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핑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본문내용

, 히스타민 같은 화학물질이 분비되어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며 통증 수용기를 자극하고 부종을 유발한다 하였다. Ebbeling 과 Clarkson(1989)는 지연성근육통으로 인하여 근력과 관절가동범위의 감소를 유발하여 운동수행을 떨어뜨리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지연성 근육통 증상의 완화는 테이핑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에 의해 대조군과의 차이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은 테이핑의 효과에 있어서 근력의 향상과 가동범위의 증진 을 통하여 그 차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조군과의 근력을 측정하였는데 집단 간의 근력 변화량은 유발 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연성 근육통이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정 시 팔굽관절의 위치, 최대 팔굽관절 굴곡각도, 최대 팔굽관절 신전각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량은 유발 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모두에서 통계상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가 적었고, 측정 시 실내온도나 습도 등 환경요건을 적절하게 해주지 못한 것과 지연성근육통 발생 후 실험대상자들의 일상생활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한 이유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집단 간 통증의 변화량은 유발 전, 24시간 후, 48시간 후에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72시간 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연성 근육통에 테이핑을 적용한 지연발생근육통에 대한 테이핑 사례연구(박래준 등, 2003)에서도 하지근육의 지연발생근육통을 호소한 환자에게 테이핑을 적용한 결과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팔굽관절 굽힘근에 적용한 원심성 운동으로 발생된 지연성 근육통에 테이핑의 적용 시 근력과 관절가동범위의 증진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나, 지연성 근육통으로 인한 통증의 조절에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Ⅴ. 결론
이 실험은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비우세손의 위팔 두 갈래 근에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시킨 후 테이핑의 적용이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근력의 변화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테이핑 기법은 지연성 근육통 발생시 관절가동범위와 근력에는 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정도에 있어서 유발 전, 24시간 후, 48시간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72시간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테이핑 기법은 지연성 근육통 발생시 통증에 효과가 있었다.
인용문헌
강영주, 양재성, 이영미 et al, 외이자극에 대한 경피신경전기자극기와 He-Ne Laser가 지연성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회지. 2004; 8
김건수, 노정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골프선수의 비거리 향상을 위한 근육 발현 능력에 미치는 조사 연구. 경기대학교 체육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15-60.
김원호, 김종만, 박장성, et al, 유지-이완기법과 냉치료가 지연성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 7(1): 22-31.
김철용, Frozen shoulder 증상과 taping 치료방법 및 효과. 울산과학대학 연구논문집. 2001; 28(1): 313-323.
박래준, 이문환, 지연발생근육통에 대한 테이핑 사례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3; 15(1): 125-133.
서연순, 윤나미, 운동성 테이핑이 정상인의 요부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 13(3): 579-584.
서재명, 조성봉, 밸런스 테이핑 처치가 장시간 운동시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99; 12: 891-898.
Cara B, Ebbeling and Priscilla M. Clarkson,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adaptation. Sport Medicine. 1989; 7: 222-225.
Jason A. Craig, DPhil at al,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Lack of Effect of therapeutic ultrasound in human. Arch Phy Med Rehabil. 1999; 80: 318-323.
J. B. Rodenburg, Warm-up, stretching and massage diminish harmful effect of eccentric exercise. J Sport Med. 1994; 15: 414-419.
Kay M crossley, Efficacy of knee tape in the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blinde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3; 327(7407): 135.
Lucille L. Smith, Acute inflammation: the underlying mechanism i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Med Sci Sorts Exerc. 1991; 23(5): 542-551.
Michelle A. cleary, Temporal pattern of the bout effect of eccentric exercise od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J Athl Train. 2002; 37(1): 3236
R. B. Armstrong, Mechanisms of erercise-induced delayed onset muscular soreness: a brief review. Med Sci Sorts Exerc. 1984; 16(6): 529-531.
R. B. Armstrong, R. W. Ogilvie, and J. A. Schwane, Eccentric exercise-induced injury to rat skeletal muscle. J Appl Physiol. 1983; 54: 80-93.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7.0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