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모리슨(Toni Morrison)의 빌러비드(Beloved) 상세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니모리슨(Toni Morrison)의 빌러비드(Beloved) 상세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Toni Morrison(1931~ )에 대하여

2. 작품 Beloved의 줄거리 및 주제

3. 작품 Beloved의 작품해설

4. Beloved의 정체성
1) Sethe의 죽은 딸의 화신으로 보는 입장ㅡ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
2) 유령이 아닌 실제 생존자ㅡ Stamp Paid
3) 육체적 실체의 문제에서 벗어난 추상적인 정체성ㅡ Deborah Horvitz

5. 인물별 상징 및 자아추구의 양상
1) Mothers: 공동체 문화의 전수자 ㅡ Baby Suggs, Nan
2) Sethe와 Paul D: 해체와 극복의 수난자 ․ 재기억을 통한 자아의 회복
3) Beloved와 Denver: 연대를 위한 중보자 ․ 미래의 가능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아가 흑인 역사로부터 멀어지고, 어머니나 흑인 공동체와 적절한 관계를 갖지 못한 Denver는 심리적 상실감에 시달린다. 이처럼 어머니의 과거로부터 배제되었기에 Denver는 어머니와 제대로 된 관계를 맺지 못한다. 어머니와의 관계는 자식의 자아형성을 위한 기초가 된다. 그러나 어머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Denver는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대신 자신이 태어날 때의 이야기에 집착한다. Denver가 다른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이 태어날 때의 이야기에만 관심을 갖는 것은 그녀가 자아를 제대로 확립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녀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으로 성장할 통로가 차단되어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듯 하다.
Denver 역시 과거를 피할 수 없다. Denver가 과거를 대면하는 것은 Beloved로 인해서이다. Denver에게 있어 Beloved는 124번지에서의 소외와 아버지의 부재를 대신해 주고, 자신의 소유로서 사랑할 수 있는 인물로 나타나는데, Beloved의 출현은 Denver 역시 과거를 직면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한다. Denver는 Beloved가 자신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녀에 대해 애착을 느끼며 지내게 되지만, 육화된 Beloved가 자신의 마지막 혈육인 어머니를 죽음에까지 몰아넣으려고 하자 어머니를 보호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마을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하는 Denver는 처음에 굶주림에 시달리는 어머니를 위해 음식으로 도움을 받으며 어머니를 구하기 시작한다. Denver는 할머니의 목소리를 따라 밖으로 나오면서 Lady Jones를 만나 도움을 받고 공동체에 속한 한 개인으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깨닫기 시작한다.
과거의 화신인 Beloved가 어머니에게서 끌어내는 이야기들로 인해 Denver는 어머니와 외할머니에 대해 알지 못했던 부분을 알게 되고, 그녀로 하여금 또 다른 세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노예였던 외할머니는 농장 일만 해야 했고 어머니에게 제대로 된 사랑을 줄 수 없었다는 것, 외할머니가 노예선에서 어머니 외에 다른 자식들을 바다에 버린 것, 외할머니의 몸에 찍힌 낙인과 같은 이야기들은 Denver에게 과거, 선조들의 세계를 새로이 각인시킨다. 이는 Denver가 어머니의 자식살해를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인식을 넓혀 줄 뿐만 아니라, Sethe와 Sethe의 어머니가 자식을 죽인 것은 Sethe의 자식살해가 개인의 극악한 행위가 아니라 노예제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져야 함을 보여주며 도덕적 판단을 유보하게 한다.
Denver는 이제 그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로 말해야 함을 느끼는데, 개인의 자아 발전에 중요한 것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기”다. “인물과 사건에 대해 말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타인의 감정을 경험하게 되고, 도덕적 주체가 된다. 이야기하고 듣는 과정에서 관점을 변화시키게 되고 이 변화로 인해 자아와 타자에 대한 의식이 발달하게 된다.” Lynne Tirrell, “Storytelling and Moral Agency,” Toni Morrison's Fiction, ed. David L. Middleton (New York: Garland, 1997), p.11.
이제 Sethe의 이야기는 흑인 여성인 딸 Denver의 이야기로 이어지며 나아가 공동체의 이야기로 발전해 간다. 마을 여인들은 이러한 Sethe의 이야기에 응답하게 되는데, 이는 Sethe의 숨겨졌던 과거의 이야기가 바로 자신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Denver가 124번지의 상황을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사람은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 것은 이전에 할머니 Baby Suggs와 나누었던 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But you said there was no defense.
“There ain't.”
“Then what do I do?”
“Know it, and go on out the yard. Go on.”
이 글에서 “It”는 역사적인 앎이고 “Yard”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이렇게 해서 Denver는 12년만에 처음으로 공동체 속으로 두려움을 안고 걸어 나오게 된 것이다. Lady Jones에게 일자리를 구해달라고 요청하며 생계를 위한 도움의 손길을 내민 Denver의 시도는 124번지와 이웃 공동체 사이의 화해의 시작이 된다. 즉, 그녀는 그 동안 공동체로부터 이탈되어 고립되어진 124번지를 이웃 공동체와 화합시킬 뿐만 아니라, 이웃 공동체로 하여금 상실되었던 그들의 진정한 역할을 되살리게 하는 촉매자가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도는 현재와 미래에 대해 어떠한 기대와 전망도 없이 살아가는 어머니와 자신에게 소중한 자아의식을 되찾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들은 그 동안 왜곡되거나 잊혀졌던 과거의 아픈 기억을 제대로 인식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진정한 존재를 깨달음으로써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를 얻게 된 것이다.
한편, 흑인공동체가 Sethe를 구하고 그녀와 화해하게 되는 것은, 공동체의 입장에서는 미국으로 강제로 끌려온 후 사회구성의 기초단위인 가족마저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해체되고 짓밟혔던 흑인 공동체의 힘과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개인과 집단의 관계는 일방적이거나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개인과 공동체의 생존은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 흑인의 정체성 확립은 그가 속한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Toni Morrison의 Beloved 연구ㅡ 역사의 회복과 정체성 확립의 문제를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대학원, 김혜경, 2002
- Toni Morrison의 Beloved에 나타난 자아추구의 양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신기숙, 2001
- Toni Morrison 소설의 다성성,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성이, 2002
- Toni Morrison의 Beloved 연구: 공동체를 통한 정체성 추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명숙, 2001
- 영미문학의 길잡이 2, 미국문학과 비평이론, 창작과 비평사, 2001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4.20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