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재 작법무 유형과 형태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의식 구성과 작법무 유형
1. 작법무
2. 영산재 의식구성

Ⅲ. 영산재 작법무 쓰임 형태
1. 의식 진행과 작법무
2. 작법의 형태

IV. 결 논

<참고문헌>

본문내용

<法鼓舞>
오관게 짓소리후 법고무가 진행된다.
② 타주무<打主舞>
정수정건/반야바라밀다심경/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처무상도념/마하반야바라밀/약반식시 운운/삼덕육미 시불위승 법계인천
보동공양/공양/아차세발수 여천감로미 여아귀중 개령득포만 옴 마휴라세
사바하/처처간여호공 여련화 불착수 심청정 초어피게 수례 무상존/축원/
영출삼계/
위의 가사는 공양절차시 불리는 게송으로 위의 게송 시작 및 끝날 때 타주무가 이어진다.
③ 자귀의불작법<自歸依佛作法>
原文-自歸依佛 當願衆生 體解大道 發無上意. 自歸依法 當願衆生 深入經藏 智慧如海 自歸依僧 當願衆生 統理大衆 一切無碍
위의 가사는 공양후 불법 귀의에 대한 게송으로 나비무가 이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食堂作法에서 작법무는 공양게송시 법고무, 타주무, 나비무 자귀의불 이다.
9) 신중퇴공(神衆退供)
) 上揭書 下卷, pp.31-33.
(1) 의식 구성
신중퇴공은 10 단계로 1.다게 2.거목 3.상래가지 운운 4.보공양진언 5.보회향진언 6.원성취진언 7.보궐진언 8.정근 9. 탄백 10.축원.이다.
(2) 작법무 유형
작법무 진행 곡목이 없다.
신중퇴공에서는 작법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10) 관음시식 (觀音施食)
) 上揭書, 下卷, pp.70-78.
(1) 의식 구성
관음시식은 1.거불(擧佛) 2.착어<靈源湛寂 云云> 3.진령게(振鈴偈) 4.착어<慈光照處 云云/신묘장구대다라니/第一偈 /파지옥진언/해원결진언/보소청진언/나무상주시방불.법.승.나무대자대비관세음보살.나무대방광불화엄경 5.증명청(삼청) 6.향화청(香花請) 7.가영(歌詠) 8.헌좌진언(獻座眞言) 9.다게(茶偈) 10.고혼청(孤魂請) 11.향연청(香煙請) 12.가영(歌詠) 13.착어<上來承佛 攝受 云云> 14.수위안좌진언(受位安座眞言) 15.다게(茶偈) 16.선밀가지 운운/변식진언.시감로수진언.일자수륜관진언.유해진언/칭량성호(오여래)/원차가지 운운/시귀식진언/보공양진언/보회향진언/수아차법식 운운/여래십호 운운/원아진생 운운/ 장엄염불 17.공덕게(功德偈)
(2) 작법무 유형
작법무 진행 곡목이 없다.
관음시식에서는 작법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11) 봉송 및 소대의식(奉送및 燒臺儀式)
(1) 의식 구성
봉송 및 소대 의식 진행은 1.봉송편(諸佛者 旣受香供 云云)/寶禮三寶/行步偈/散花落/法性偈/2.소대편(今此門外 奉送齋者 云云)祝願/上來施食諷經 云云/燒錢眞言/奉送眞言/上品上生眞言/處世間如虛空 云云/普回向眞言/罷散偈/回向擧佛
(2) 작법무 유형
작법무 진행 곡목이 없다.
奉送및 燒臺儀式에서는 작법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2. 작법의 형태
영산재는 범패, 작법무, 반주 음악, 장엄, 으로 구성되며, 의식 승은 秉法, 魚山, 梵音, 범패승등 20人으로 구성되어 齋가 진행된다. 이 中 작법무는 전문적으로 범패를 배운 의식승에의해 이루어지며 3일 영산재 진행에 있어서 작법무는 범패 및 반주 음악과 더불어 의식에 있어서 범패 못지 않게 齋진행 구성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V. 결 논
영산재에 있어서 작법무는 儀式을 보다 장엄하게 하는 한편 舞를 통해 신앙심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전통 무용과는 달리 儀式舞는 불법 찬탄에 대한 공양 의식이다. 즉 깨달음을 위한 수행 형태의 舞踊의식으로 불법의 진리를 깨달아 三業을 여의고 깨달음을 증득하는 것이므로, 작법무는 무용적 차원을 넘어 信仰心이 先行되어야 한다.
이에 불교 의식 영산재 작법무 쓰임에 대해 本 考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영산재의 구성은 11단계의 절차로 진행되며 이 中 작법무가 사용되는 의식은 侍輦, 灌浴, 神衆作法, 造錢點眼, 掛佛移運, 上壇勸供, 食堂作法에서이며 그 외 對靈, 神衆退供, 施食, 奉送의식에서는 작법무 진행이 보이지 않았다.
2. 영산재 의식 진행에 작법무는 四種으로 바라무, 나비무, 법고무,타주무 구성으로 진행되었다.
3 .바라무는 侍輦時,(擁護偈후 요잡바라, 起經작법후 요잡바라) 灌浴時,(灌浴偈바라, 化衣財眞言바라) 神衆作法時,(擁護偈후 요잡바라 및 명바라) 造錢點眼時,(경함이운 擁護偈후 요잡바라) 掛佛移運時, (擁護偈후 요잡바라,) 上壇勸供時, (香花請/散花落후 내림게바라, 千手바라, 四陀羅尼바라,) 食堂作法時(自歸依佛作法후 요잡바라)이며 모든 나비무가 끝나면 반듯이 요잡바라무가 진행되었다.
4 .나비무는 侍輦時,(사방요신作法, 茶偈作法, 起經作法) 掛佛移運時,(茶偈作法) 上壇勸供時,(三歸依作法, 道場偈作法, 茶偈作法, 香花偈作法, 三南太作法, 唱魂후 地獄苦作法, 久遠劫中作法, 欲建而/淨法界眞言후 옴남作法, 運心偈作法) 食堂作法時時,(自歸依佛作法)이다.
5 .법고무는 侍輦時,(起經作法후 법고무) 上壇勸供時,(道場偈 作法후 법고무)食堂作法時時,(五觀偈후 법고무) 이다.
6. 타주무는 식당작법시 공양게송 사이에서 타주무가 진행 되었다.
7. 이 中 1일 영산재 진행시 그 곡목을 무용대신 짯은 게송으로 줄여서 진행하는 작법무로 바라무는 神衆作法時(명바라)이며, 나비무는 侍輦時(起經作法) 上壇勸供時(三南太作法, 久遠劫中作法, 運心偈作法)이고 그 외 (三歸依作法, 香花偈作法 )는 작법무 진행시 가사를 줄여서 진행하며, 타주무는 식당작법 진행시만 진행되고 법고무는 별 차이가 없다.
현재 영산재는 3일 영산재 형식에서 1일 영산재로 진행되고 있다. 齋의 구성 면에 있어서 三日靈山齋와 一日靈山齋 構成的 차이는 없지만 齋의식 진행에 있어서 범패와 작법무가 축소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작법무및 범패가 1일 영산재 진행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의 결론에 의해 현재 영산재 구성 진행 의식에서 작법무는 3일 영산재 의식에서만 전체의 작법무가 가능하며 1일 영산재에서는 이러한 작법무 곡목이 줄여서 진행 될 수밖에 없는 사실을 本 연구에서 알 수 있었다.
이에 불교 범패 및 무용 전승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安震湖『釋門儀範』서울ː法輪社, 1983.
『儀禮要集』奉元寺編, 奉元寺所藏.
金應起(法顯)『영산재 연구』 서울:운주사,1997.
金應起(法顯) '작법무 연구' 동국대 『불교대학원논총』제 5집,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