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관의 변화와 동감의 사회학 요약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관의 변화와 동감의 사회학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1장 사고유형론
제2장 사고유형론의 적용
제3장 애덤 스미스의 동감의 사회학
제4장 독일 지적 전통의 신비적 세계관과 공동체 지향성
제5장 사고유형론독일 지적 전통과 마르크스의 사회학
제6장 독일 지적 전통과 베버의 사회학
제7장 금욕적 개신교 윤리와 민주주의의 기본 정신
제8장 파슨스의 사회학
제9장 세계화와 정보 사회 그리고 동감의 사회학
제10장 세계관의 갈등과 한국 사회의 선택

본문내용

로 밀접하게 상호 의존하면서도 다른 하나가 압도하지 못하도록 서로 견제하며 균형 유지
- 개체성이 사회성을 집어삼킨다면 개체성은 약화 / 사회성과 개체성은 서로를 강화시키는 동반자
3. 동감 도덕으로서의 보편 도덕
스미스
- 균형의 질서 원리는 보편 도덕에 근거해서만 작동할 수 있다.
- 특수 도덕은 특별한 대상과 특별한 관계가 있는 특별한 행위자의 관점을 중요시하는 것
- 보편 도덕 = 정의의 도덕 + 자혜의 도덕
- 정의의 도덕 : 다른 사람의 이기심을 나의 이기심만큼 존중해 주어야 하는 것, 개체성의 자유로운 추구를 보장하면서도 사회성 파괴 방지하는 소극적 성격의 도덕
- 자혜의 도덕 : 나의 이기심을 희생해서라도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도와야 하는 것, 사회성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적극적 성격의 도덕 (시장 밖에서 작용)
결론 : 사회 질서의 근거를 인간 본성의 자연스런 동감으로 보는 동감의 사회학에 따르면, 현대 사회의 출현은 지배 계급의 과도한 자기애를 정당화하는 문화 관념에 근거해 경쟁을 제한하고 배제하는 특수 도덕으로부터 자연스런 동감에 근거해 모든 사람에게 경쟁을 개방하는 보편 도덕으로 나아간 도덕의 자연화 과정의 결과
III. 동감의 사회학과 세계화
1. 동감의 사회학과 기든스의 현대성
동감의 사회학
- 세계화를 자유의 자연적 체계인 현대 사회가 지구 전체에 매우 급진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으로 이해
- 현대성의 이해를 세계관의 변화에서 찾음 / 경험 세계에 대한 지식 추구 활동 평가 절하, 무한 세계에 대한 지식 추구
기든스
- 현대성(=탈전통) : 시간-공간 분리, 장소 귀속 탈피, 성찰성
- 시간-공간 분리 : 기계 시계의 발명으로 시간이 표준화되고, 세계 지도의 작성으로 공간이 표준화됨으로써 시간이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
- 장소 귀속 탈피 : 시간-공간의 분리를 근거로 인간 관계를 지역적인 상호 작용의 맥락에서 끄집어내어 보다 넓은 시간-공간대에 걸쳐 재구성하는 것
- 성찰성 : 사회적 실행에 의해 유입된 정보에 비추어서 끊임없이 사회 질서의 근거를 검토하고 재구성하는 것
2. 동감의 사회학이 보는 세계화의 의미
문화적 관념에 속박된 인간에서 자신의 본성을 발견한 이러한 변화를 '세계관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표현(급진적, 가속화)
다양하게 정의되던 인간 개념이 동일한 본성을 갖고 있는 하나의 인간 개념으로 통합되는 것을 포함.
세계화를 지향한 현대성이 오늘날 급진적으로 보급되는 것은 문화 관념의 둑이었던 사회주의가 현대성의 세계화 추진력을 인위적으 로 제약하고 있었기 때문
전통사회는 현대성보다는 사회주의에 더 큰 친화성을 가짐
자유와 분업과 경쟁과 신뢰ㅣ의 체계인 현대의 시장이 마르크스가 이해한 것과 같은 단순한 경제 현상이 아니라 도덕 현상이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함
IV. 동감의 사회학과 정보 사회
1. 현대성, 산업 사회, 정보 사회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정보 사회는 세계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수단)
정보 사회에서는 인간 삶의 거의 모든 무형의 활동이 주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님
정보 사회는 인간의 사회성과 개체성을 모두 고려하는 현대의 균형의 질서 원리를 양적으로 크게 확대시키는 동시에 질적으로 보다 세련화시킬 수 있는 기회 제공
2. 사이버 공간과 동감의 사회학
사이버 공간 : 신분 요소 완전 배제(익명성) / 익명성이 커질수록 동감 도덕은 절실해짐
- 자유 해방론 : 개체성의 자유로운 표현을 무한대로 가능하게 해주는 것처럼 묘사
-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이 보이지 않는 권력에 의한 정보의 조작과 통젤르 용이학 할 것이라고 우려
동감의 사회학 : 서로 평등한 존재로서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인간 사회의 가장 보편적인 규범을 활용 한다"
V. 결론
현대 사회를 인간 본성의 자연스런 동감 체계로 본 스미스의 동감의 사회학이 세계화와 정보 사회 시대를 맞이해 그 동안 문화 관념에 의해 분열되어 있던 사회학을 통합하는 새로운 사회학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는지 확인
전통성에서 현대성으로의 변화는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는 고통스런 과정이다. 그것은 세계관과 질서 원리의 변화를 의미, 자유 · 조직 규율 · 민주 · 산업 · 교육 혁명을 겪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제10장 맺음말 - 세계관의 갈등과 한국 사회의 선택
합리적 세계관과 신비적 세계관은 서구에서 처음 현대 사회가 진화해 나온 시점에서부터 계속해 대립하고 충돌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가장 강력한 세계관은 유교적 세계관
- 유교 : 하늘을 거스르는 역천의 사상(인간의 본성을 천성이라 하고 본성과 어울리면 순천이 되고, 본성을 거스르면 역천이 된다)
한국 사회에서는 인간 대 인간의 관계보다는 지배하는 인간 대 복종하는 인간의 관계가 더 중요시 된다. 따라서 인간 관계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도 지배-복종 관계로 분할된다. 이 관계에서 비상식적인 인간은 지배자가 되고 상식적인 인간은 피지배자가 된다. 이로 인해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가 건강하게 작동하기 위해 인간 대 인간의 관계에서 곡 지켜야 되는 상식적인 공공윤리는 잘 지켜지지 않는 반면, 복종하는 인간이 지배하는 인간의 기분을 상하지 않도록 하는 비상식적인 예의범절은 많이 존재한다. 그러니 상식은 통하지 않는다.
한국 사회를 과도한 지배욕의 사회로 만드는 핵심 요소는 효이다. 한국인에게 아버지는 기독교의 신보다도 더 무한하고 더 경배 받아야 하는 존재였다. 한국 사회에서 각 가족은 무한에 맞닿아 있는 혈족적인 종교 공동체이다. 가족 집단 또는 유사 가족 집단(학연, 지연) 사이의 경쟁은 한국 사회의 경제 발전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 이처럼 지배 도덕이 만연하는 곳에서는 투쟁과 갈등의 인간 관계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이 너무 커서 경제가 발전 할 수 없다. 경제 위기는 단순한 경제 위기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을 거스르는 사회 전체의 구조적 결함의 반영이다. 따라서 현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 본성의 자연스로 동감 도덕을 기초로 하여 자유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 그리고 개방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합리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이 성공해서 한국 사회가 번영하기를, 그리고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게 되길 기대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10.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