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문제연구론] 실용주의적 교육관의 예를 하나 제시하고, 그것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교육발전의 의미
1) 교육의 외재적 측면
2) 교육의 내재적 측면
2. 발전교육론적 시각 - 외재적 교육발전론
1) 교육과 국가 발전
2) 발전교육론의 배경
3) 교육의 개념체계
4) 교육발전의 가치체계
5) 교육발전의 의미와 양상
3. 교육 본위의 교육발전관
1) 교육의 개념체계
2) 교육발전의 가치체계
3) 교육발전의 의미와 양상

결론

본문내용

세상에 아무리 풍성한 교육계가 객관적으로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주체적으로 체험하지 않은 한 사람이 있다고 하면 그에게는 교육계가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셋째는 그 심도성이다. 교육계는 높은 품위나 낮은 품위의 어느 것으로 체험할 수 있는 수도계의 일종이다. 막걸리를 마시든 고급주를 마시든 술을 마신 것에는 차이가 없지만 그 술마심의 질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듯이, 교육계에 대한 체험도 그 학위와 교위가 높아야만 좀더 고귀한 의미의 교육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나 높은 교육을 체험할 수 있도록 자신의 교육적 가능성을 향상하고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장상호, 1991, [97])
위 글은 우리가 교육적으로 여실한 체험의 흐름 속에 몰입되어 그 가치로움을 수준 높게 경험하는 것, 그것이 바로 교육발전의 의미를 이룬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교육적 가능성이 삶의 목적적 가치로서 찬란하게 꽃피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교육이 그 자체의 발전지표로 정당하게 평가될 수 있다면 그것이 동시에 다른 여타 세계의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불명예스러운 것이 아니다. 총체적 생활의 지혜는 이질적인 생활이 서로 연관관계를 맺고 공립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교육은 총체적인 생활의 한 소인으로서 다른 소인을 이루는 세계와 상호작용하면서 서로 촉진적이며 공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의 외재적 가치는 될 수 있는 대로 증대되어야 하며 그만큼 교육계는 영예로운 훈장을 받을 수 있다(장상호, 1991, [97]).
교육발전은 두 가지 국면에서 조망할 수 있다. 하나는 교육이 고유한 응집성과 활력을 가지고 자체의 입지를 보다 공고히 확립해 나가는 내재적 발전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적인 생활의 풍요로움에 의해 다른 생활의 목표달성을 지지해 주는 외재적 발전이다. 어느 측면이 보다 중요한가 하는 문제는 별도의 기준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교육이 잘 되면 그 효용가치가 그만큼 커지는 것이고, 역으로 교육도 그것이 기여하는 외부세계의 지원을 받아야만 번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때까지 지나치리 만치 교육의 힘을 필요로 하는 외적 요구를 앞세워 그 외부면에서 만 교육의 중요성을 평가해 온 것은 사실이다. 산에 나무를 심어 자라기 전에 펄프산업을 일으키는 것이 무모한 것처럼 교육을 키우는 전략을 택하지 않고 그 힘만 이용하고자 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문제는 이런 와중에서 교육이 그 본연의 성격을 왜곡당하거나 다른 것으로 대치되어 버리는 데 있었다.
결론
교육의 성격을 결정짓는 이와 같은 도구주의적 시각은 일단 사회적 차원의 발전을 문제삼으면서, 또한 발전의 기준을 시종 양적인 차원에서 파악하는 계량주의적 접근을 배경으로 하였다. 교육의 양적 팽창이 가져온 입시문제의 심각성, 고급인력의 대량실업, 기타 도덕적 비리와 비행 등 파행적 현상이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그에 대한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이 거세어지자 비로소 교육의 질적 측면에 대해서도 다소나마 관심을 기울이는 쪽으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교육의 질적인 측면과 개인적 측면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는 형편이라면 그러한 교육의 발전논리에 찬의를 표하기는 어려워진다. 현재까지의 교육발전 패러다임 자체가 근본적으로 인간성의 성장과 확충을 도모하는 교육의 본래적 과업에 충실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진로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발전을 가늠하는 사고방식을 두 가지로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하위범주로 나누어 서로 비교·고찰하였다. 논의의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발전교육론에서는 경제발전을 위시한 국가발전의 필요를 앞세워 교육의 힘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략을 세우는 데 부심하였다. 교육발전의 문제를 다루기는 하였지만, 그 평가기준은 대체로 교육의 내재성과는 거리가 먼 외재적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 이것은 서구의 선진국이 이룩한 발전을 본받는 것을 교육발전의 전형으로 삼는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국가발전의 종합적 구상을 위한 부문별 개발전략의 한 요소로서 교육이 지닌 도구적 기능의 확충을 논의하는 것을 교육발전론의 주된 과제로 파악하였다. 이에 대해 대안적 교육 본위 발전관으로 제시한 관점은 한 마디로 교육을 본위로 하는 교육의 내재적 발전의 문제가 간과되었음을 지적하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거기에서는 교육발전을 조망하는 평가기준으로서 교육의 내재성과 외재성을 각기 다른 평가의 축으로 인정, 상호간의 병행과 균형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그것은 교육의 내실을 공고히 한다는 전제 하에 외적인 기능의 추구를 제안하고 있다. 교육발전은 경제발전과는 달라야 하고 문화발전과도 총제적으로 구별될 수 있어야 그 고유한 의미가 뚜렷하게 된다. 다른 하나는 여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교육도 그 발전의 축을 내적인 측면과 외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의 내적 발전이란 교육 특유의 내재적 가치가 실현되는 것을 말한다. 교육의 외적 발전은 교육이 자체의 성장에 의해 다른 분야의 발전을 원조하고 촉진하는 것을 뜻한다. 교육이 다른 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해서 그것을 마치 교육이 지닌 가치의 전부인 양 단정지어서는 곤란하다. 교육의 외재적 공헌도가 있기 위해서는 교육의 내재적 성장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곽병선(1996). 교육내용과 방법분야에서의 서울사대 교육학과 공동체 연구와 실천 50년. 『교육이론』, 10(2), 39-61.
김병관·박준식(1995). 삶의 질 연구의 필요성과 기존 연구의 검토. 『사회발전연구』, 창간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김신복(1995).교육과 정치·경제·사회: 상호의존성. 『교육학연구』, 33(2), 79-95.
김영철·공은배(1983). 『교육의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종철(1976). 국가발전과 교육혁신: 정책·제도의 확립. 『교육학연구』, 14(3), 17- 23.
이종각(1994). 『교육학논쟁』. 서울: 하우.
이홍우(1991). 『교육의 개념』. 서울: 문음사.
장상호(1986). 교육학의 비본질성. 『교육이론』, 1(1), 5-51.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1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