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경의 『길 위의 집』에 대한 페미니즘적 읽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혜경의 『길 위의 집』에 대한 페미니즘적 읽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족’ 문제와 페미니즘

2. ‘아들’들에게 대물림된 ‘아버지’의 이데올로기

3. ‘나’의 자리 찾기

4. 가부장적 상상력에 대한 ‘그녀들’의 대응 방식

5. ‘견고한 집’에서 ‘간이역’으로―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준 것처럼 또 다른 권력의 중심이 되기를 원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그들은 자신을 고의적으로 변경에 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그들은 주변의 삶 또는 경계의 삶에 의미를 두고 가치를 찾으려 한다.
5. '견고한 집'에서 '간이역'으로 결론을 대신하여
윤씨의 실종으로 모든 식구가 한 자리에 모인다. 하지만 형제들은 그 사건을 계기로 자신들의 삶의 방식을 포기하려 하지는 않는다. 어머니를 찾으러 나가서 하루 종일 연락이 없는 윤기의 행방을 확인한 "길중 씨의 목소리에 실린 반가움"을 본 효기는, 여전히 제멋대로인 윤기를 여전히 아끼고 있는 길중 씨의 모습을 또 한번 확인한다. 또 몇 달 전 혈전으로 느닷없이 쓰러졌다가 빠른 속도로 원기를 회복한 길중 씨의 "연민을 수용하기엔 너무 단단한 몸"을 보고 아버지에 대한 연민을 삭인다. 윤기는 새벽에 술에 취해 들어와 횡포를 부리고 은용은 전에 없이 단호한 태도로 오빠를 제지한다. 어머니를 찾으러 차를 몰고 나선 정기는 신호가 바뀌는 것도 모르고 멍청히 앉아 있다가 뒤에서 울려대는 경적 소리를 듣고 나서야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며 한 손을 들어" 보인다. "그 와중에도 손이 올라가"게 하는 것과 같은 삶의 습관은 그들을 쉽게 가족의 터전으로 되돌려 보내지 않을 것만 같다. 이들 가족에게 가족의 신성함은 말 그대로 신화 속에나 등장하는 신성함이다. 사실 이들에게 가족은 처음부터 환상에 불과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한천의 새 집이 완성되고 처음으로 집들이를 하던 날 극에 달했던 길중 씨의 자부심은 그 환상의 일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집은 어느덧 길 위에 놓이게 되고, 앞뒤의 건물과 길을 구분 짓는 것처럼 보이는 '경계의 집'이 된다. 장마가 지날 때마다 장판을 뜯어 말리고 바닥에 니스칠을 해야만 하는 집, 쥐들이 천장을 갉아먹고 구석마다 곰팡이가 피어나는 집이 지금의 집이다. 이 집은 이제 누구도 관심 기울이지 않는 간이역의 모습을 닮아간다. '길 위의 집'은 견고하게 울타리가 둘러진 집도 아니고, 아무도 살지 않는 폐허의 집도 아니다. 길중 씨가 세운 견고한 집은 "완행열차를 타"는 누군가가 발견하고 도중에 내려 들르기도 하는 간이역 같은 집으로 변해간다. 이러한 의미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은 셋째 아들 정기를 통해서이다. 자기 몸 하나 건사하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느라 몸 아픈 줄도 모르던 정기는 집으로 내려갈까 고민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여전히 효기와 윤기는 그들이 세운 집의 주인으로 당분간 살아갈 것이며, 인기 역시 그가 찾은 대안 가족 안에서 다시 자신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할 것이다. 그리고 이틀 만에 되찾은 윤씨와 은용 두 모녀는 그들이 조금씩 고통스럽게 변화시켜 간 집으로 돌아가 다시금 '말뚝'을 박을 것이다. 이 작품에서 간이역 또는 길 위의 집으로 재현되는 또 다른 삶의 가능성은, 처음에는 그 자체로 가부장적 가족 이데올로기의 상징과 같았던 집의 의미가 변화하면서 드러난 것이다. 『길 위의 집』이 모색하는 삶은 전혀 새롭게 탄생한 것이 아니다. 그 모습은 '가족'이라는 단단한 기반 위에서 갈등과 불협화음과 탐구를 통해 서서히 균열하며 드러나고 있다.
참고문헌
권명아, 『가족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책세상, 2000.
, 『맞장뜨는 여자들』, 소명출판, 2001.
최혜실,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생각의 나무, 2000.
레이먼 셸든, 李英玉 옮김, 「페미니즘비평서설」, 이선영, 『文學批評의 方法과 實際』, 三知院, 1993.
피터 베리, 한만수 외 옮김, 『현대 문학이론 입문』, 시유시, 2001.
Toril Moi, 임옥희·이명호·정경심 공역,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한신문화사, 199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