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목민심서에 대한 개관 1

Ⅱ. 목민심서의 12편중 ‘제6편 호전’ 1

(1) 제1장 전정 1

(2) 제2장 세법 2

(3) 제3장 곡부 2

(4) 제4장 호적 3

(5) 제5장 평부 3

(6) 제6장 권농 3

Ⅲ. ‘제6편 호전’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 4

※ <참고문헌> 5

본문내용

될 것이기에 이렇게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양잠이 중요하기에 뽕나무를 심는 것도 강조한다. 농사를 짓는 데 없어서는 안될 소에 대하여 관에서는 백성들이 자력으로 소를 보유할 여력이 없으니 마땅히 소를 제공해야 할 것이고, 소의 도살을 경계하고 목축을 장려할 것을 권농편에서는 피력하고 있다.
Ⅲ. '제6편 호전'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
다산의 목민심서는 목자와 민이 대등하다는 견해에 입각하여 위민·애민사상을 도출한 것이다. 목자는 수기하여야만이 봉공할 수 있는 것이요, 수기는 청렴이 근간이 된다. 목민사상은 솔선하는 교화로 이룩되는 것이라고 그는 논하고 있다. 당시의 제도였던 이·호·예·병·형·공의 모든 기틀은 위민적 운용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목자는 부단히 제도의 모순을 개선하고 현실을 개혁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산의 목민사상은 근본적으로 유교적 테두리 내에서 진보적이라는데 특색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시대적 차원에서 고찰할 때, 다산의 목민사상은 주례와 중국의 역사적인 선례를 참고로 하고 있는 일면을 보이고 있다. 복고적인 토대에서 창조성을 발휘하여 나가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6편 호전'은 목자와 민이 대등하다는 입각에서 위민·애민사상을 도출한 것이다. 다산 정약용은 군정의 틀 속에서 민본주의적 제목적을 달성하려고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왕정에서 유발되기 쉬운 통치자의 횡포를 통치자의 자발적인 선정으로 방지하려고 하였으며, 덕치주의를 이상적인 정치 형태로 생각하고, 통치자의 윤리를 촉구하였던 것이다.
민주주의가 발달한 오늘날의 현실에 있어서도, 다산의 시대와 같은 사회적 부조리가 만연해 있으며, 몇몇 집권자들의 권력남용은 정치·사회·경제적인 면에서 백성들에게 얼마나 많은 해악을 끼치고 있음은 누구나 아는 사실일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다산의 목민사상은 오늘날의 지도자들에게도 많은 교훈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그의 민주사상은 물론 서양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겠지만, 그가 공자의 수사학을 재평가하면서 얻어낸 독창적인 사상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실로 우리의 역사에 있어서 민주주의의 선각자라고 할 수 있겠다.
※ <참고문헌>
- 김윤수 옮김. 『역주 목민심서』. 창작과 비평사. 1988
- 박충석. 『한국정치사상사』. 삼영사. 1982
- 정병연. 『다산사상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0
- 지상강좌.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4.23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