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의 <화사>와 정호승의 <사랑>에 나타난 이미지의 분석과 그 효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각적, 상징적 이미지 - 서정주 <화사(花蛇)>
1) 분석
2) 산문화
2. 비유적 이미지 - 정호승 <사랑>
1) 분석
2) 산문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를 통해 드러난 이미지는 언어를 매개로 하여 시인의 이야기를 독자에게 들려주어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리고 시인에 의해 쓰여 진 시는 독자의 수용을 통한 독자의 감상에 의해 새로운 가치가 부여되고 재구성 된다. 즉, 이미지는 경험에 기반 한 시인과 독자의 상상력에 의해 새로운 생명을 얻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경험의 층이 공존하면서 시의 의미는 확장되고 그것은 이미지의 형태로 삶의 의미를 재배열하고 독자의 정신 속에 남는다.
정호승의 <사랑>에 나타난 개인적인 성찰과 체험을 통해 시인이 구사한 독특한 비유적 이미지들의 다발은 독자로 하여금 신선한 충격을 준다. 그것은 사랑이라는 감정, 즉 생의 본능에 있는 에로스의 반대항인 죽음의 본능, 타나토스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사랑하는 존재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인은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이항 대립적 관점을 버리고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만남을 통한 순수한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이것은 사랑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써 이전에 인식하지 못하였던 사랑에 대한 독자의 사고를 확장한다. 그리고 사랑의 메커니즘에 대한 시인의 치밀한 통찰력은 우리의 삶과 사랑에 관한 진리를 깨닫게 한다.
우리는 <사랑>을 읽고 강렬한 사랑의 이미지를 느꼈다. 그러나 개작한 <사랑>에서는 원문이 주었던 강렬한 느낌은 없고 오직 문자적이고 평면적인 사랑만을 서술하고 있다. 본체와 매재의 거리가 멀어 난해한 원문과는 달리 개작을 했을 경우, 시의 의미는 독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시는 언어를 통해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고 설명하지도 않는다. 시는 언어의 아래로 의미를 감추고 침묵하면서 그 의미를 독자에게 전달한다. 그러므로 정호승의 <사랑>에서 시의 주제 형성과 의미 전달, 시적 쾌감을 주는 비유적 이미지를 없앤 개작은 원문에 비하여 빈약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고 긴장감을 감소시켜 시로서의 문학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문과 개작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원문의 '시체'는 '너에게 속하고 싶다' 로, '죽음'은 '영원하며 변함없는 사랑'으로, '햇빛'은 '영원함'으로, '바람'은 '모든 것을 용납하는 완전한 사랑'이라는 말로써 대치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두드러지게 알 수 있는 것은 비유적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길이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시의 이미지는 현상, 감정 등을 압축적이고 함축적이게 전달하는 것으로서 특히 지각적 이미지보다도 비유적 이미지의 함축성은 강하다. 이러한 비유적 이미지들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당연히 시의 전체적인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길어지는 시는 원래의 시보다 시적 긴장감에서 한 발짝 퇴보한 듯 한 느낌을 준다. 또한 함축적, 압축적인 비유적 이미지는 독자에게 시를 읽었을 때 순간적인 정서적 느낌, 감응을 가지게 하는 반면, 산문화한 시에서는 순간적인 깨달음보다 글을 읽어나가면서 천천히 감화를 받게 된다. 즉, 시의 비유적 이미지는 압축적이기 때문에 순간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순간적인 깨달음은 시를 읽는 독자들의 감성을 더 극대화시켜 줌으로써, 독자들의 마음을 울리게 된다. 또한 비유적 이미지는 하나의 '이미지'로서 우리를 상상하도록 만든다. '시체, 죽음, 햇빛, 바람'이라는 시어들이 가지는 의미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이미지를 독자는 상상하게 된다. 때문에 개작보다는 원문을 읽었을 때 강렬한 사랑의 느낌을 구체화해서, 보다 더 가깝게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비유적 이미지는 시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여 긴장감을 유지시키고, 순간적인 이해와 깨달음을 통해 시에 대한 독자의 정서를 강화하며, 시에 대한 구체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형성하여 독자들을 시에 몰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Ⅲ. 결론
근래에 발표되는 현대시들 중에는 이미지의 사용 없이 즉각적이고 단편적인 내용의 전달을 위주로 하는 작품들이 대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독자들에게 속도감을 느끼게 하고 의미전달을 분명하게 한다는 장점은 있지만 독자들에게 시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는 기회를 상실하게 하고, 시에 대한 진지함이나 심오함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이러한 시들의 등장이 그저 반갑지만은 않다. 시 속에 이미지가 사용된다는 것은 단지 시인의 표현 방법의 문제만이 아니라 독자가 시를 깊이 있게 분석해 봄으로써 그 이미지를 사용한 시인과 독자가 함께 생각을 맞추어 나간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작품 속에 나타난 이미지를 분석해 보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유기적으로 해석한 후, 산문화하여 이해해 본다는 것은 작가와 그 생각을 공유하는데 의미 있는 활동일 것이다.
우리는 본론에서 Preminger의 세 가지 이미지 유형을 통해 서정주의 <화사(花蛇)>와 정호승의 <사랑>을 분석해 보았다. 감각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가 잘 드러난 <화사(花蛇)>에서는 이들 이미지들이 이 작품이 가지는 특이성과 관능미를 더 두드러지게 하며 <사랑>에서는 비유적 이미지들이 영원을 추구하는 강렬한 사랑을 돋보이게 한다. <화사(花蛇)>에서는 원시적 생명력을 상징하는 뱀을 매우 감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안에서 모순의 미를 발견하도록 이끌고 있다. 또한 <사랑>에서는 사랑을 비유하는 다양한 시어들을 선택함으로써 시의 긴장감을 유지하여 독자를 흡입하는데 비유적 이미지들이 나타나고 있다. 즉, 두 작품 모두 작품에서 드러내고자 한 주제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적절한 이미지의 유형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작품의 내용과 정서를 표현하는데 적절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미지란 인간이 느끼는 다섯 가지 감각을 실제로서가 아니고 문자로 정신 속에 재생시켜 주는 말이라고 했다. 시인이 표현한 그 말을 다시 정신 속에서 꺼내어 감각으로 느껴보는 것이야 말로 시인이 전달하고자 한 그것을 그대로 재생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Ⅳ.참고문헌
서정주, 화사집, 문학동네, 2001.
이남호, 서정주 '화사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송하선, 한국 명시 해설, 국학자료원, 1998.
정호승, 별들은 따뜻하다, 창작과 비평사, 1990.
이향아, 시의 이론과 실제, 청아출판사, 199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3.09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