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십원가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현십원가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균여전
2. 균여와 그의 사상
3. 《보현십원가》
4. 《보현십원가》의 문학사적 의의

결론

본문내용

써 붙여지기도 하였다......
위의 글은 『균여전』을 지은 혁련 정의 서문이다. 혁련 정은 이 짧은 글에서 두 가지를 밝히고 있다. 첫째는 腦를 붙인 것은 이 노래의 표현이 정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며 사뇌가(詞腦歌)에 익숙한 균여가 보현보살의 10가지 대원을 기초로 해서 이 노래를 지었다는 것이다. 또 사뇌가라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즐기며 다루는 물건'이라 하여 당시 향가가 대중들과 매우 친밀한 노래라는 것도 지적하고 있다. 즉, 향가가 세인들에게 불리어지는 보편적인 노래가 아니라면 《보현십원가》도 창작의 의도를 잃어버리게 된다는 뜻이기도 한다. 이는 이미 향가가 민중들에게까지 널리 퍼져있었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좋은 근거가 되고 있다.
『균여전』서문에서 다음 기록은 《보현십원가》의 본질과 기능을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라 생각된다.
이제 흔히 아는 가까운 일에 의탁하여 말하는 것은 도리어 생각하기 어려운 먼 이치를 깨닫기 쉽게 할 것이다. 10가지 큰 소원의 글에 의하여 11마리 하치않은 노래를 지으니 이는 여러 사람 눈에는 극히 부끄럽지만은 여러 부처님 마음에 부합되기를 바란다. 비록 말이 시원치 못해하고 생각이 어긋나서 성현의 깊은 뜻에는 알맞지 아니 할는지는 모르겠으나 글에 의하여 노래를 지은 것은 세속 사람들에게 착한 마음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한 말이다. 기쁜 마음으로 외우는 이는 誦願이 인연을 맺게 될 것이며 달갑지 않은 생각에서 외우는 이도 念願이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이 글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보현십원가》는 보현보살의 10가지 소원을 노래로 만든 것이다.
둘째로 《보현십원가》는 알기 쉬운 가까운 일에 의탁해서 말하여 도리어 생각하기 어려운 먼 치를 쉽게 깨닫도록 하는 10가지 소원이 글이다.
셋째로 《보현십원가》를 '하치 않은 노래'라 했는데 이는 대중과 친합할 수 있는 매우 가까운 노래임을 지적한 말이며 우리 나라 노래임을 강조한 것이다.
넷째로 《보현십원가》의 노래는 여러 사람들 눈에 혹 부끄럽기 짝이 없으나 부처님 마음에는 부합되길 바란다고 하였다.
다섯째로 이 노래를 통해 바라는 바의 좋은 果報 낳기를 염원한다.
여섯째로 향가는 주로 염송하는 것으로 이 노래를 염송하는 이는 각기 좋은 인연을 맺고 이익을 얻게 되리라 했다.
이를 종합하면 《보현십원가》를 염송하면 바라는 바 인연을 맺고 이익을 얻게 된다는 점을 『균여전』은 강조한다. 즉 불교의 경전을 노래로나마 염송함으로써 부처님의 공덕를 얻게 된다는 것이 균여의 생각이었던 것 같다.
셋째, 『균여전』의 《보현십원가》에는 최행귀의 한시 번역이 같이 전하고 있다. 최행귀는 균여와 같은 시대의 사람이었음으로 균여의 노래가 이루어지자 바로 번역했던 것 같다. 한시 번역은 명역으로 평가되었는데 번역을 통해서 이 노래를 안 중국 사람들이 균여를 높이 우러러보았다는 말도 전한다. 신라 향가에는 그렇게까지 알려진 것이 없다. 하지만 한시로 번역한 의도와 거기 따르는 문제는 단순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다. 균여 향가를 최행귀가 한시로 번역한 이유는 중국 사람들에게 향찰은 통하지 않으므로 《보현십원가》를 널리 알리기 위함이었다. 또한 고려사회는 한문이 매우 성하던 때인지라 향찰로 표기된 노래는 오히려 애송되지 못했으므로 이를 한스럽게 여겨 한시로 번역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이 노래를 번역한 덕분에 이 노래는 더 널리 퍼지고 세인들이 향가를 애송하게 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최행귀는 『균여전』의 《譯歌現德分 崔行歸 序文》에서 그 당시 향가의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 그는 향가를 '보석같은 시편'이라 칭송하였다. 이는 신라시대 음악적 성숙도가 매우 높았으며 그 속에서 향가도 배태되고 유행했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전하는 향가는 극미한 자료에 불과한 것이며 내용과 형식 그리고 주제와 기능 등에서 향가는 우리가 알 수 없을 만큼 다양하게 불리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Ⅲ. 결론
본고에서는 『균여전』의 《보현십원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균여전』의 창작배경과 균여의 사상 그리고 《보현십원가》의 원문과 그 향찰 해독, 《보현십원가》 11수 각각의 주제과 내용, 그리고 《보현십원가》가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를 논의해보았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가 14수에 지나지 않는데 비해 『균여전』의 《보현십원가》는 모두 11수이니 그 비중이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향가 작품을 남긴 작가는 신라 때에는 없었다. 월명사(月明師)나 충담사(忠談師)쯤 되면 노래 짓는 것을 업으로 삼았겠으나, 지금까지 전하는 작품은 두 편씩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균여는 자기 직분을 시인으로 삼은 사람이 아닌데도 지은 노래를 고스란히 전할 수 있었다. 《보현십원가》 덕분에 향가는 고려시대까지 생명을 이었을 뿐 아니라 깊은 이치를 갖춘 철학시의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그러나 고독한 시인이 세상과 부딪치면서 느끼는 갈등을 승화시킨 순순한 서정의 모습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 안타깝다.
《보현십원가》 11수는 『삼국유사』의 14수보다 연구된 바가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보현십원가 개별작품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 성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경전을 그대로 옮겨 노래했기 때문에 문학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데에 대한 선입견을 떨쳐 버리지 못하는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양으로 보나 그 문학사적 의의로 보았을 때 결코 『삼국유사』의 향가들보다 뒤떨어지지 않는 작품들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보현십원가》에 대한 학계의 올바른 연구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金武憲, 『鄕歌麗謠敎育論』, 집문당, 1997
·김승찬·손종흠, 『古典詩歌論』,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1
·나경수, 『鄕歌文學論과 作品硏究』, 집문당, 1995
·신재홍, 『향가의 해석』,집문당, 2000
·尹敬洙, 『鄕歌·麗謠의 現代性 硏究』집문당, 1993
·임기중 외, 『새로 읽는 향가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소, 1998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崔鶴璇, 『鄕歌硏究』, 宇宙, 199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1.12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