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성 사구체질환 Secondary Glomerular Diseases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당뇨병성 신(병)증(DIABETIC NEPHROPATHY)

II. 면역학적으로 매개하는 전신 질환

III. 사구체 침착 질환

IV. 약물 유발 사구체 질환

V. 감염성 질환과 동반하는 사구체 병변

VI. 신생물과 동반하는 사구체 병변

본문내용

사구체 허탈, 심한 세뇨관간질성 염증과 세뇨관의 소낭성(microcystic) 확장
② EM: 사구체내피세포, 세뇨관세포와 침윤 백혈구의 관상망상 봉입체(tubuloreticular inclusions), 세뇨관핵의 원섬유과립성(fibrillogranular) 변성, 복합핵체(comlpex nuclear bodies)의 존재
(6) 치료: 스테로이드, ACE억제제, zidovudine(AZT)
세균성 감염(Bacterial Infection)
1.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1) 면역복합 사구체신염이 흔하며, 기타 색전성 신경색, 패혈성 농양, 패혈증에 의한 급성 세뇨관괴사, 약물, 파종성 혈관내응고(DIC), 항생제 유발 급성 간질성신염으로 신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2) 심내막염 유발 사구체신염
(1) 미세혈뇨, 적혈구원주, 농뇨, 단백뇨(25%에서는 신증후군범위), 경한 신부전
(2) RF(10-70%), 순환 면역복합체(90%), 혈청 보체 감소가 있다.
(3) 신생검
① LM: 경한 초점성 증식성 사구체신염
② IF: IgG와 C3의 메산지움과 모세혈관벽의 침착
③ EM: 내피하, 메산지움, 상피하의 전자고밀도 침착
(4) 간혹 미만성 괴사성 반월상 사구체신염으로 발전하여 신염증후군과 RPGN으로 나타난다.
(5) 예후는 좋아서 기저 감염의 근절과 더불어 관해된다.
2. 감염된 뇌실심방단락(Infected Ventriculoatrial Shunt)
1) 면역복합 사구체신염이 1-4%에서 발생
2) 단락 삽입 수주에서 수년간 신염 소견을 보인다.
3) 미세혈뇨, 신증후군(50-60%)
4) 신생검: MPGN
5) 감염된 단락의 제거와 감염의 소산에도 1/3이상에서 잔류 신기능부전이 있다.
3. 화농성 감염(Suppurative Infection)
1) 흉곽내와 복부내 농양, 골수염, 치성 농양은 사구체신염을 동반한다.
2) 혈뇨, 적혈구원주, 단백뇨, 급성 신부전이 나타난다.
3) 핍뇨와 고혈압이 흔하다.
4) 신생검: MsPGN, MPGN, diffuse proliferative crescetic GN
4. 매독과 나병
1) 매독
(1) 신증후군이 0.3-8%에서 발생한다.
(2) MN
(3) C3, C4의 감소가 선천성 매독에서 존재
2) 나병: AA 아밀로이증, 급성 PSGN과 유사한 증후군
원충 및 기생충성 감염(Protozoan and Parasitic Infection)
Relationship of Plasmodium Species to The Incidence of GN
and The Response of GN to Antimalarial Therapy
Species
Occurrence of GN
Response to Therapy
P. vivax, P. ovale
P. malariae
P. falciparum
No reported
Common
Rare
Not reported
Poor
Excellent
VI. 신생물과 동반하는 사구체 병변
(GLOMERULAR LESIONS ASSOCIATED WITH NEOPLASIA)
1. 충실성 종양(Solid Tumor)
1) 신생물과 동반하는 사구체병증: MN, MCD, FSGS, 면역복합 사구체신염, fibrillary/ immunotactoid GN, LCDD, 아밀로이드증
2) 충실성 종양은 경한 단백뇨는 흔하나, 사구체신염이 나타나는 일은 드물다.
3) 폐, 대장, 위장관, 유방, 신장과 난소의 충실성 종양은 막성 신증 때문에 흔히 신증후군의 발생빈도가 높다.
4) 막성 신증과 관계된 특발성 신증후군의 0.1-10%에서, 특히 60세 이상에서는 20% 정도에서 잠재암의 발생빈도가 있다. 그러나 다른 임상적 양상이 암시되지 않다면 광범위한 검색을 할 필요는 없다.
5) 신세포암은 임상적으로 사구체병증은 드물며, 신 아밀로이증과 동반될 수 있다.
6) 관해 후 신증상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종양 항원과 항종양 항체로 구성된 순환 면역 복합체의 침착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2. 림프종
1) Hodgkin 병
(1) 신증후군의 70%가 MCD이며, 진단 동시에(40-45%), 이전에(10-15%), 추적시(40-50%) 에 발생한다.
(2) 그외의 동반 신질환: FSGS, MN, MPGN, 증식성 사구체신염과 반월상 사구체신염
(3) lymphokine 또는 악성 T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다른 매개체에 의해 족세포 기능 장애를 일으켜 사구체 투과성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신증후군은 성공적 치료시 소산되고, 질환의 재발시 재발한다.
2) Non-Hodgkin 병: MCD, MN, MPGN, 반월상 사구체신염, fibrillary/immunotactoid GN
3. 기타
1)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과 B세포 림프종: MPGN
2) 파라프로테인혈증: 일차성 아밀로이드증, LCDD, 증식성 사구체신염
참고 문헌
Brenner,B.M., Rector,F.C.Jr.: The Kidney, 5th ed., W.B.Saunders. 1996.
Massry,S.G., Glassock,R.J: Textbook of Nephrology, 3rd ed., Williams and Wilkins. 1995.
Schrier,R.W., Gottschalk,C.W.: Diseases of the Kidney, 5th ed., Little Brown & Company. 1992.
학습확인사항
I. 이차성 사구체 신질환을 정의하고 열거하며 임상상을 기술.
1.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및 루푸스 신염
2. B형 바이러스 간염과 관련된 신질환
II. 당뇨병과 신장
1. 당뇨병성 신병증의 병인을 인지.
1) 발생빈도
2. 당뇨병성 신병증의 사구체 병변을 비롯해서 병리소견을 기술.
3. 임상 소견과 당뇨병 이환기간에 따른 시기를 구분하고 설명.
1) 미세알부민뇨의 정의, 임상적 의의
4. 단백뇨와 신부전 시기에 적절한 치료대책을 숙지.
1) 신증후군의 치료
(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2) 고혈압의 치료
(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2) 칼슘통로 차단제 치료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4.03.07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