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의 변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운의 변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교체

󰋏 동화

󰋐 축약

󰋑 탈락

󰋒 첨가

본문내용

'ㅎ' 'ㅋ, ㅌ, ㅍ, ㅊ'
ex) 좋고 [조코], 많다 [만타], 옳지 [올치], 닫히다 다티다 [다치다], 잡히다[자피다], 맞히다 [마치다], 먹히다 [머키다]
②모음의 축약
· 모음축약이란? 앞 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ㅏ, ㅓ, ㅗ, ㅜ + ㅣ
ㅐ, ㅔ, ㅚ, ㅟ
간음화: 앞뒤 음절의 모음이 만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두 모음의 중간음으로 단일화되는 현상.
ex) 사이>새, 거이>게, 오이>외, 너의>네, 바꾸이다>바뀌다,…
이중 모음화 : 두 단모음이 엉겨 붙어서 이중모음으로 되는 것
ex) 가지어>가져, 하지오>하죠, 이애>얘, 보았다>봤다, 두어라>둬라, 그리어>그려, 뜨이다>띄다, 쓰이다>씌다, …
■■ 탈락
· 탈락이란? 앞 뒤 형태소의 두 음운이 마주칠 때, 그 중 한 음운이 완전히 탈락하는 것으로, 말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음운을 줄여서 발음하는 현상
분류
성격
ex
모음 탈락
동음 탈락
연접된 동음 중 뒷모음 생략
가아 가
'으' 탈락
어미'-아/-어' 앞에서 턍락
쓰어 써
'우' 탈락
어미'-어'앞에서 탈락
푸어 퍼
'어' 탈락
어간'ㅔ, ㅐ' 아래에서 탈락
깨어 깨
'아' 탈락
'하다'의 어간 '하'에서 탈락
흔하지 흔치
'이' 탈락
서술격 조사 '이'의 탈락
바이다 바다
자음 탈락
동음 탈락
연접된 동음 중 자음 탈락
간난 가난
'ㄹ' 탈락
'ㄴ, ㅅ, ㅈ'앞에서 탈락
딸님 따님
'ㅇ' 탈락
'ㅑ, ㅠ, ㅛ'앞에서 탈락
종용 조용
'ㅅ' 탈락
본래의 형태소가 가진'ㅅ'탈락
그것이 그게
'ㅎ' 탈락
모음과 'ㄴ'앞에서 발음 안 됨
좋으니 조으니
■■ 첨가
· 사잇소리 현상이란?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사잇소리 현상이라 한다.
사잇소리 현상은 형태소와 형태소가 연결될 때 일어나지만, 형태소가 결합하는 모든 경우에 사잇소리가 첨가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수한 음운 현상은 아니며 형태 음운현상이라 할 수 있다.
⑴ 사잇소리가 일어나는 이유
① 사잇소리가 일어나는 이유는 앞 음절의 끝소리를 빨리 끝닫게 하고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게 하려는 것이다.
② 사잇소리 현상은 동화나 구개음화, 축약, 탈락 등과는 달리 '표현 효과의 확대'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따라서 같은 조건인데도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 예가 많이 이에 대한 뚜렷한 규칙을 세우기란 쉽지 않다.
⑵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기 위한 조건
① 발음상 사잇소리가 있어야 한다.
ex) 초+불(촛불) [초뿔] 참고) 고래+기름 [고래기름]
② 이 현상에 따른 의미의 분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ex) 나뭇집[나무찝]:나무를 파는 집 참고)나무집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

합성어 사이에서 사잇소리가 있다.

합성된 두 말 중 앞말에 받침이 없다.

한자어끼리의 합성어가 아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는 예외다.
⑶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경우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기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윗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⑷ 사잇소리의 기본 3구조
┌① 앞의 말이 울림소리이고 뒤의 말이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말이 된소리 되는 경 │ 향이 있다.
│ ex) 봄+비 [봄삐]
├②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 있고, 뒤의 말이 'ㅁ, ㄴ'으로 시작되면 'ㄴ'소리가 덧나는 │ 일이 있다.
│ ex) 이+몸(잇몸) [인몸]
└ ③ 뒤의 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될 때에는 'ㄴ'이 하나 혹은 둘이 겹 쳐 나는 일이 있다.
ex) 집+일 [집닐] [짐닐], 부엌+일 [부억닐] [부엉닐]
⑸ 사잇소리의 성격
① 사잇소리 현상은 불규칙해서 일정한 법칙을 찾기가 힘들다.
②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 있으면 사이시옷[ㅅ]을 적어야 한다.
ex) 초+불 촛불
③ 사잇소리 현상은 예외가 많아 다음과 같은 합성 명사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ex) 고래+기름 고래기름 기와+집 기와집
④ 말에 따라서는 사잇소리 현상이 얼어나기도 하고 안 일어나기도 한다.
일어나는 경우
아침밥[아침빱], 노랫말[노랜말], 혼잣말[혼잔말], 횟수(回數)[회쑤, 횃쑤]
안 일어나는 경우
김밥[김:밥], 인사말[인사말], 머리말[머리말], 회수(回收)[회수]
⑤ 사잇소리 현상이 있고, 없음에 따라 뜻이 분화되기도 한다.

나뭇집[나무찝]:나무를 파는 집
참고
나무집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
⑥ 한자가 모여서 단어를 이룰 때에도 사잇소리 현상이 있다.
ex) 고간(庫間)(곳간) [고깐], 세방(貰房)(셋방) [세빵], 물가(物價) [물까]
⑦ '방법(方法), 고가(高架), 간단(簡單)' 등에서와 같이 한자어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일이 많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0.18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