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온난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지구의 온실효과

3. 온실기체 증가와 지구온난화 현상

4.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 영향
가. 전지구적 영향
(1) 지구 사막화
(2) 수자원의 변화
(3) 농업의 변화
(4) 해수면 상승
(5) 새로운 날씨 형태
나.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1) 농업에 미치는 영향
(2)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본문내용

리나라의 수도작(벼)의 2배의 CO2 기후에 대한 생산을 김해와 호남 벼논지역에서 적용한 결과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에 온난화에 의한 경기도 지역에서는 오히려 증가 경향을 보였다. 이들 결과에서 온난화에 의한 생육기간의 연장과 냉해 등의 위험이 다소 완화될 수 있으나 평야지대의 중 만생종과 중북부 내륙산간 지방의 조생종 등 다양한 품종 개발이 이루어 져야하며 재배시기의 합리화와 재배방법 등 경작의 기술적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기상청의 이병렬박사(1996)에 의하면 세계의 농업기술은 기후와 토양 등 자연자원을 토대로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기후와 토양의 어느 한 요소가 변화하게 되면 1차적으로 농업 생태계의 생산성과 안정성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으며 2차적으로 수자원의 공급, 수질정화, 대기순환 및 녹색 휴식공간의 등에도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3차 적으로는 농업과 산림 등 연관된 산업분야에도 영향이 크게 파급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산된다. 이에 대한 단적인 결론으로는 개발된 GCM과 같은 고도의 기후변화 예측 기술하에 기후변화 영양을 예측하고 이들 결과를 농업과 연관된 자원, 경제, 정치, 환경 등에 적용시켜 대처할 수 있는 기술과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2).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몬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여름철 극전선의 영향으로 장기간의 정체전선의 형성 된에 따라 연중 강우의 60% 이상을 공급하는 장마기를 해마다 맞고 있다.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의 수자원 수요는 지형의 수문효과에 따른 공급의 균형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다. 1994년도 수자원공사 보고에 의하면 남한의 강수량은 연중 평균 1274mm 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산정할 때 1,267억톤의 수자원 공급이 있고 이중 570억톤이 증발되어 677억톤이 가용량이 된다. 이중 467억톤이 하천과 홍수등에 의하여 유출되고 실제 연중 가용량은 약 210억톤으로 추정되어 301억톤(94년도기준)의 1년 수요에 훨씬 못미치고 있다. 특히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서기 2001년에는 337억톤, 2006년에는 350억톤 그리고 2011년에는 367억톤으로 우리나라의 물 사용량이 매년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 나라의 수자원에 연관된 물수지(water budget) 구조는 아시아 여름몬순과 겨울철에 몬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 츠쿠바 대학 Yasunary교수(1981)는 동아시아의 1890-1920년 기간을 한냉기, 1930-1960년 기간을 온난기로 구분하고 이들 기간의 지상기압과 기온의 anomali를 구하여 한냉기에는 몬순이 약하고 온난기에는 강함을 조사한 바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온난화 시기의 겨울철 강수량은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여름철 강수량은 증가함이 파악된 바 있다. 또 한반도의 수자원은 강수에 의한 공급 구조로써 경사가 가파르고 하천의 길이가 짧은 산지지형의 속성 때문에 수자원의 원수(원수) 공급 구역이 뚜렷이 구별되나 호우 빛 홍수와 가뭄과 같은 극단기상현상(extream events of meteorological phenomena)에 대하여 매우 취약하다. 기상연구소 오성남박사 팀은 동북아시아와 남한에 대한 강수변화를 2배의 이산화기후에 대하여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수치 기후예측 모형으로 모의 평가한 바 있다. 그 결과 온난화 기후에서 남한은 토양수분의 변화가 음의 효과로 나타나 건조 현상이 두드러지고 강수의 공급을 크게 줄이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일본의 Noda 박사(1996)는 일본 기상연구소의 기후예측컴퓨터모형(GCM)을 이용하여 현재 대기보다 2배의 대기 이산화탄소(CO2) 량을 증가하여 실험한 결과 2배의 CO2 온난화 기후가 남한지역의 강수를 여름철에는 다소 감소시키고 중부 이북지방에서 15% 이상 증가하게 함을 보였다. 또 1995년 오성남 등이 밝힌 1992~1995년 동안의 지구온난화가 남한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현재와 비교한 결과 장래 CO2 농도가 2배가 될 경우 하천유량이 유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년간 총 하천유량은 소양댐유역이 317 백만㎥, 충주댐유역이 2234 백만㎥, 대청댐유역이 395 백만㎥, 안동댐유역이 84 백만㎥, 남강댐유역이 184 백만㎥, 섬진강유역이 89 백만㎥씩 각각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춘, 하, 추계에는 하천유량이 증가되며 가장 크게 증가하는 계절은 유역에 따라 달라서 한 계절인 3개월간에 하천유량 증가량은 소양댐유역은 여름(141 백만㎥), 충주댐유역은 가을(999 백만㎥), 대청대유역은 봄(167 백만㎥), 안동댐유역은 여름(57백만㎥), 남강댐유역은 여름(142 백만㎥), 섬진강댐유역은 봄(53 백만㎥)에 가장 많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수해에 대한 대비가 요망된다. 한편 대청댐, 안동댐, 남강댐, 섬진강댐의 경우는 동계의 하천유량이 각각 85 백만㎥, 14 백만㎥, 14 백만㎥, 23백만㎥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결과는 기후변화 시 갈수기인 동계의 강수 감소는 수질오염의 근본적 원인으로 수질유지에 어려움이 예상됨을 밝힌 바 있다.
4. 결론
지난 2000년 1月 미국 LA Long Beach 에서 개최된 미국기상학회에서는 지구온난화에 관련된 세계의 3대 위험지역을 발표하였다. 브라질 아마존강 유역의 열대 우림 감소와 아프리카의 사막화 그리고 중국의 무분별한 산업시설의 증가를 발표하였다. 현재 대기에 포함된 CO2 양이 2배가된다면 세계의 사막지대가 지금보다 3배 증가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편서풍대에 위치한 우리 나라는 중국의 기후와 환경상태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나 CO2와 같은 온실기체는 대기내에서 2~3시간 내에 분해되므로 중국의 영향이 우리에게 미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선진국의 지구 기후 보존책은 오직 무역이라는 무기로 세계를 규제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은 이와 무관한 것이 아니며 우루과이라운드 역시 관계가 깊다. 세계화를 선포한 우리나라에서는 다각도로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적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정책이 설정되어야 하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0.1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