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의 수피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수피의 어원

Ⅲ. 수피즘의 기원
1. 타종교 및 철학에서의 신비주의
2. 수피즘의 기원

Ⅳ. 수피즘의 정의와 원리
1. 수피즘의 정의
2. 수피즘의 원리

Ⅴ. 수피즘의 역사
1. 태동기
2. 발전기
3. 전성기
4. 쇠퇴기

Ⅵ. 수피 종단

본문내용

M ` L QA R , 1193년 죽음)의 영향을 받아 수피 학문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암마르(`AMM R B. YAS R, 1186년 죽음), 루즈비한(R ZBIH N KAB R MI R , 1188년 죽음) 등과 같은 당대의 유명한 수피로부터 사사한 후에 하레즘으로 돌아와 종단을 세웠다. 그는 몽고와의 전쟁에서 전사했다. 쿠브라의 저서로는 『10가지의 근본(Us lu `ashara)』과 『미의 향기(Faw 'i al-jam l)』가 있는데 전자는 수피 종단에서의 수련과정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수피즘의 심리학에 관한 것으로 모두가 후세의 다른 종단의 교리와 관습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중앙아시아, 이란, 인도아대륙에 널리 분포되어 있던 쿠브라위야 종단의 교리의 특징은 ‘환상’과 ‘빛’의 이론이다. 쿠브라에 의해 창안된 이 이론은 그의 제자 나즈뭇딘 다예(NAJM AL-D N D YE, 1250년 죽음)에 의해 그의 저서 『종복들의 길(Mirs d al-`ib ad)』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특히 다예는 그의 스승과 달리 몽골 침략에 희생되지 않고 무사히 소아시아 지역으로 이주해 활동함으로써, 그의 이론은 소아시아 지역에서 발흥한 마울라위야 종단의 교리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마울라위야 종단의 창시자 마울라나 잘랄 알딘 루미의 아버지 바하 알딘 왈라드(BAH ' AL-D N WALAD)도 쿠브라위야 종단의 일원이었다. 근대사에서 쿠브라위야 종단은 까디리야 종단과 함께 러시아의 침략에 맞선 저항세력으로 이름을 떨쳤다.
8) 취쉬티야(Chishtiyah) 종단
창시자는 호라산 출신의 무인 알딘 하산 취쉬티(MU` N AL-D N ASAN CHISHT , 1236년 죽음)이다. 그는 니샤푸르(Nish p r)에서 오스만 하루니(Shaykh `UTHM N H R N , 1221년 죽음)의 학문을 사사한 후, 오랜 기간의 여행을 통해 압둘 까디르, 아불 나집, 유숩 하마다니, 쿠브라 등과 같이 당대의 뛰어난 수피 학자들과 만나 학문의 폭을 넓혔다. 그후 취쉬티는 인도 지역으로 이주해 종단을 세웠다. 이 때문에 취쉬티야 종단은 주로 인도-파키스탄 지역에 분포되었으며 이 지역의 이슬람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취쉬티야 종단은 학문적 연구보다는 실천을 강조했는데, 그 실천적 교리는 “바다같은 관용, 금과 같은 친절, 흙과 같은 겸손”이라는 3 구절에 집약된다. 이처럼 취쉬티야 종단의 손님접대는 융숭하기로 소문나 있었다. 인도에 근거지를 두었기 때문에 취쉬티야 종단의 교리와 관습에는 고대 인도 사상도 많이 배어 있었다. 또한 시나 음악을 듣는 관습(sam `)에도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인도아 대륙에서의 이슬람 문학 발전에도 큰 역할을 담당했다.
9) 낙쉬반디야(Naqshbandiyah) 종단
부하라 출신인 바하 알딘 낙쉬반디(BAH AL-D N NAQSHBAND , 1387년 죽음)에 의해 창시되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수피 환경에서 자라나면서 하제간(Khw jeg n) 학파(하제간(Khw jeg n)은 하제(Khw je, 스승)의 복수형으로서 수피 성인들의 이름 앞에 하제라는 칭호를 사용한데서 이 종단의 이름이 유래했다. 하제간 종단의 창시자는 12세기의 유명한 신학자 유숩 하마다니(KHW JE Y SUF HAMAD N , 1140년 죽음)로 알려져 있다. 하제간 종단은 15세기까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수피 종단으로서의 지위를 누렸으며, 그 이후에 창시된 낙쉬반디야, 야사위야, 쿠브라위야 종단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의 삼마시(SAMM S KHW JEG N , 1339년 죽음), 압둘 칼릭(`ABD AL-KHAL Q GUJDUW N , 1320년 죽음), 아미르 쿨랄(SAYYID AM R KUL L, 1379년 죽음) 등으로부터 수피 교육을 받았다. 낙쉬반디야 종단은 신학의 대가 무함마드 파르사(MU AMMAD P RS , 1419년 죽음)의 도움으로 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후, 15세기 말에 물라 일라히(MULLA IL H , 1491년 죽음)에 의해 소아시아로, 17세기에는 이맘 랍바니(IM M RABB N , 1626년 죽음)에 의해 인도아대륙으로 전파되었다. 또한 16세기에는 몽골 통치자들의 보호를 받으며 동투르키스탄 지역의 통치권을 양도받아 이 지역에서 지배세력으로 등장하기도 했으며, 동투르키스탄과 중국의 이슬람 선교에 큰 공을 세웠다. 낙쉬반디야 종단에서 수많은 하부 종단들이 파생되어 나가 이슬람 세계 곳곳에서 그 영향력을 발휘했다. 인도에서는 아흐마드 시르힌디(A MAD SIRHIND , 1624년 죽음)에 의해 ‘개혁자(mujaddid)’라는 의미의 무잣디디야(Mujaddidiyah) 지파가 형성되어 이 지역에서의 종단 개혁을 주도했다. 이들은 음악과 춤을 반대하는 정통 종단의 자세를 취함으로써 많은 호응을 얻기도 했다. 무잣디디야 종단의 개혁운동은 18세기 말에 바그다드 출신의 칼리드(KHAL D AL- SHAHRAZ R , 1827년 죽음)에 의해 오스만 제국에 전파되어 칼리디야(Khalidiyah) 지파를 탄생시켰는데, 그들의 모(母) 종단이 ‘개혁자’였던 것과는 달리 반(反)-서구적인 보수주의 전통을 고수한 결과 정부의 탄압을 받기도 했다. 칼리디야 종단은 19세기에 동남아시아 지역까지 퍼져 나갔다. 이처럼 낙쉬반디야 종단이나 그 하부 종단들은 소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이슬람 세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었다. 그 뿐 아니라, 그 이전에 중앙아시아에서 발흥한 야사위야, 쿠브라위야, 까디리야 종단들도 대부분 낙쉬반디야 종단에 흡수되어 사라졌다. 낙쉬반디야 종단의 관습 중 가장 큰 특징은 소리없는 ‘디크르(dhikr)'이다. 즉, 당시의 종단들이 대부분 디크르를 소리내어 낭송한데 비해 이들은 속으로 암송했다. 또한 대화( u bah)를 강조했으며, 외부인들에게 자신들의 의식을 공개하지 않았다. 낙쉬반디야 종단에서 수양의 4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 : 샤리아로 외형상의 것을 정화시킴.
제2단계 : 타리까로 보이지 않는 내면을 정화시킴
. 제3단계 : 하끼까로 영적인 세계에 도달함.
제4단계 : 마리파로 절대자에게 도달함.
  • 가격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07.09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