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자와 사상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철학자와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낙시만드로스

2. 아낙시메네스

3. 피타고라스

4. 헤라클레이토스

5. 제논

6. 플라톤

7. 아리스토텔레스

본문내용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촉각 같은 기초 감관은 모든 물체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어떤 것들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감각들의 경우도 "감각의 감관은 각자 관련된 한 가지씩의 대상을 가지며 따라서 무슨 색과 무슨 소리가 존재하는가를 파악할 수는 없어도 무엇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고하는 데는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감각적인 영혼은 단지 질료는 알지 못한 채 형상에만 열중한다. 예를 들면, "타고 있는 촛불의 모양은 금이나 쇠 없이도 반지의 모양을 취하게 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감관도 칠해진 색이나, 풍기는 맛이나, 들리는 소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그것은 각각의 경우에 무엇이 실체인지에 대해서는 무차별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능태"에 대한 특수한 해석에 의해 감각적 영혼이 감각하는 방식을 설명했다. 감각 기관들은 다양한 형상들을 감각할 수 있음에 틀림없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감관은 어떠한 성질과 잠재적으로 부합될 수 있는 어떤 것이다. 예를 들면 눈동자에는 푸르게, 혹은 검게 될 수 있는 가능태를 지닌 물질이 포함되며 따라서 어떠한 종류의 대상이 감각될 때 그 물질은 실제로 푸르게, 혹은 검게 된다는 것이다. 눈동자의 이러한 중립적 물질은 잠재적으로 모든 색들과 모든 모양들을 소유해야 한다. 우리의 다른 감관들도 다른 성질들과 관련하여 유사한 가능태들을 소유한다. 더욱이 오관은 감각 내용들이 생겨나는 하나의 단일한 대상이나 세계를 반영하면서 그들의 정보를 하나의 결합된 전체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갖는다. 물론 오류도 가능하다. 어떤 것이 딱딱해 보이지만 부드럽게 느껴지는 경우에서처럼 말이다. 또한 우리가 감각한 성질들은, 우리가 하나의 대상을 더 이상 직접적으로 지각할 수 없을 경우에도 계속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현상을 "기억"과 상상의 견지에서 설명한다. 우리가 회상하는 것의 대부분은 다른 사물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데, 이는 감각과 기억이 결코 임의적인 행위가 아니라 실재 세계에 존재하는 어떤 것을 재생산해 주는 행위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감각과 상상의 능력으로부터 결국 영혼의 최상의 형식인 인간의 영혼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2) 인간의 이성(理性)
인간이 영혼은 보다 낮은 형식의 영혼들, 다시 말해 식물적인 영혼과 감각적인 영혼을 결합시키며 이들 영혼 이외에 이성적 영혼을 소유하고 있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분석하였다. 이성적 영혼은 과학적 사유의 힘을 갖는다. "이성"은 사물들간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분석의 능력일 뿐만 아니라 사물들간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이성적 영혼은 과학적 사유 이외에도 "심사숙고"하는 능력을 갖는다. 여기서 정신은 어떠한 진리가 사물들의 본성에 존재하는가를 발견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위를 위한 지침들도 발견한다.
여기서 다시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이란 육체를 결정해 주는 형상인 엔텔레키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육체가 없다면 영혼은 존재할 수도, 자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없다고 한다. 이러한 주장은 플라톤의 입장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그는 육체를 영혼의 무덤이라고 하였다.) 견해임에 틀림없고, 그만큼 날카롭게 대립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은 육체와 영혼이 함께 하나의 실체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지식이나 학식을 영혼이 이전에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한 회상의 과정이라고 단정할 수 없었다. 더욱이 플라톤이 개인의 영혼의 불멸성을 주장했던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과 육체를 밀접히 관련시키면서 육체가 죽으면 그것을 조직하는 원리인 영혼도 함께 소멸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그에게 있어 정신은 백지 상태로 출발하는 것과 같은 것이었다.
인간의 이성적 영혼은 감각적 영혼과 마찬가지로 가능태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눈은 하나의 빨간 대상을 볼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 빨간 대상과 직면할 때에만 그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성적 영혼은 사물의 참된 본성을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성은 단지 잠재적으로만 그 본성에 대한 지식을 가지므로 그것은 그것의 결론들로부터 추론되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의 사유는 하나의 가능태이지 연속적인 현실태는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정신은 지식을 획득할 수 있지만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정신은 "현실적으로" 아는 것과 "잠재적으로" 아는 것 사이의 중간자이다. 진리는 인간의 이성에 결코 연속적으로 현현(顯現)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지식의 연속성은 무엇에 의해 암시될 수 있을까? 진리의 연속성을 암시해 주는 것은 세계의 연속성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정신이 소유하는 잠재적 지식은 어떤 의미에서 완전하며 연속적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부동의 동자(動者)를 세계의 영혼(nous)이며 세계의 지적 원리라고 주장했었다. {De Anima}에서 그는 "능동적 지성"에 관해 언급하면서 "영혼은 한 순간에는 작용하면서 다른 순간에는 작용하지 않는 일이 결코 없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그는 개인의 지성과 "능동적 지성"을 구분한다. 전자는 간헐적으로 인식하는 지성이며 후자는 개인과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존재하면 따라서 영원한 지성이다. 만일 이 지성이 순수하게 능동적이기만 하다면, 그것은 결코 가능태들을 소유하지 않는다. 그러나 능동적 지성은 부동의 동자와 동일하다. 부동의 동자의 판명한 행동은 순수 행위이며, 순수 행위는 전실재에 관한 진리와 완전히 조화된 정신의 활동이다. 만물의 구조로서 간주된 형상들의 전체계는, 세계의 영혼, 부동의 동자, 능동적 지성에 대한 연속적인 지식을 구성해야 한다. 이러한 지성이야말로 불변적인다. 따라서 수동적이며 잠재적인 인간의 지성은 어떠한 진리에 대해서 인간적 지성이 인식할 수 있는 정도까지만 능동적 지성을 지닐 뿐이다. 인간이 죽을 때도 죽지 않는 것은 능동적 지성에 속하는 어떤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 인간"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그 인간 개인의 영혼은 그것의 질료인 육체와 함께 사라진다. 순수한 것만이 영원하다. 따라서 가능태와 혼합된 인간의 실체는 더 이상 생존할 수 없는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3.11.1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