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tidal flat)에 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갯벌(tidal flat)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갯벌
- 갯벌(tidal flat)란?
2. 갯벌의 분포 및 특징
- 우리나라 갯벌의 분포
- 지역별 갯벌의 분포현황
3.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점
- 연안생태계의 파괴
- 철새도래지의 파괴
- 연안오염의 증가
- 어획량의 감소
- 지역공동체의 파괴
- 미래 세대의 자원훼손

본문내용

가게 되면 방조제에서 10 -20km 떨어진 인천 팔미도와 옹진군 영흥도, 무의도까지 오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태윤, 이동근, 1997)
또한 방조제 밖의 바다에서는 배수구를 통하여 염분의 농도가 낮은 물이 배출됨으로써 해수질이 달라지며, 방조제로 인하여 영양염류가 차단됨으로써 생산력이 감소하게 된다.
4) 어획량의 감소
갯벌은 어패류의 산란장 역할을 하는데 간척·매립에 의한 서식지의 파괴는 수산물의 생산량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매립후의 영향으로 인한 오폐수, 유기잔류농약, 생활오수 등 각종 수질오염물질의 배출량 증가는 해양생태계의 파괴와 어획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새만금 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전북지역의 경우 주요 어패류의 계통 판매량이 최근 수년간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데 그 추이는 <표 1>과 같다.
<표 1>을 보면 패류의 계통판매량의 합계가 가장 많았던 1989년의 5,899톤에 비해 1996년에는 978.4톤으로 약 84.5%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바지락은 1,000톤이던 것이 60-70톤으로 감소했고, 백합류와 가무락은 계통판매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서식처가 간석지가 아닌 해수에 잠겨 있는 조하대인 피조개를 제외하고는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계통판매량의 감소는 바로 생산량의 감소로 볼 수 있다. 우리 나라 어촌 실정에 비추어 수산물이 계통판매 뿐 아니라 상당부분이 사매매에 의존하여 거래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서해안 연안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산물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표 1> 전북지역 어종별 연도별 계통판매량 (톤)
<표 2> 전북지역 주요패류 연도별 계통판매량 (톤)
분류
연도
바지락
백합류
가무락
동 죽
피조개
개량조개
맛 류
합 계
1988
531.2
102.1
0.0
676.1
60.8
1164.0
39.7
2,573.9
1989
1028.1
20.2
0.3
1300.7
43.7
3494.8
8.7
5,899.1
1990
956.9
69.4
2.9
767.3
190.7
2265.8
117.1
4,370.1
1991
482.8
93.8
26.3
1981.6
42.0
1831.0
3.8
4,461.3
1992
508.8
125.2
1.6
911.8
53.2
2331.1
0.0
3,931.7
1993
250.4
74.3
2.4
412.0
25.7
1355.7
32.2
2,152.7
1994
76.3
15.9
00.
140.5
60.4
1253.2
26.7
1,576.0
1995
60.7
0.1
00.
144.7
44.6
967.4
0.0
1,217.5
1996
68.6
0.0
0.0
78.6
128.8
699.8
2.6
978.4
5) 지역공동체의 파괴
분류
연도
어 류
갑각류
연체동물
해조류
기타
수산물
합 계
1988
33,227
4,547
10,920
5,625
70
54,389
1989
37,099
5,819
11,882
9,624
45
64,469
1990
34,745
6,924
12,613
8,533
14
62,830
1991
37,934
8,328
10,492
14,842
0
71.569
1992
32,545
8,101
9,705
15,035
0
65,386
1993
26,236
14,618
6,378
28,107
27
75,366
1994
31,303
10,103
5,541
25,504
21
72.472
1995
30,430
3,404
3,550
4,352
40
41,776
1996
29,092
3,374
2,451
4,040
0
38,057
지금의 대규모 개발은 대규모 자본의 힘을 필요로 한다. 관광단지 등 대규모 개발은 대부분 사유지를 매입하기 보다는 인허가를 통해 값싸게 취득할 수 있는 공유지나 공유수면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지역토착주민들은 주변부로 밀려나고 앞마당처럼 사용했던 바닷가로 가려면 이용료를 내야하고 갖가지 규제로 인한 재산권 행사의 제한 등 개발이익으로부터 철저히 소외당한다. 또한, 어민의 삶의 터전이었던 갯벌과 바다가 방조제를 쌓고, 농지가 조성되면 국가나 기업이 소유권을 갖게 된다. 천수만과 동아매립지의 경우 공유지가 간척 후 완전히 사유지로 바뀌어 일부기업에게 엄청나게 큰 토지차익을 준 경우가 있었다. 이에반해 어민들은 삶의 터를 잃고 평생동안 살아온 고향을 등지고 도시빈민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발에 따른 보상비 문제, 지역별 이해의 상충 등으로 전통적인 어촌 공동체가 붕괴되고 있으며, 풍어제, 별신굿 등과 같이 예로부터 이어온 어촌문화를 파괴하고 있다.
6) 미래 세대의 자원훼손
갯벌 등과 같은 자연환경은 현재 세대만의 재산이 아니다. 즉,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다고 하여 이를 전부 소비할 수 없으며, 탕진할 자격이 없다. 지구상의 모든 자원은 현세대와 미래세대가 공유하는 것이다. 갯벌을 매립하여 토지로 전용하는 것은 영구히 보전하여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자원을 훼손하는 것이다.
<참고자료>
1. 녹색연합,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우리나라 갯벌의 올바른 보전방안> 1998. 6. 23
2. 해양연구 제20권 20호, 유정철, 이기섭 <한국 서해안의 조류현황과 보전방안> 1998. 11.
3. 해양연구 제20권 20호, 안동만·이용희·이원희·박소영·제종길 <갯벌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입법 방안에 관한 고찰> 1998. 11.
4. 전재경 <갯벌 보존의 법리> 1998. 12
5. 국토연구원, 환경운동연합 <한국의 갯벌 어떻게 할 것인가> 1999. 2
6. 인천발전연구원, 이대영 <인천연안 갯벌의 현황과 보전방안> 1999. 6.
7. 홍재상, <한국의 갯벌> 1998. 대원사
8. 새만금간척사업백지화를 위한 시민위원회, 새만금간척종합개발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1998.9.9
9. 장수환, 간척사업의 비용·편익분석에서 갯벌, 강하구 생태계 서비스의 경제적 비용에 관란 연구(새만금지구 간척사업을 사례로), 1998.2
10. 박종수, 서해안의 수산자원 실태와 관리방안, 서해안살리기심포지엄, 1997
11. 녹색연합, 서해안환경보전을 위한 연안역의 현황과 과제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2.0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