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시인 신동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민족의 수난과 신동엽 생애 신동엽의 생애와 일화, 기록등은 그의 부인 인병선씨가 직접 유물보존, 공개, 고증한 김응교의 「시인 신동엽」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3. 신동엽 시 세계의 특징

4. 신동엽의 시정신

5. 신동엽의 작품세계

6. 나 가 며

본문내용

적 어조는 외세와 지배체제의 허구성과 폭력을 배격하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실천이며 절규다.
흔히 참여시의 대부분이 격한 감정과 추상적인 구호 등으로 참여를 선동하는 감각 위주의 경향이 되기 쉽다. 그러나 그는 일상적인 것에 보다 보편적인 것을 매우 평범한 감각으로 노래하면서 자유와 평등을 추구한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현실은 항상 비극이 핵을 이룬다. 그의 시에는 시적 긴장, 아이러니, 역설, 애매모호성 등의 서구 모더니즘적인 경향이 일체 보이지 않는다.
3) 작품속의 여성관
신동엽의 작품 속에는 특징적인 여성관이 제시되어 있다. 당대 시대상에 비추어 볼 때, 여성은 경제적 궁핍으로 인해 가족의 생계를 떠맡아야 했었고 불법 매매춘이 성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에게 있어 여성의 이미지란 대자연을 포용하는 모성의 이미지로 순수하고 포근하며 그가 추구하는 긍정적 이미지의 집약된 표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신동엽 시에 있어 여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때로는 시속의 화자로 때로는 표현의 객체로 나타나기도 한다. 조국강토의 계곡에는 일찍이 생산과 평화의 시대만이 있었고, 이 ‘생활의 시대’에서 시인이 보는 주인공은 근로하는 민중이며 여자였다.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에서 “어두운 대지 한 가닥 서기 있어, 무릎ㄹ 모두우고 일어 앉는 그림자. 형클진 앞가슴 아무려 여미며 비녀는 입에,”할 때 그 주인공이 여자이다. 신동엽에게 오면 여자도 퇴페와 허영의 냄새가 될 수 없고 근로하고 생산하는 근육, 알몸이 된다. 이러한 두 장시의 맥박과 분위기는 서사시 『금강』에 이어진다.
여자의 삶
나는 밭,
누워서 기다리고 있어요
씨가 뿌려질 때를.
하늘 나르는 구름이든
여행하는 씀바귀꽃이든
나려와 쉬이세요.
씨를 뿌려 보세요.
선택하는 자유는 저한테 있습니다.
좋은 씨 받아서 좋은 신성 가꿔보고 싶으니까.
위 시에서 ‘씨’와 ‘밭’의 성적 이미지에서 본다면, ‘여인’은 세상의 모든 것을 포용하고 포괄하는 위대한 어머니의 이미지에 결부된 모성이다. ‘씨와 밭의 결합’은 여성과 남성의 성적 이미지에서 씨와 밭의 성적 결합을 우주적 리듬과 통합하는 제의로 여겨 지상적 풍요를 확실하게 하려는 것이다. 즉 활력과 생기, 풍요와 다산의 생명의식을 전승하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신동엽은 여성을 ‘집’, ‘물’, ‘대지’등의 자연적 요소와 결부시킴으로 여자는 인류의 영원한 집이며, 남자의 피묻은 마음과 탄도탄을 씻어내는 물이여, 껍데기만 벗으면 신이고 평화라고 이야기한다. 이는 그가 추구하는 전경인정신에서의 원수성세계의 근본을 여성성으로 설정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민병욱, 「신동엽의 서사시세계와 서사정신」, 『민족시인신동엽』p199
6. 나 가 며
본고에서는 신동엽의 시 세계에서 그의 작품 기저에 깔린 시정신에 대한 이해와 몇몇 특징적인 부분을 뽑아서 살펴보았다. 특히 그의 일대기 구성에 있어 실제 그의 아내인 인병선씨의 고증과 자료를 토대로 작성된 단행본을 참고하여 소소한 일화의 소개에 주력했음을 밝혀둔다. 부족한 지면상의 이유로 시대별, 장르별로의 총체적인 논의가 다루어 지지 못한 점을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 신동엽은 김수영과 더불어 60년대 우리 문단의 굵은 깃발로 현실을 부르짖은 시인이다. 그의 작품속에는 우리 역사에 대한 깊은 애정과 성찰이 깃들어 있으며 나라와 민족을 생각하는 휴머니스트의 마음이 베어있다. 그는 서구의 모더니즘을 철저히 지양하고 우리의 순수하고 전통적인 세계를 지향했던 지극히 한국적인 시인이다. 그를 논함에 있어 그의 참여시적 면모만이 부각된 나머지 그의 핵심적인 시정신인 전통성과 원시성의 추구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는 비록 짧은 생을 마감했지만 그의 숨결과 숭고한 정신은 우리의 역사 속에 언제까지나 살아있는 민족시인으로 간직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조항순, 「신동엽시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오신숙, 「신동엽 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강은교,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사회적 상상력과 한국시』, 소명출판, 2002
김준오, 『신동엽 - 60년대 의미망을 위하여』,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최승호, 박현수외 『한국현대시인론2』, 도서출판 다운샘, 2005
구중서, 강형철 외 『민족시인 신동엽』,소명출판, 1999
강은교, 『시인신동엽』, 현암사, 2002
강형철, 『4월의 인물 신동엽』, 문화관광부, 2005
엄은경, 「1960년대 참여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0.2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