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현상학의 근본문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음악현상학의 발자취

3. 음악은 언어로 서술 가능한가?

4. 맺음말

본문내용

여 선험적인 절대 진리에 도달할 것 같지만, 결코 그렇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는 생각한다 cogito'는 의식 행위는 자기 현존 속에서 객관적 관념성과 명증성을 즐기는 순수 고독이 아니고, 이미 내가 아닌 다른 것(세계, 타인, 자연)들에 의해 벌써 매개되어 있다. 나의 사유는 이미 타인의 출현과 그 타아의 사고에 오염되어 있고, 나의 내면적 독백은 내면적 세계의 순수성을 고집할 수 없고, 오염된 의사소통을 감춘 모습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후설에 대한 데리다의 비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결국 후설이 말하는 에포케와 순수한 의식 자체가 홀로 존재할 수 없다. 표현이 표지를 제거하고, 의식이 외부를 제거하는 것이 결국 자신의 모친을 범하는 외디푸스적 오류인 것이다. 따라서 이제 의식 내 음악 현상을 다루는 음악현상학은 새로운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그렇다면 음악현상학은 어디로 갈 것인가?
의식 내의 음악 현상은 어떻게 존재하는가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생각해보면서 앞으로 음악현상학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자. 우리가 음악을 경험했을 때 우리 의식 내에는 음악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외부의 물리적 음파가 우리의 귀를 통과하여 우리 의식 속에 생겨나 음악 현상은 단순하지가 않다. 소리에 대한 감각적인 질, 음들을 무리지움으로써 생기는 여러가지 관계들, 그리고 전체 맥락을 통한 음악의 의미 등, 음악 현상은 우리 의식 내에 계층적으로 존재한다.
즉, 음악 현상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우리 의식 속에 음운론적 차원, 의미론적 차원, 담론적 차원 등 계층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악을 언어로 서술할 경우, 이러한 계층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각각의 층을 명확히 구분하고 그 관계를 밝혀서 음악의 전체 의미를 서술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음파를 받아들이는 귀의 성질과 음을 지각하는 방식을 다루는 지각심리학, 음의 패턴화와 관련되는 인지심리학, 음악의 기호적 측면을 다루는 기호학, 담론적 차원에서의 의미 해석을 위한 해석학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음악의 계층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시각이 요구된다. 또한 음악 현상이 의식 내에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시간과 공간에 관한 문제도 밝혀져야 하는데, 이것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수학적인 방법론도 필요하다. 결국 우리 의식 내의 음악 현상을 다루는 음악현상학은 결국 광범위한 학문 분야의 연구를 모두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제 음악 현상의 각각의 층이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그 모든 층을 한 가지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가능하려면 각 학문 분야의 연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함은 물론이고, 각 학문 분야의 교류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우리 의식 내의 음악 현상의 각 층위는 서로 고립되고 독립된 것이 아니라 서로 끊임 없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 음악의 의미를 만들어나가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 의식 안에 존재하는 음악 현상의 거대한 그물망을 음악현상학이라는 하나의 테두리 안에 펼쳐놓을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5. 참고한 문헌들
Clifton, T. Music as Heard : A Study in Applied Phenomenology. New York : Academic Press, 1983.
Eimert, H.(전지호 역) "Zur Phanomenologie der Musik"(음악현상학에 대하여). {음 악현상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Greene, D. B. Mahler, Consciousness and Temporality, New York,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1984.
Greer, T.A. 'A critique of Clifton's theory of intuitive description', In Theory Only, May, 1984.
Hawkes, T.(오원교 옮김), {구조주의와 기호학}, 서울 : 신아사, 1986.
Marx, W.(이길우 역), {현상학}, 서울 : 서광사, 1989.
Mersmann, H.(전지호 역) "Zur Phanomenologie der Musik"(음악현상학에 대하 여). {음악현상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Pike, A.(박선희 역).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Musical Experience and other related essays), {음악과 이론 I} 서울 : 심설당, 1985.
Sarup, M & C.C.Ying(임헌규 역), 데리다와 푸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Shearer, R.L. A Phenomenology of Aesthetic Value in Music. UMI, 1976.
Smith, F.J.(전지호 역). "The Experiencing of Musical Sound : Prelude to a Phenomenology of Music" {음악현상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Smith, F. Understanding the Musical Experience(Musiclogy vol.8).
Zuckerkandl, V. Man the Musician. New Jerse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Zuckerkandl, V. Sound and Symbol. New Jerse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Zuckerkandl, V. The Sense of Music. New Jerse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김상환, [데리다와 은유], {데리다 읽기}, 서울 : 문학과 지성, 1997.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서울 : 문학과 지성, 1996.
박영식 편, {언어철학연구I-비트겐슈타인과 언어}, 서울 : 현암사, 1995.
서우석. {음악과 현상} 서울 : 문학과 지성, 1989.
서우석. {음악현상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서울대학교 출판부, {철학개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88.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