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예술 대 저급예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한 맥락에서 다른 이들은 록 음악에서는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노래'가 아닌 레코딩이 일차적인 예술작품이고(그래칙 1996), 록음악작품의 사례(token)들은 독창적인 원본 레코딩의 재생(playback)에 의해 산출된다는 주장을 해왔다. 이것은 음악작품이란 음악가들이 작품의 악보를 연주할 때면 언제건 드러나는 추상화된 소리 구조라는 보통의 견해에 위배된다. 록음악에 있어서 레코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설명은 록음악 작품의 존재론이 고전적인 음악작품보다는 판화의 존재론에 더 가깝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대중예술과 대량예술을 고급예술만큼이나 진지하게 다루는 것은 결국은 미학이론의 몇 가지 중심적 생각들을 문제삼는 것이다. 그러한 예술형식들은 상업적이고 종종 기능적이기에(도날드 덕 마우스 패드처럼) 그것들은 전통적으로 예술에 대해 요구해 온 자율성을 결여한다; 그것들은 어떤 경우에도 예술을 위한 예술의 사례들은 아니다. 그것들은 상업적이고 기능적인 목적에 의해 통제될뿐더러 정상적인 청중들의 반응의 유형은 전통적인 미적 판단의 개념들에 거의 부합하지 않고 있다. 한 극단적인 경우, 몇몇 대량예술 형식들은 가령 영화 사운드트랙과 무작(Muzak: 엘리베이터 뮤직 같은 것)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의식적으로 주목할 수는 없는 것들이다. 게다가 대중예술이나 대량예술 작품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고 해도, 그것들은 심리적인 거리를 취하거나(록 콘서트를 고려하라), 무관심하게(팬들의 열광을 고려하라) 접근할 수는 없는 것들인 것이다. 칸트의 미학 이론에서 미적 반응의 유일한 메카니즘인 상상력과 오성이라는 인식능력들의 자유로운 유희에 반대해서 가령 대중 음악의 감상은 비-지적인 신체의 반응 - 춤, 노래 -을 수반한다(슈스터만 1991). 마지막으로 독립적인 예술 대상이라는 바로 그 개념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위해 요즈음 발전하고 있는 상호작용적인interactive 음악적, 텍스트적, 시각적 작품들에 의해 훼손될 수 있다. 전통 미학에서 선호되어 온 많은 개념들과 태도들이 대량예술작품과 대중예술작품들로의 미학자들의 관심의 이동함에 따라 적어도 개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아도르노 Adorno, T. (1997) 『미학 이론』
벤야민 Benjamin, W. (1969)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벤야민의 문예이론』중
부르디외 Bourdieu, p. (1984)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캐롤 Carroll, N. (1998) A Philosophy of Mass Art, Oxford.
코헨 Cohen, T.(1993) "High and Low Thinking About High and Low Art,"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51: 151-6.
---- (1999) "High and Low Art, and High andLow Audiences," Journal of Aeshtetics and Art Criticism 57:137-43.
콜링우드 Collingwood, R. G. (1958) The Principles of Art
딕키 Dickie, G. (1969) " Defining Art,"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6: 253-6.
피셔 Fisher, J. (1998) " Rock 'n' Recording: The Ontological Complexity of Rock Music," in P Alperson (ed), Musical Worlds: New Directions in the Philosophy of Music,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갠스 Gans, H. (1974)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굴드 Gould, T. (1999) "Pursuing the Popular,"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57:119-35.
그래칙 Gracyk, T. (1996) 『록 음악의 미학』, 이론과 실천
그린버그 Greenberg, C. (1986) "아방가르드와 키치"
카플란, Kaplan, A. (1972) "The Aesthetics of the Popular Arts," in J. B. Hall and B. Ulanov(eds), Modern Culture and the Arts, 2nd edn, New York
켐프 Kemp, M. (ed.) (1989) Leonardo on Paint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크리스텔러 Kristeller, P. O. (1992) " The Modern System of the Arts," in P. Kivy (ed.), Essays on the History of Aesthetics, Rochester: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레바인 Levine, L. (1988) Highbrow/Lowbrow: The Emergence of Cultural Hierarchy in America, Cambridge, Mass: Havard University Press.
맥도날드 MacDonald, D. (1957) " A Theory of Mass Culture," in B. Rosenberg and D. M. White (eds), Mass Culture: The Popular Arts in America, New York: Free Press.
노비츠 Novitz, D. (1992) The Boundaries of Art,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플라톤 (1997) Complete Works, ed. J. M. Cooper, Indianapolis: Hackett.
슈스터만, 「대중예술의 미학적 도전」, 『프라그마티스트 미학』, 예전사
--- , (1992) "Popular Art," in D. Coper (ed.), A companion to Aesthetics, Oxford: Blackwell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1.26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