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조경요소 (傳統造景要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개괄

Ⅱ.공간요소

Ⅲ.수요소

Ⅳ.석요소

Ⅴ.건축적요소

Ⅵ.건축내부적요소

Ⅶ.덧붙이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이다. 이때 초석의 상부가 편편하여 반듯한 기둥밑을 그대로 얹어놓는 경우와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기둥밑을 초석면에 맞도록 긁어낸 후 세우는 두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 기둥 밑동을 초석에 맞도록 파내는 것을 '그랭이질'한다고 한다.(덤벙초석)
2).다듬은돌 초석 : 이 초석은 자연에서 채취한 막돌을 가공하여 초석을 만든 것으로 지상에 노출되는 부분을 정교하게 잘 다듬은 것을 말한다. 이때 지면에 노출되는 부분의 가공 수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정평초석)
①.원형 초석 : 원주가 서는 부위를 원형으로 볼록하게 돋우고 그 주위에 다시 볼록한 테를 두른것이다(이를 쇠시리라 한다). 이때 쇠시리를 이중으로 한 것 또는 아무런 쇠시리가 없는 것,두 종류가 있다. 또 같은 원형 초석에 있어서도 중앙에 홈을 파서 기둥밑동에 내민 촉을 받아 기둥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도 있다.
②.방형 초석 : 윗면에 소시리를 하는바, 그 모양이 방주를 받도록 방형이 된 것이다. 이 초석에도 촉구멍을 낸 것과 촉구멍이 없는 것 두 가지가 있다.
③.팔각형 초석 : 팔각주를 받게된 초석으로 기둥이 놓이는 부분 둘레를 쇠시리한다.
④.원주형 초석 : 조선 시대 루 건축에 널리 통용된 초석으로 상부에 얹히는 원주처럼 초석 자체를일부 주형으로 하여 내려가다가 밑동을 넓적하게 처리하여 안전하게 한다.
⑤.방주형 초석 : 이것에는 네모 뿔대로 된 단주형과 기둥처럼 높직한 장주형 두 가지가 있다.
7.지붕
지붕은 빗물을 막고 일사를 피하게 하며, 실온을 조절하여 주는 기능을 갖고있다. 또 지붕은 외관상의 의장효과를 더해 주기도 한다. 고건축의 지붕은 네귀의 처마 끝이 치솟기 때문에 독특한 형태미를 이루게 된다. 특히 팔작지붕에 적용한 후림과 조로는 착시현상을 교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후림은 지붕의 수평면에 있어서 네귀를 뻗게하고 안으로 선을 후린것이고, 조로는 수직면 위로 휘어오도록 한 것이다. 이 후림과 조로는 처마선이 쳐져보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여기에 용마루선 까지도 양단이 휘어 오르게하여 면적이 커서 무겁고 처져보이기 쉬운 지붕을 경쾌하게 처리하고 있다.
지붕은 그 형태에 따라 맞배지붕, 팔작지붕, 우진각 지붕, 다각형 지붕 등이 있다.
8.창호
본래 창호란 창과 문을 가리키는 말로, 기단을 쌓고 기둥을 세우는 등 주구조체를 전담하는 대목과는 반대 입장에 있는 소목들이 이 창호를 전담하여 만드는 만큼 어느 면에서는 공예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1).호(戶)로서만 사용되는 것
①.판장문 : 몇 장의 널판에 띠를 대어 한 장처럼 붙여 만든 것으로 일반 주택의 부엌 출입문과 각종 광문, 그리고 방의 덧문으로 사용된다.
②.골판문 : 문 울거미를 짠 후 그 사이에 청판을 끼운 것으로 이는 주택의 각 방 덧문으로 쓰이고 또 고방문으로도 사용된다.
③.맹장지 : 문 울거미에 두꺼운 종이로 안팎을 싸서 바른 문으로 일반 주택의 방과 마루사이의 지게문으로 사용된다.
④.도듬문 : 맹장지와 같은 류의 문으로 울거미 부분만 돋보이게 한 것이다.
⑤.불발기 : 맹장지와 같은 문의 중앙부에 직사각형, 팔각형 등의 울거미를 만들고 이 속에 교살, 정자살, 완자살 모양을 짜 넣은 문이다.
2).창으로만 사용되는 것
①.살창 : 창 울거미를 짠 후 여러개의 살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꽂아 만든 것이다.
②.교창 : 장방형의 울거미를 짜고 여기에 교살, 아자살, 완자살, 정자살 등의 문양으로 살을 짜넣는다.
3).창과 호로 혼용하는 것 : 띠살창, 용자창, 아자창, 완자창, 정자살, 숫대살, 빗살창, 소슬빗살창, 귀자창, 귀갑창, 꽃살창 등이 있다.
9.기 단 (基壇)
기단은 立基하고 축단(築壇)한 건물의 한 시설을 일컫는 말이다. 오늘날의 기초(基礎)와 그 개념이 같다. 기단은 구조적으로 기둥과 초석을 통해 내려오는 건축물의 전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고, 의장적 으로는 건물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고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주건물과 부속건물간에 위계질서를 부여해 주기로 한다. 또 습기방지와 통풍의 기능과 함께 건축의 내외공간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도 한다. 기단은 단을 쌓는 재료, 단의 수, 마감석재의 형태와 층의 형태, 쌓는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Ⅶ.덧붙이는 말
여태껏 '전통 구조물'이라 불리던 이 부분을 좀더 확장시킴과 동시에 이에 따른 단계적 수준을 새로 운 분류법과 함께 높이면서 '전통 조경 요소'로 개명하게 되었다. 이 '전통 조경 요소'는 6개의 중간 주제로 분류되는데 공간적 요소, 수요소, 건축적 요소, 건축의장적 요소, 생물요소가 그것이다. 이 처럼 5개 부문으로의 분류는  가치의 study와 자료의 체계화를 위한 독특한 것인데, 그렇다고 학문 적으로 전혀 빗나간 분류법은 아니다. 하지만 이번의 나눔에는 필자도 많은 시간과 진통이 있었던 바, 관심있는 이들은 이번의 분류적 구성에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으리라 믿는다. 이런 이유로 아래에 간단히 이런 분류 형식을 세우게 된 과정을 서술해 보겠다.
1.시간과 공간이 허락한 한도내에서 '전통 조경 요소'라 불릴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자료수집.
2.모여진 자료들에서 하나하나의 검토후 최소화가 가능한한 가장 작은 단위를 추출.
3.성격상의 유사점이 보이는 것들의 묶는 작업.
4.소속되지 안은 잡다한 것들의 편성.
5.각각으로 묶인 것들의 중간 주제 설정.
한가지 덧붙인다면 이번 '전통 조경 일반Ⅲ'에 싣는 이 '전통 조경 요소'는 '한국의 전통 조경 요소 총람'의 목차 소개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것이나, 여기의 내용들이 우리가 공부해 나가야할 것들의 지침이 됨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參考文獻*
1.{한국 목조 건축}
2.{한국 건축미}
3.{한국 건축 의장}
4.{조선조 정원의 원형}
5.{환경과 조경}지
6.{전통 조경 일반 2}
7.{전통 구조물}
8.{한국 건축 사전}
9.{한국 건축의 외부공간}
10.{한국 주택 건축}
11.{빛깔있는 책들}
12.{공간}지
13.{한국 주택 정원}
14.{한국의 살림집}
15.{그 외 다수 논문류(당지, 마당, 정원, 사찰) }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