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봉합사
1) 봉합사의 정의와 역할
2) 봉합사의 조건
3) 봉합사의 선택 기준
4) 봉합사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5) 봉합사의 분류
6) 종류
7) 봉합사 크기
2. 봉합침
1) 봉합침의 정의
2) 봉합침의 조건
3) 봉합침의 구성
4) 봉합침의 종류
5) Needle Holder 조작 및 전달 방법
6) 봉합사 및 봉합침 관리
3. 봉합법
1) 일차봉합선(Primary Suture Line)
2) 이차봉합선(Secondary Suture Line)
4. 임상 사례와의 비교
*참고문헌
*대본
1) 봉합사의 정의와 역할
2) 봉합사의 조건
3) 봉합사의 선택 기준
4) 봉합사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5) 봉합사의 분류
6) 종류
7) 봉합사 크기
2. 봉합침
1) 봉합침의 정의
2) 봉합침의 조건
3) 봉합침의 구성
4) 봉합침의 종류
5) Needle Holder 조작 및 전달 방법
6) 봉합사 및 봉합침 관리
3. 봉합법
1) 일차봉합선(Primary Suture Line)
2) 이차봉합선(Secondary Suture Line)
4. 임상 사례와의 비교
*참고문헌
*대본
본문내용
://suturegard.com/Blog/Article-Details/ArticleID/28/Next-Generation-Suture-Retention-Bridges
대본
봉합사 및 봉합침 발표 시작하겠습니다.
p2
1) 봉합사의 정의와 역할
봉합사란 절개된 조직을 꿰매는 실을 의미하며, 이는 수술 부위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봉합사는 조직 두께와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봉합사 이름에 n-0이 있는 경우에는 숫자가 클수록 가는 실이며, n-0이 없는 경우에는 숫자가 클수록 굵은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 시 유의점은 봉합사는 수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닿는 수술 기구이므로 멸균 상태를 최대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2) 봉합사의 조건
봉합사의 조건에는 \'조작이 쉽고 부드러워야 함, 매듭이 안정적이어야 함,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져야 한다\' 등이 있습니다.
3) 봉합사의 선택 기준
봉합사는 생화학적 성질, 환자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천천히 치료되는 피부, 근막 등에는 비흡수성을 적용하고, 위, 결장 등 급속히 치료되는 부위에는 흡수성을 적용시킵니다.
p3
3페이지, 봉합사의 분류를 살펴보겠습니다.
봉합사는 성분에 따라 자연사, 합성사로 나뉘고
성질, 흡수 여부에 따라 흡수성, 비흡수성
그리고 구조에 따라 단일사, 다중사 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흡수성 봉합사는 체내에 흡수되면서 이물질로 작용하지는 않고, 환자가 치유하는 동안 조직액이나 소화 효소에 의해 녹게 됩니다.
반면 비흡수성 봉합사는 이물질로 작용하므로 상처 봉합 후 제거가 필요하나, 용도에 따라 몇몇 비흡수성 봉합사는 몸에 영구히 존재하기도 합니다.
또한 단일사는 모세관 현상이 없는 한 가닥 구조로 구성되어 표면이 매끄럽고 조직 통과가 용이하며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없어 좋지만, 유연성과 매듭 안정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반면 다중사는 끈으로 꼬여 있거나 한 가닥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드럽고 유연하며 매듭이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박테리아가 자랄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상처 감염 위험성이 있습니다.
천연사는 전통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한 천연재료로 만든 실로 가격이 저렴하나 일정 두께로 실을 만들기 어려우며, 잡아당기는 힘에 견딜 수 있는 최대한의 힘을 의미하는 인장 강도가 떨어지고 조직 반응이 심한 편입니다.
반대로 합성사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화합물로 제조한 실로, 일정 지름으로 압출하기 쉬우며 인장 강도가 높고 조직 반응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4
봉합사를 크게 흡수성과 비흡수성으로 분류했을 때
흡수성에는 Catgut, Chromic surgical catgut, plain surgical catgut, PDS, Vicryl, Dexon, Monocryl가 있습니다. p17에서 보시면 아시듯 00대병원에서 주로 쓰이는 흡수성 봉합사에는 PDS, Vicryl 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 두 가지는 신경외과, 일반외과, 이비인후과 등 다양한 과에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PDS, Vicryl 이 두 가지를 중심으로 맞추어 설명하겠습니다.
PDS는 Poly-paradioxanone의 합성 중합체로 적용 후 90일부터 흡수되고, 6개월에 완전 흡수됩니다.
강한 인장 강도를 가져 매듭이 안정적이며, 조직과의 반응성이 적어 장기간 상처 지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모세관 현상이 없어 감염 위험이 적기 때문에 오염된 복부 수술 후 창상 봉합에 주로 이용됩니다.
PDS는 CT나 MRI 시 나타나는 왜곡을 피할 수 있으나, 탄력성으로 인해 봉합 시 다루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5
다음, Vicryl은 적용 후 2~3주부터 흡수되고, 8~10주에 완전 흡수됩니다.
이는 꼬아서 만든 합성 흡수성 봉합사로, Dexon과 같이 가장 많은 부분에 사용됩니다.
주로 비뇨기계 수술의 윤절술, 요도 성형술 등에 사용됩니다.
장점으로는 Dexon보다 인장 강도가 강해 매듭이 잘 풀리지 않으나,
Vicryl은 꼬아서 만든 봉합사이기 때문에, 꼬인 틈새로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존재하므로 감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p6
녹지 않는 실에는 pronova, silk, nylon, prolene, ethibond 등이 존재합니다.
이 중 00대병원에서 주로 쓰이는 비흡수성 봉합사에는 silk, nylon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실제로 일반외과, 흉부외과, 성형외과에서 사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므로 이 둘을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Silk는 누에고치의 섬유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봉합사로, 체내에 사용된 silk는 1년 후 약 50%가 분해됩니다. 여기에는 mersilk, black silk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장점으로는 저렴한 가격, 쉬운 소독, 적은 조직 자극 등이 존재하나
봉합사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화농성 반응을 잘 유발시키므로 염증 조직에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비뇨기계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silk는 주로 결찰, 피부, 점막 등의 부위에 적용 가능합니다.
다음 nylon은 폴리아미드계 합성소재로 구성된 합성사로, ethilon, dermaon, monosof 등의 종류가 존재합니다.
조직 반응이 거의 없고, 매끈하고 장력이 크기 때문에 모든 조직에 적용 가능하나
미끄럽고 매듭이 잘 풀려 봉합 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인장 강도가 떨어져 장기간지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prolene은 polyamide 중합체로, 조직 반응이 적고 유연하여 매듭이 잘 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ethibond는 polypropylene 합성 소재로 구성되었으며, prolene과 마찬가지로 매듭이 잘 풀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심장수술 등에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wire는 값이 저렴하고 유연하며 장력이 크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실이 잘 꼬이고 조직을 통과하면서 흉터가 크게 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는 보통 치명적이지 않은, 일반적인 상처 치유에 주로 사용됩니다.
대본
봉합사 및 봉합침 발표 시작하겠습니다.
p2
1) 봉합사의 정의와 역할
봉합사란 절개된 조직을 꿰매는 실을 의미하며, 이는 수술 부위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봉합사는 조직 두께와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봉합사 이름에 n-0이 있는 경우에는 숫자가 클수록 가는 실이며, n-0이 없는 경우에는 숫자가 클수록 굵은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 시 유의점은 봉합사는 수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닿는 수술 기구이므로 멸균 상태를 최대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2) 봉합사의 조건
봉합사의 조건에는 \'조작이 쉽고 부드러워야 함, 매듭이 안정적이어야 함,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져야 한다\' 등이 있습니다.
3) 봉합사의 선택 기준
봉합사는 생화학적 성질, 환자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천천히 치료되는 피부, 근막 등에는 비흡수성을 적용하고, 위, 결장 등 급속히 치료되는 부위에는 흡수성을 적용시킵니다.
p3
3페이지, 봉합사의 분류를 살펴보겠습니다.
봉합사는 성분에 따라 자연사, 합성사로 나뉘고
성질, 흡수 여부에 따라 흡수성, 비흡수성
그리고 구조에 따라 단일사, 다중사 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흡수성 봉합사는 체내에 흡수되면서 이물질로 작용하지는 않고, 환자가 치유하는 동안 조직액이나 소화 효소에 의해 녹게 됩니다.
반면 비흡수성 봉합사는 이물질로 작용하므로 상처 봉합 후 제거가 필요하나, 용도에 따라 몇몇 비흡수성 봉합사는 몸에 영구히 존재하기도 합니다.
또한 단일사는 모세관 현상이 없는 한 가닥 구조로 구성되어 표면이 매끄럽고 조직 통과가 용이하며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없어 좋지만, 유연성과 매듭 안정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반면 다중사는 끈으로 꼬여 있거나 한 가닥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드럽고 유연하며 매듭이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박테리아가 자랄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상처 감염 위험성이 있습니다.
천연사는 전통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한 천연재료로 만든 실로 가격이 저렴하나 일정 두께로 실을 만들기 어려우며, 잡아당기는 힘에 견딜 수 있는 최대한의 힘을 의미하는 인장 강도가 떨어지고 조직 반응이 심한 편입니다.
반대로 합성사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화합물로 제조한 실로, 일정 지름으로 압출하기 쉬우며 인장 강도가 높고 조직 반응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4
봉합사를 크게 흡수성과 비흡수성으로 분류했을 때
흡수성에는 Catgut, Chromic surgical catgut, plain surgical catgut, PDS, Vicryl, Dexon, Monocryl가 있습니다. p17에서 보시면 아시듯 00대병원에서 주로 쓰이는 흡수성 봉합사에는 PDS, Vicryl 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 두 가지는 신경외과, 일반외과, 이비인후과 등 다양한 과에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PDS, Vicryl 이 두 가지를 중심으로 맞추어 설명하겠습니다.
PDS는 Poly-paradioxanone의 합성 중합체로 적용 후 90일부터 흡수되고, 6개월에 완전 흡수됩니다.
강한 인장 강도를 가져 매듭이 안정적이며, 조직과의 반응성이 적어 장기간 상처 지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모세관 현상이 없어 감염 위험이 적기 때문에 오염된 복부 수술 후 창상 봉합에 주로 이용됩니다.
PDS는 CT나 MRI 시 나타나는 왜곡을 피할 수 있으나, 탄력성으로 인해 봉합 시 다루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5
다음, Vicryl은 적용 후 2~3주부터 흡수되고, 8~10주에 완전 흡수됩니다.
이는 꼬아서 만든 합성 흡수성 봉합사로, Dexon과 같이 가장 많은 부분에 사용됩니다.
주로 비뇨기계 수술의 윤절술, 요도 성형술 등에 사용됩니다.
장점으로는 Dexon보다 인장 강도가 강해 매듭이 잘 풀리지 않으나,
Vicryl은 꼬아서 만든 봉합사이기 때문에, 꼬인 틈새로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존재하므로 감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p6
녹지 않는 실에는 pronova, silk, nylon, prolene, ethibond 등이 존재합니다.
이 중 00대병원에서 주로 쓰이는 비흡수성 봉합사에는 silk, nylon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실제로 일반외과, 흉부외과, 성형외과에서 사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므로 이 둘을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Silk는 누에고치의 섬유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봉합사로, 체내에 사용된 silk는 1년 후 약 50%가 분해됩니다. 여기에는 mersilk, black silk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장점으로는 저렴한 가격, 쉬운 소독, 적은 조직 자극 등이 존재하나
봉합사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화농성 반응을 잘 유발시키므로 염증 조직에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비뇨기계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silk는 주로 결찰, 피부, 점막 등의 부위에 적용 가능합니다.
다음 nylon은 폴리아미드계 합성소재로 구성된 합성사로, ethilon, dermaon, monosof 등의 종류가 존재합니다.
조직 반응이 거의 없고, 매끈하고 장력이 크기 때문에 모든 조직에 적용 가능하나
미끄럽고 매듭이 잘 풀려 봉합 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인장 강도가 떨어져 장기간지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prolene은 polyamide 중합체로, 조직 반응이 적고 유연하여 매듭이 잘 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ethibond는 polypropylene 합성 소재로 구성되었으며, prolene과 마찬가지로 매듭이 잘 풀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심장수술 등에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wire는 값이 저렴하고 유연하며 장력이 크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실이 잘 꼬이고 조직을 통과하면서 흉터가 크게 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는 보통 치명적이지 않은, 일반적인 상처 치유에 주로 사용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