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왕생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왕생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① 원문과 풀이
② 원왕생가의 해설
③ 원왕생가의 배경설화
4 원왕생가의 작가문제
⑤ 작품의 구조분석
1) 향가와『원왕생가』의 특성분석
2) 『원왕생가』의 인물분석
3) ‘원왕생’의 의미 분석

3. 결론

본문내용

과 화엄사상의 종합된 화엄정토사상임을 알 수 있다.
이에서 '원왕생원왕생'의 기원은 사후의 정토로의 왕생 뿐만 아니라 현세의 세간에서 정토가 이루어질 것을 기원하는 마음의 표현이라고 확대 해석할 수 있게 된다.
S1, S2에서 보이는 정관의 세계와 S3에서 보이는 원왕생원왕생하고 기원하는 두 모습은 결국 행위의 선후를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승의 경지에서 돈오와 점수가 합치된 마음의 통일성을 二門으로 병렬하여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S4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무량한 전체 중생을 빠짐없이 정토에 왕생하게 하여 구원하고자 한다고 할 떠 나를 남겨 두고는 그 본원을 성취할 수 없으니 당연히 나를 왕생케 할 것이다는 신념이 수사적 의문법으로 말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물음의 의미를 이러한 표면적 해석에 머물게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향가의 앞 부분에서 이미 광덕의 왕생은 아미타불의 힘에 의존하여 타력적인 구원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보다는 그리고 그 왕생이 사후의 극락에 들게 됨을 의미하기 보다는 현재의 삶의 공간에서 완성될 존재에의 염원임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아!'의 영탄에는 두 가지 정조가 함께 하고 있다. 기원의 마음에 내포되어 있는 현재에 대한 탄식 즉 왕생을 이루지 못한 자기 한계에 대한 한탄과 달빛의 편재성에 대한 종교적 인식에서 오는 정토 세계는 언제나 그를 둘러싸고 있음에 대한 신념이 주는 和平의 정조가 그것이다.
'아아'의 영탄은 태초의 자아의 한계성에 대한 비극적 탄식을 넘어서 존재 완성의 미래를 현재화하여 체험하는 내적 희열이 터져 나온 외침인 것이다. 道의 완성을 예감하는 기쁨의 외침인 것이다.
달이 동에서 떠서 서로 가는 운행이 우주의 필연의 섭리이듯이 예토의 시적 자아가 지성의 염원으로 왕생을 노래할 때 정토에 드는 일 또한 필연인 것이다. 종교적 정각에 대한 이와 같은 절대적 신앙은 시적 자아의 생의 구조 역시 달의 운행 원리와 하나임을 자각하고 있는 것이다.
원왕생가는 시심과 신앙심의 융합을 통해 삶을 바로 보되 인간과 초월적 세계를 매듭으로 엮고 다시 자연을 엮어 총체적인 세계관을 건설함으로써 우리를 감동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원왕생가의 작자고
이 노래의 분위기를 보자. 이 노래의 분위기는 한말로 애틋하다는 것이다. 구구절절이 애의 정이 넘쳐흐르고, 끝없는 미련과 여한이 담뿍 담겨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어찌 보면 저 백제의 정읍사와 비슷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이것은 이 두 개의 노래에 등장하는 '달'의 이미지의 공통성 때문인지도 모른다.
'달'은 애상적이고 여성적이다. '달'을 소재로 한 노래는 대게 애처롭다
'달'의 속성이 그런 까닭인지도 모른다. '달'은 한 없이 외롭고 심연과 같은 것을 안고 있다. 그러기에 '눈물'의 대상으로 표현되고, 회한과 정한의 대상으로 노래 불려지기도 한다.
원왕생가는 다하지 못한 회한이 서려 있고, 끝없는 아쉬움과 동경이 서려 있다.
이것은 '달'을 매개로 한 표현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런 분위기로 미루어 이 노래는 남성의 노래라기보다는 차라리 여성의 노래라고 함이 더 타당하다.
<향가의 도의 시학적 해석>에서의 달은 인간의 기원을 듣는 신격의 사자인데 반하여 <원왕생가의 작자고>의 논문에서의 달은 달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향가를 해석하였다. 원왕생가에 나오는 달을 어느 시에서나 달이 보여주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단지 애틋함이나 애상적인 분위기를 나타내어주는 것으로 보기보다는 <향가의 도의 시학적 해석>에서와 같이 달을 인간과 초월적 세계의 매개체로 보는 것이 우리에게 더 큰 감동을 준다.
3.결 론
이상으로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석, 구체적인 해설과 그와 관련된 여러 쟁점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삼국유사의 감통편에 실려 있는 <원왕생가>는 민중의 아미타 신앙을 기원하는 노래이다. 달에 의탁한 화자의 기도체 화법은 절실한 민중의 기원을 그리고 있다. 광덕이 서쪽 세계를 향하여 가고 난 후 엄장이 觀을 닦아 극락으로 갈 수 있었던 이유는 광덕처에게 있었다. '광덕의 처는 즉 분황사의 종이니 대개 십구응신의 하나다.'라고 한 것은 삼십삼신 십구설법 중 이 十九를 취한 것으로 관음의 應化를 말한 것이다.
이와 같이 <원왕생가>는 정토 신앙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다.「무량수경」에 의하면 이 정토교는 법장비구가 고통 받는 민중을 구원하려는 서원을 세워 무수한 수행 끝에 마침내 무량수불(=아미타불)이라는 부처님이 되어 안락국(=극락세계)이라는 이상적인 국토를 건설하였는데, 집 떠나 수도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배움 없고 힘없는 사람들도 그 정토를 희구하면 모두 다 그 나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내용의 가르침이다. 따라서 정토교의 구원관은 인간의 평등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신라사회를 지배해온 귀족불교를 뿌리째 뒤흔들어 놓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원왕생가>는 당대 현실 속에서 기원했던 민중의 기원요로 해석될 수 있다.
*참고서적
박노준, 「신라 가요의 연구」, 설화당, 1982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임기중 외 「새로 읽는 향가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장진호, 「신라 향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4
최 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 출판부, 1990
공석하. {우리 고전侍감상}. 뿌리, 1994
나정순. {한국 고전시가 문학의 분석과 탐색}. 역락, 2000
이장희. {한국의 고전시가 해석과 감상}. 글벗사 1995
임형택·고미숙. {한국 고전시가전}. 창작과 비평사, 1997.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보광문화사, 2001
김승찬, 『신라향가론』, 부산대학교출판부, 1999
최 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93
김완진『향가해독법연구』 1980.
『한국문학개론』, 삼지원,.
브리태니카 백과사전 출전{삼국유사} 권5, '광덕 엄장조(廣德嚴莊條)' 원왕생가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출전{삼국유사} 권5, '광덕 엄장조(廣德嚴莊條)'부분 발췌,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6.2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