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빈위어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빈위어문의 성질

2. 동빈위어문의 형식 특징

3. 동빈위어문의 어의 특징

4. 동빈위어문의 어용 특징

5. 동빈위어문의 하위 문형

본문내용

수 있다. 예: 坐机 → 坐在机上/在机上坐着; 睡小床 → 睡在小床上/在小床上睡.
(3) 어떤 처소빈어 뒤에는 직접 “上”을 덧붙일 수 있다. 예: 坐椅子 → 坐椅子上; 登 → 登上.
4. "주어 + 동사 + 빈어(工)“문
이 종류의 문장의 빈어는 동작의 공구를 나타내므로 공구빈어문이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면:
a. 我是抽烟斗.
b. 放牛娃在厓抽鞭子.
c. 毛, 我.
이 종류의 문장의 특징은, 빈어가 되는 명사는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 → 用; 毛 → 用毛.
5. “주어 + 동사 + 빈어()”문
이 종류의 문장의 빈어는 동작행위발생의 결과를 나타내므로 결과빈어문이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면:
a. 工人打了一口深井.
b. 小明友排成了一大圈.
c. 他了一篇論文.
이 종류의 문장의 특징은, 동사와 빈어 사이에 일반적으로 “成” 또는 “出”이 덧붙을 수 있다. 예: 打了一口深井 → 打成(出)了一口深井; 了一篇論文 → 成(出)了一篇論文.
6. “주어 +동사 + 빈어(目)”문
이 종류의 문장의 빈어는 동작행위의 목적을 나타내므로 목적빈어문이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면:
a. 月我一直在.
b. 多少先身科, 祖的繁做出了.
c. 大뇨分家, 二子뇨離婚, 的可愁死了.
이 종류의 문장의 특징은, 빈어가 동사앞에 “”를 사용할 수 있다. 예: → 而; 好 → 好而; 混文 → 文而混.
7. “주어 + 동사 + 빈어(因)”문
이 종류의 문장의 빈어는 동작행위의 원인을 나타내므로 원인빈어문이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면:
a. 工程指部的領非常心.
b. 布料水了.
c. 愁工作?
이 종류의 문장의 특징은, 빈어가 동사 앞에 “因”를 사용할 수 있다. 예: 心 → 因而心; 水 → 因水而.
원인빈어와 목적빈어는 매우 서로 닮았다. 그것들의 구별은, 원인빈어의 동작은 강제로 발생된 것이거나 (心 )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水) 목적빈어의 동작은 주동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身科, 뇨分家, )
(五) 빈어의 수량에 따른 하위구분
빈어의 수량에 따라 나누면, 동빈위어문은 단빈문(句)과 쌍빈문(句)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많은 수의 동빈위어문은 단빈문이고 아래에는 쌍빈문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해 보겠다. 쌍빈문은 “주어 +동사 + 빈어1 + 빈어2”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a. 送我一封信.
b. 小王借了五本.
c. 一江湖子了王大一百元.
이 종류의 문장 중 동사는 모두 두 개의 빈어를 취한다. 예 a중의 두 개의 빈어는 “我”와 “一封信”이고 ; 예 b중의 두 개의 빈어는 “”과 “五本”이고 ; 예 c의 두 개의 빈어는 “王大”와 “一百元”이다.
전통문법저작은 가까운 동사의 빈어를 “근빈어(近)” 또는 “간접빈어(接)”라고 부르고, 또 다른 하나의 빈어를 “원빈어()” 또는 “직접빈어(直接)라고 부른다. 만약 계층적으로 분석해보면 쌍빈문은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주어 + 동사 + 빈어1 + 빈어2
여기서 “빈어1”과 “빈어2”가 다른 계층에 놓여있음을 볼 수 있고 그 중 “빈어1”은 동사와 직접적인 관계를 구성하고, “빈어2”는 동사와 간접적인 관계를 구성한다. 계층관계에 착안해 보면 “빈어1”은 직접빈어로 “빈어2”는 간접빈어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전동문법과는 정반대이다. 어의상에서 봤을 때, 빈어1은 일반적으로 사람을 지시하고, 빈어2는 일반적으로 사물을 지시한다.
쌍빈어를 취하는 동사는 주로 교접동사(交接)이다. “빈어2”의 전이방향에 따라 교접동사를 3종류로 나눌 수 있고, 상응하게 교접동사가 구성하는 쌍빈문도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交”류 동사
“交” 류 동사의 동작의 방향은 외향이다. 주어에 착안해서 볼 때, “빈어2”부가 나타내는 사물은 주어 방향에서 주어와 상대되는 “빈어1”의 방향으로 전이된다. 따라서 “交”류 동사는 외향동사이다. 이런 종류의 동사의 특징으로는 모두 “予(급여)”의 지니고 거의 모두 “”를 취한다. 예를 들면: “送” “” “交” “寄” 등이다. “交”류 동사는 주로 : , 送, , 送, , , , , , 塞, 交, 退, , , , 交, , 寄, , , , , , , 付, , 咐, 拜, , 嫁, , 堆, 介, 授, , 授, 告, 告, 告, 通知, 回答, 答 등.
“交”류 동사로 구성되는 쌍빈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他了我一支.
b. 我送一名字.
c. 老向又告我一故事.
d. 母我多生知.
e. 我一件事.
f. 他上我一大果.
질문과 호칭을 나타내는 동사는 항상 쌍빈어를 취한다. “” “呼”는 “予”의 뜻은 은근히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도 “交”류의 동사로 볼 수 있다. 주로 다음의 것들이 있다. : , , 求, , 示, 考, , , 呼, , , 叫 (“呼”의 의미), 封, , (“呼”의 의미), (“) 등. 예를 들면:
a. 我一句.
b. 叔淑求一件事.
c. 人面呼他六, 背地里叫他老六.
d. 人家他草包.
2. "接“류 동사
“接”류 동사의 동작의 방향은 내향적이다. 주어에 착안에서 본다면, “빈어2”가 나타내는 사물은 “빈어1”의 방향에서 주어(接受者)의 방향으로 전이된다. 이 종류의 동사는 모두 “得到”의 의미를 포함하며, “收到” “接到” “拿到” 등과 같이 동사 뒤에 “到”를 취할 수 있다. “接”류의 동사는 주로 다음과 같다: 收, 受, 接, 接收, 接受, 得, , 要, , , , , , , , 取, , , , 占, 娶, , 欠, 拖欠, 短, 少, 花, , 浪 등. “接”류 동사는 쌍빈문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a. 他接到上三次.
b. 交通警了我二十元.
c. 家工欠我公司三万元.
d. 我花了家里不少.
3. "借“류 동사
흔히 보수 있는 것으로는; 借. 租, 捐, 分, 등. 이 종류 동사의 특징은, 독립되어 쓰일 때 다른 뜻을 가져서 구체적인 문장이 되다. 어떤 때에는 내향으로 또 어떤 때는 외향으로 된다. 내향을 나타낼 때, 뒤에 “到”를 취할 수 있다.; 외향을 나타낼 때 뒤에 “”을 취할 수 있다. 이리하여, 그것들은 “겸향동사(兼向)라고 불리어진다. ”借“류 동사는 쌍빈문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a. 他借()我一. (外向)
b. 他借(到)信用社一. (向)
  • 가격무료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