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불교시재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머리말

2.불교시의 양상과 의미
1) 현실과 이상의 갈등과 사찰의 의미
2) 대덕론의 시적 전개
3)禪趣(선취)의 點䝼(점청)과 忘機(망기)의 法悅(법열)

본문내용

을 가지는데 시적 화자는 세속에 대한 정념에서 완전히 벋어난 도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④는 천리를 읊고 있는데, 기구와 승구는 봄의 정취와 가을의 풍광을 노래했고, 전구와 결구는 주제를 표출하고 있다.
“봄비가 오면 꽃잎은 떨어져 땅에 가득하고/ 가을이 깊으면 낙옆이 하늘에 흩날리는 것”은 당연한 자연의 이법이며 당연한 도이니 자연히 문자를 떠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주장은 불교의 불립문자 문자로서 교를 세울 수 없다는 뜻으로 선종의 입장임.
와 불이문법의 논리와 관련된다. 또 눈앞에 도가 있다는 주장은 ‘一卽多多卽一(일즉다다즉일)’, ‘一切無碍(일체무애) 전적으로 걸림이 없는 것, 절대적으로 자재무애 한 것.
’의 화엄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⑤에서는 번뇌와 욕심에 가려 세상을 있는 그대로 읽어낼 수 없음을 읽을 수 있다. 시적화자는 불성을 상징하는 달빛조차 무심하게 바라보다가 忘機(망기)의 경지에 들어 歸家(귀가)의 뜻을 잃어 버렸는데 자연과 합일을 이룬 이에게 삼라만상 우주속에 존재하는 온갖 사물과 모든 현상
이 다 내집이니 돌아가야 할 집도 없고 돌아가야 할 필요도 느끼지 않음이다. 최치원에게 망기는 해탈이요 열반이다. 망기는 絶對境(절대경) 영원의 세계
에 든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노래는 절대경에 든 이가 부른 自滿(자만)의 노래요 禪的(선적)法悅(법열)에 충만해서 부른 노래임을 알 수 있다.
⑥이 시에서 강은 마음이고 바람은 불성이며 마지막 남은 번뇌와 정념까지 떨쳐버린 각자의 마음상태와 같은 텅 빈 가을 산은 대자유인인 최치원의 정신적 경지가 아닐 수 없다.
위에서 살펴본 <지리산 시>는 자연시의 관점에서 보면 시적 화자가 완벽한 물아일체와 자연합일의 경지에 이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선취시의 측면에서 보면 선사상과 화엄사상이 문학적으로 절묘하게 변주됨 것임을 알 수 있다. ‘동국문종’이라는 평가에 걸맞게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가운데 각자의 깨침과 선적정서를 표출한 그의 선취시는 우리 문학사에서 선시의 맥락이 최치원에까지 소급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최치원은 <新羅壽昌郡護國城八角燈樓記(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를 쓴 52세 이후에는 행방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 시는 젊은 날의 그가 <제가야산독서당>에서 보인 불평적반항적 정서를 버리고 불교적 망기의 경지에 올라 선적법열에 충만한 삶을 살았음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많이 미흡하지만 최치원의 불교시 재론의 요약을 마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2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