사회 변혁의 가능성을 찾고 있는 르페브르는 소외의 문제와 관련하여 브레히트에 나타난 '거리화 효과'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우리가 우리와 대면하고 있는 사물과 다른 사람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취해야만 한다. 그러면 우리는 그들로부터 여러가지 다양한 모습 속에서 예를 들면 그들 자체의 모습과 그들 사이의 관계 그리고 그들과 우리의 관계 등에서 낯선 요소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낯선 의식은 곧 소외에 대해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우리는 이를 통해 소외로부터 자유로와질 수 있으며, 적어도 그 시작은 할 수가 있다.(?)그러므로 거리를 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 낯선 시각은 참된 시각이라고 할 수 있다.(주21)
이러한 연관 관계 속에서, 우리는 대중 소비와 대중 매체의 영향, 그리고 향락 및 오락 산업의 범람으로 인해서 실제적 사회 현실을 파악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우리의 삶 속에서 '거리화 효과'가 가지는 의미를 확인할 수가 있다. 소외된 일상적 삶 속에서 끊임없이 모순을 찾아내고, 그리고 바로 이러한 모순의 극복을 통해서 사회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 속에서 이 '거리화 효과'는 우리의 삶 속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앞으로 삶의 전영역에서, 예를 들면 교육, 문화, 예술 그리고 그밖의 다양한 부문에서 이 방법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극복 및 대안으로서의 사회주의 체제가 몰락한 오늘의 상황 속에서 우리가 브레히트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배울 수 있는 것은, 오늘의 현실 또한 '열려진' 상황 속에서, 다시 말해서 아직도 진행중인 역사의 과정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그 속에서 긍정적 발전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물론 우리 자신의 '열려진' 자세 속에서 말이다.
<미주>
1)브레히트는 자신의 연극 속에서 종래 연극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극적' 요소를 깨뜨리기 위해서 이야기하고 설명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서사적' 요소를 삽입시키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그의 연극을 특징적으로 '서사극'이라고 부른다. 이하의 논의를 참고하시오.
2)Bertolt Brecht, "Die Ausnahme und die Regel", in Gesammelte Werke in 20 Banden, Bd. 2 [이하 GW 2 등의 형식으로 줄임], Frankfurt, 1967, p. 793.
3)이러한 브레히트의 생각은 1935년 파리에서 열린 국제작가회의에서 한 그의 연설문에서 강조되고 있다. GW 18, pp. 241-246.
4)브레히트는 히틀러의 거동 및 연설 방식 등을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파시즘의 '감정이입' 기법을 설명하고 있다. GW 16, pp. 558-568.
5)'민중성 논쟁'은 1930년대 후반 망명작가들 사이에서 시작된 '표현주의 논쟁' 및 '리얼리즘'의 연장선에서, 반나치투쟁 정책인 인민전선 정책에 자극되어 전개되었다. 이 논쟁 속에서 브레히트와 루카치의 대립적 입장이 공식적으로 표면화되고 있다.
6)GW 16, p. 567f.
7)Brecht, Arbeitsjournal, Frankfurt, p. 245.
8)'사회적 목적'을 위해 구사하고 있는 '거리화 효과'와 구분하기 위해 브레히트는 그 이전에 쓰인 '거리화 기법'을 '원시적 거리화 기법'이라고 부르고 있다. GW 16, p. 612.
9)GW 15, p. 301.
10)GW 15, p. 300.
11)GW 15, p. 301.
12)GW 16, p. 653.
13)GW 16, p. 682.
12) GW 16, p. 653
15)Elimar Schubbe, ed., Dokumente zur Kunst-, Literatur- und Kulturpolitik der SED, Stuttgart, 1972, p. 634.
16)GW 17, p. 546.
17)Ibid., p. 1154.
18)GW 15, p. 253.
19)Karel Kosik, Die Dialektik des Konkreten, Frankfurt, 1986, p. 75.
20)GW 15, p. 347.
21)Henri Lefebvre, Kritik des Alltagslebens, Kronberg/Ts., 1976, p. 28.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07.27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