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화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다도

2.꽃꽃이

3.기모노
가. 기모노의 미학
나. 기모노의 역사
다. 후리소데

4, 일식

5. 일본의 전통스포츠
가. 스모
나. 유도

6. 오쇼가쯔(お正月)

7. 마쯔리
가. 마쯔리의 상업적 기능
나. 마쯔리의 사회적 기능

8. 가부키와 노오

9. 정원

참고자료

본문내용

색다른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무용극이 1~2개 삽입되며 연기자들이 총출연하는 활기찬 무용 오기리쇼사고토[大切所作事]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가부키의 무대장치로서 세계 연극계의 유래 없는 독특한 무대장치이다. 하나미치의 역할은 「길」이 되기도 하고 「긴 복도」가 되기도 하며 그리고 때론 「바다」나 「강」이 되기도 하는 어떻게 라도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인기배우와 관객이 혼연일체가 되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나미치 안쪽자리는 배우를 아주 가깝게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노오에도 하나미치와 닮은 무대장치가 있지만 하나미치와는 비할 수 없다.하나미치」이름의 유래는 배우에게 축의를 보내는 길이라는 의미 또는 배우가 화려하게 꽃을 장식해서 들어오는 길을 일컫는 등 여러 설이 있다. 보통「하나미치」는 무대 위쪽에서 객석을 통해서 무대 뒤까지 만든다. 이것을 「양하나미치」하고 부르고, 이 경우 본래의 상설하나미치를 「본하나미치」임시가설 하나미치를「가하나미치」라 한다. 양하나미치를 사용하는 연극으로 유명한 작품에는「이모세야마온나테이킨」과「신빤자키무라」등이 있다.
7. 정원
일본의 정원은 중국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은 면이 있지만 중국 정원과는 달리 정원의 모든 구성요소, 즉 바위의 배치, 그림자의 형태, 식물 상호간의 조화 등 세밀한 여러 부분에 상징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일본 정원의 4대 양식으로는 고산수식(古山水式) 정원, 선정식(禪庭式) 수경정원, 문인조(文人造) 정원, 다정식(茶庭式) 정원을 들 수 있다. 고산수 정원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류안지[龍安寺] 정원은 고요한 명상의 장소이자 추상적 축소의 정수이다. 일본 정원에는 교목과 관목뿐 아니라 바위, 모래, 인공 언덕, 연못, 유수 등이 예술적으로 사용된다.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서양식의 정원과는 달리 일본정원은 전통적으로 가능한한 인공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자연에 가까운 경관을 조성하였다. 경관조성을 위해 정원 조경사들은 3가지의 기본 원칙을 따르는데 그 원칙이란 바로 규모의 축소, 상징화, '경치의 차용' 등이다. 첫번째 원칙은 산과 강의 자연적 경관을 축소하여 만듦으로서 제한된 공간에 모두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시 안에 산간마을의 경관을 창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징화'는 예를 들자면 흰모래가 바다를 상징하는데 쓰이는 것과 같은 추상성을 뜻한다. 조경사들은 정원 뒤 또는 주위의 배경경관을 이용하여 그 '경치를 차용' 하는데 이는 경관조성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일본정원의 기본골격은 바위와 그 바위가 모여있는 방식에 따라 출발한다. 고대 일본인들은 바위로 둘러싸인 곳에 신이 살고있다고 믿었으며 이 곳을 '아마츠 이와사케'(천국으로가는 관문), 또는 '아마츠 이와쿠라'(천국의 자리)라고 불렀다. 마찬가지로 울창한 나무숲은 '히모로기'(신의 울타리) 라고 불렸는데 신성한 장소를 둘러싸고 있다고 믿어지는 해자(垓字)와 도랑은 '미즈가키'(水垣-神社의 울타리)라고 불렸다. 일본의 정원은 일반적으로 2개의 종류로 나뉘는데 언덕과 연못으로 구성된 '츠키야마'(언덕 정원)와 언덕과 연못이 없는 '히라니와'(평지정원)가 그것이다.저택의 정원에는 언덕형식 정원이 사용되었으며, 제한된 공간에서는 평지정원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평지정원은 다도의식과 '차시츠'(茶室-다도방)가 전래되면서 더욱 인기를 끌게되었다
.참고문헌:
http://www.dgedu.net/edu/2004/127/sub4/index3.html
http://myhome.naver.com/blue752/frameset1_3.html
http://www.joy-cook.ce.ro/
http://myhome.naver.com/blue752/frameset1.html
김문길,『일본문화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9.
김미란, 『일본문화』, 형설출판사 1999.
윤국병, 『조경사』, 일조각 1999.
윤상인外,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나무와 숲
김종문, 『일본의 문화와 종교정책』, 신원문화사, 1997
김재엽, 『일본의 문화와 예술(뉴밀레니엄의 테마 21)』, 한누리미디어 2000
박전열 이영 공저, 『일본전통문화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최관, 『일본문화의 이해』, 학문사, 2000
김흥국, 『일본인과 일본문화의 이해』, 보고사 , 2001
박화진 김병두, 『일본문화 속으로』, 일본어 뱅크, 2002
최한형, 『돌 하나에도 생명이 있다.』, 시공문화사, 199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7.17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