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전도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심박수(Heart rate:HR)-RR interval

2.P-wave

3.QRS-complex:심실저분극

4.T-wave의 해석과 발생이유

5.PR interval

6.QT interval

7.ST segment:ST elevation 또는 ST depression의 임상적 의미

8.평균전기축(mean electrical axis)

본문내용

정점을 R, L, F로 하고 각 변의 중점 을 0으로 하면 Ⅰ, Ⅱ, Ⅲ 유도의 파형은 LR, FR, FL 변위의 크기와 방향(+, -)으 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합성에 의해 심기전력 E를 얻을 수 있다. 이 E를 변 R∼ R′, L∼L′, F∼F′ 위에 투영하면 각각 aVR, aVL, aVF의 화살표가 구해진다. 이들 화살표의 길이는 각각 파형의 대략적인 크기를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의 방향은 심 전도 파형의 부호를 나타낸다.
  즉, aVR의 화살표는 R에서 볼 때 중심 0으로부터 R′(-)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이기 때문에 aVR의 파형은 음성을 나타낸다. 또한 aVL의 파형은 L쪽(+)으로 향하기 때 문에 양성을 나타내며, aVF도 F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양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파형의 크기는 화살표 길이에 비례한다.
­전기축(axis)의 임상적 의의
  평균 QRS vector 방향 = QRS축
  심장에서 근육섬유 수축을 자극하는 탈분극이 심실축을 퍼져나갈 때의 전기적 자극의 평균적인 방향
  평균 QRS vector는 아래쪽으로 환자의 왼쪽으로 향하며, 정상 QRS축 범위는 0˚ ~ +90˚ 이다
  심장 전기축의 임상적 가치 ⅰ) 심장의 위치
   ⅱ) 심장의 비대
  ⅲ) 심근경색에 대한 정보 제공
  평균 QRS vector는 심실의 비대쪽으로, 심근경색에서는 반대쪽으로 향하려는 경향 이 있다.
­평균 전기축을 구하는 방법(Axis determination)
­표준 사지유도를 이용하는 방법
   Ⅰ유도와 Ⅱ유도를 이용, R과 S의 대수의 합을 측정
    → Ⅰ유도의 R과 S의 대수합이 0 … Ⅲ유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기축은 +90˚
        Ⅲ유도가 R과 S의 대수합이 0 … Ⅰ유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기축은 +30˚ ­Ⅰ유도와 aVF유도를 이용하는 방법(Quadrant system)
     Ⅰ유도 상향, aVF유도(Ⅲ유도) 상향 : 정상 전기축
     Ⅰ유도 상향, aVF유도(Ⅲ유도) 하향 : 좌축편위
     Ⅰ유도 하향, aVF유도(Ⅲ유도) 상향 : 우축편위
     Ⅰ유도 하향, aVF유도(Ⅲ유도) 하향 : 심한 좌ㆍ우축편위
­가장 전위가 높은 QRS파를 이용한 축 계산법
     제 Ⅱ유도에서 QRS 높이가 가장 높고 양성
     ⇒ 평균 QRS vector는 제 Ⅱ유도 방향이며 축은 60˚
     제 Ⅲ유도에서 QRS파의 높이가 제일 높고 전위는 양성
     ⇒ 평균 QRS vector는 제 Ⅲ유도 방향에 있고 축은 120˚
­가장 전위가 깊은 QRS파를 이용한 축 계산법
     가장 깊은 QRS파가 보이는 전극의 반대쪽에 QRS축이 존재
     if, 제 Ⅲ유도에서 QRS 높이가 제일 깊고 전위방향은 음성
     → 평균 QRS vector는 제 Ⅲ유도의 반대쪽 ⇒ 축은 -60˚
­상하 진폭이 비슷한 QRS파를 이용한 축 계산법
      QRS 양성파와 음성파의 편차가 비슷한 유도의 직각방향에 QRS축이 있다.
­축편위(Axis deviation)
­정상 전기축(Normal axis, no axis deviation : NAD) : 0˚ ~ +90˚(성인)
   ­좌축편위(Left axis deviation : LAD) : 0˚ ~ -90˚
   ­우축편위(Right axis deviation : RAD) : -90˚ ~ +180˚
   ­극단적인 좌축 or 우축편위(No man’s land) : -90˚ ~ -180˚
    좌축편위는 LVH, LBBB, 호흡의 expiration(횡격막이 상방으로 올라간 경우) 등에서, 우축편위는 RVH, RBBB, 우심증(dextrocardia) 등에서 흔하다.

키워드

심전도,   qrs,   ecg,   ekg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12.0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5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